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인터뷰] 강한기 축열설비발전협회 회장

“재생열에너지 융합 축열시스템 효율향상·부하불균형 해소”
축열시스템 설치 무상지원금 감소…시장 악영향

축열설비발전협회는 국가 에너지 수요관리 및 전력수급에 기여하는 축열식 냉난방설비의 국내외 보급 및 시장활성화, 연관된 기술 연구개발에 기여해 국가 경제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2018년 설립돼 산업통상자원부 사단법인 인가를 받았다. 

국가에너지 수요관리 및 전력수급에 기여한 축열설비업계는 지속적인 지원금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건설시장 축소 및 집단에너지 의무지역 확대는 축열설비시장을 가장 위축시킨 정책 중 하다. 축열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를 융합한 사업구조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축열설비발전협회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강한기 축열설비발전협회 회장을 만나봤다.  

■ 국내 축열시장에 대해 평가한다면
1992년부터 국가의 수요관리정책 일환으로 보급되며 형성된 축열(냉)시장은 약 25년 정도가 흐른 지금 1,100MW 이상의 피크전력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시장에서 이미 성능이 검증된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외국 제품이 주를 이뤘으나 현재는 자체 개발해 판매를 하고 있는 기업이 늘고 있으며 해외 수출도 모색하고 있다. 축냉시장은 약 30여년 동안 국내에 설치되고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으로 현재 국내 축냉업계의 기술력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한국의 축열시장은 세계적으로 모범이 될 정도로 제도적, 기술적 부분에서 꾸준히 성장해왔다.

하지만 현재 국내 축열시장은 가장 어려운 시기다. 최근까지도 시장이 조금씩은 커지고 있는 분위기였으나 코로나 등으로 건설경기가 위축된 이후 축열시장 자체가 급격하게 줄어 들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지역냉난방지역 확대로 인해 축열시스템이 들어갈 수 있는 건물이 줄어들었으며 최근 급속하게 늘어난 지식산업센터의 경우 에너지비용을 입주자에게 부담시키기 때문에 에너지비용 절감에 대한 고민 자체가 없는 현실이다. 
특히 정부에서 무상지원금을 줄여 시장에서는 축열시스템에 대한 지원이 없어지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퍼지고 있어 악영향을 주고 있다. 그야말로 축열시장 자체의 존폐를 고민할 수밖에 없는 위기상황이다. 

왜? 축열(냉)시스템이 필요한가
냉난방기기 사용에 따라 관련 전력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축열(냉)시스템이 필요하다. 열에너지의 공급과 수요사이에 시간적 차이가 있는 경우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했다가 공급하는 열저장기술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열시스템은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해 피크시간의 전력사용을 억제 또는 이전해 정부의 에너지수급정책에 대응할 수 있으며 심야전력요금 혜택에 따른 운전비 절감을 통한 경제성 확보도 가능하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의무화에 따라 이제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아니라 무조건 사용하는 에너지를 줄여야 한다. 신재생에너지인 수열과 지열에 축열시스템을 결합할 경우 건물의 냉난방시스템은 현재의 기후변화 문제와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 및 저렴한 운전비까지 잡을 수 있는 아주 우수한 시스템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및 실내 발열량 증가로 냉방과 난방 사이의 부하율, 장비용량, 운전시간 등의 불균형이 우려된다. 축열시스템은 이러한 냉난방부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며 냉난방시스템의 활용율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축열시스템은 친환경정책에 최적화된 냉난방시스템으로 신재생에너지 열원과 융합 시 운전효율이 크게 증대되며 냉난방설비 최적화로 과다 설계 방지 및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다.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했는데 
축냉업계만 위기가 아니라 중앙공조시장이 현재 왜곡되고 있다. 건축법시행령에 의해 설치하게 돼있는 축열시스템은 현재 대부분의 건물이 지역열원(집단에너지) 의무화 지역에 건설되고 있어 축열시스템 자체가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는 결국 에너지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가 에너지사용량을 늘려 5년, 10년 뒤에는 에너지다소비국가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것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 축열시장은 점점 줄어들고 가스냉방이나 지역열원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냉온수기 제조업체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인 반면 축열업체는 모두 중소기업이다. 업체에서 나서서 할 수 있는 역량에서 차이가 난다. 축열시스템은 정말로 좋은 시스템인데 이 부분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해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는 것 같아 매우 아쉽다. 

탄소중립정책과 반하는 방향으로 냉난방시스템 의무화가 되고 있어 정부 차원의 변화가 없으면 개선되지 못한다. 건물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설치해야 하는 시스템이 달라야 한다. 

또한 축열업체 스스로도 반성하고 각성하고 혁신해야 한다. 기존에 축열시스템을 설치한 건물주가 다음에 건물을 지을 경우 다시 축열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려 하지 않는다. 이는 축열업체에서 수익성만 고려해 공사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유지보수에 대한 의지도 보여주지 못해 생기는 문제다. 축열시스템은 정말 좋은 시스템인데 이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부분에서 순간의 이익만 생각한다면 시장에서 바로 퇴출될 수밖에 없으며 축열시장 자체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부의 정책이 어느 한 산업만 육성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 볼 시기라고 생각한다. 축열시스템 설치에 따른 무상지원금 감소로 시장에서 악영향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꼭 필요한 제도개선방안은
현재 축열시스템 적용에 따른 보조금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어 축열설비 공급량이나 보급실적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업체들이 매우 힘들어 하고 있다. 매년 정확한 수요예측을 통해 보조금 확대 및 적기 지원 등으로 한국전력에서 적극적으로 축열시장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여줘야 한다. 

또한 현재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에서 전기와 열로 구분해 별도의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HO)가 필요하며 활성화를 위한 공급 인센티브 제도 도입도 필요하다. RHO를 통해 지열, 수열 및 태양열 등 신재생 열에너지의 적용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공기열원 외에 신재생열원이 확대되면 관련 설비의 기술개발과 함께 축열시스템과의 융합기술 개발도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결국 다양한 열원 및 기술개발을 통해 축열시스템의 시장 확대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로 편입된 수열에너지의 경우, 현행법 상 히트펌프를 이용해야만 신재생에너지로 인정받고 있는데 이에 대한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수열은 난방보다 냉방열원으로 활용될 때 가장 효율이 우수하다. 에너지다소비건물인 데이터센터는 연중 냉방운전만 이뤄지기 때문에 수열을 통한 냉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상업건물 역시 난방부하 대비 냉방부하가 크다. 

이에 따라 수열에너지를 냉방에만 적용 시 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대상 건물이 매우 많은데 히트펌프를 이용해야만 하는 현행법으로 인해 수열 적용에 제약이 되고 있다. 수열에너지와 축열시스템 융합시 기대되는 시너지가 매우 높기 때문에 관련시장 역시 매우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축열시스템은 지열 및 수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와 융합해 시스템효율을 증대시키고 냉난방설비 활용율을 높여주며 저렴한 심야전력 혜택과 함께 냉난방부하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 있는 아주 우수한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