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융합 촉진법’에 근거해 산업융합의 효율적 촉진을 위한 범부처 법정계획(5년 단위 기본계획, 연도별 실행계획)을 2013년도부터 총괄해 수립하고 있다.
이번 실행계획에는 우선 2020년도 분야별·부처별 산업융합 주요실적 및 성과가 반영됐다. 2020년도에는 범부처적(11개 부처, 167개 사업)으로 총 3조4,636억원의 예산(산업부 9,168억원, 과기부 7,402억원, 중기부 5,203억원, 국토부 4,626억원 등)을 투자해 산업융합 정책이 종합 추진됐다.
특히 ‘신산업분야 집중 투자’, ‘농어업 등 1·2차 산업혁신’, ‘융합 신서비스 시장 창출’ 등 과제 대상으로 집중 지원이 이뤄졌다.
신산업분야 집중투자는 자율차, 수소연료전지차, 친환경수소연료선박 등 미래 성장동력 집중 육성을 위한 R&D 사업이 집중 추진된다. △5G기반자율주행융합기술 실증 플랫폼(83억원) △전기차충전서비스산업육성(256억원) △친환경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52억원) 등이 포함된다.
융합 신서비스 시장 창출은 재난안전분야 신서비스 창출을 위한 R&D 및 아키텍쳐 개발 등을 지원한다. 스마트 도로조명을 활용한 도시재난안전관리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및 관련기술개발을 통해 제품 12건, S/W 6건, 스마트 안전조명 시범구축 사업 등이 포함된다.
농어업 등 1·2차 산업 혁신은 스마트농업(시설원예, 노지, 축산) 확산 등 농림축산식품분야에 대한 융합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노지 스마트팜 시범단지 지정(괴산, 안동 2개소) △스마트 축산 ICT 시범단지 선정(고성, 평창 2개소) △시설원예 스마트팜 신축 등이 포함된다.
융합형 인력 양성은 바이오-메디컬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융·복합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을 주도한다. 연세대 컨소시엄 등 5개소에 대한 교육 인프라 구축 및 전공의 80명 연구역량 강화 지원, 융합 의과학분야 전일제 박사학위 과정 30명 R&D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4대 추진 전략 | | 9대 정책 과제 | 예산 규모 |
산업 디지털 전환 | | ①주요 산업별 맞춤형 디지털 전환 촉진 ②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선제적 기반 마련 | 11,185 (31.13) |
대세(메가트렌드) 대응 | ③저탄소·친환경 융합산업 육성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 ④융합을 통한 비대면 산업 성장 가속화 | 4,110 (11.44) | |
융합 생태계 조성 | ⑤융합의 全 산업 확산 활성화 ⑥융합 확산을 통한 신산업 창출 지원 ⑦국민 체감형 융합 성과 제고 | 18,080 (50.32) | |
규제 개선 | ⑧규제 유예(샌드박스) 활용 촉진 및 고도화 ⑨규제 개선을 통한 융합 성과 확산 | 2,554 (7.11) |
<2021년도 실행계획 4대 추진 전략 및 9대 정책과제(억원, 비중%)>
또한 2021년도 추진계획에는 ’산업융합을 통한 케이(K)-뉴딜 성과 확산‘이라는 비전과 함께 4대 추진 전략 및 9대 정책과제가 제시됐다.
2021년도에는 산업융합 정책추진을 위해 범부처(11개 부처, 163개 사업)적으로 총 3조5,929억원(전년대비 3.7% 증가)의 재정이 투자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국가 주요 정책과제인 디지털·그린뉴딜, 비대면혁신분야에 총 예산액의 51.1%가 투입되며 ‘융합 신산업 창출 지원’, ‘산업 디지털 전환 기반 마련’, ‘융합의 전 산업 확산’ 등 정책과제 중심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김상모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대세(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업 간, 기술 간 창의적인 융합을 통해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융합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이번 2021년도 실행계획을 통해 민간의 산업융합 노력을 전방위적으로 뒷받침하고 K-뉴딜의 성과가 확산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