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계통포화 해소로 출력제어 최소화”

2024-06-03

일부지역 발전설비가 집중… 출력제어 상시화 우려
전력망 조기건설, 알박기 관리, 기존망 효율화 등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호남, 제주, 동해안 등 일부지역에서 발생하는 계통포화 현상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해 5월30일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이 주재한 ‘전력망 혁신 전담반(TF)’ 회의에서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지역별 맞춤형 계통포화 해소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탄소중립, 에너지안보 구현을 위해 재생에너지가 지속 확대될 전망으로 정부는 송·변전설비 투자계획을 대폭 확대해 추진 중이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통해 지난 계획보다 약 2배 증가한 총 56조5,000억원 투자할 방침이다.

그러나 전력망 건설속도가 재생에너지 보급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재생에너지가 집중 보급된 특정지역에 발전설비가 추가 진입할 경우 계통 안정화를 위해 출력제어 상시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은 1~3년 소요되는 것에 비해 송·변전설비 건설은 최소 6년 이상이 필요하다. 현재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용량은 약 11GW이며 향후 2032년까지 32.5GW 추가연계될 예정이다. 다만 이를 초과하는 물량이 망 보강 전에 연계된다면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3% 이상 출력제어 필요한 실정이다.

산업부는 계통 불안정으로 인한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선로 조기건설을 추진한다. 호남-수도권 융통선로 건설기간을 1년 단축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며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추진과 지자체의 조속한 인허가를 위한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도 운영할 계획이다. 2031년 12월로 예정된 신정읍-새만금-신서산구간과 신계룡-북천안구간 융통선로를 2030년 12월로 단축한다는 것이다.

다만 전력망 신설·보강에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한 만큼 우선 기존전력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전력망을 선점하고 실제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전력망 알박기 사업자 관리를 강화한다. 또한 계통안정화 설비를 도입하거나 출력제어를 조건부로 우선적 접속을 허용하는 유연한 접속제도 도입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최대 9.3GW의 여유용량을 확보해 후순위·신규사업자에게 배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전은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계통관리변전소(출력제어율 3% 이상)’를 공개해 계통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지역으로 발전사업 신청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계통포화 현상이 조기에 해소될 수 있도록 전력망 조기건설과 함께 계통안정화를 위한 추가적인 설비 보강, 제도마련 등을 추진해 재생에너지 보급·확산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지자체 사전설명회와 전남·광주 전력계통 협의체 등을 통해 지자체 대상으로 지역 계통현안을 안내하고 협조를 당부한 바 있으며 향후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 운영을 통해 맞춤형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여인규 기자 igyeo@kharn.kr
저작권자 2015.10.01 ⓒ Kharn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칸(KHARN)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마곡나루역프라이빗타워Ⅱ 1006호 (우 07788)
대표이사 겸 발행, 편집인 : 강은철 | 사업자등록번호: 796-05-00237
인터넷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아561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강서4502호
정기구독문의: 02-712-2354 | 이메일 : kharn@kharn.kr
Copyright ⓒ khar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