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건설산업 업종체계 개편 본격화

건산법 하위법령 입법예고…칸막이·다단계 철폐

그간 업역과 업종에 따라 건설사업자의 업무영역을 법령으로 엄격히 제한해오던 칸막이가 사라지고 발주자가 역량있는 건설업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건설산업구조가 전면 개편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건설산업 생산구조 혁신의 첫 단계로 2018년 말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을 통해 지난 40년간 유지돼온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간 업역을 폐지한 데 이어 다음 단계로 종합 및 전문건설업 내 업종체계 전면개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1958년 건설업이 도입된 이후 1976년부터 두 가지 이상 공종의 종합공사는 종합 건설업체만, 1개 공종의 전문공사는 전문건설업체만 도급받을 수 있도록 업역을 규제해 왔다. 

그러나 분업과 전문화를 위해 도입된 업역규제는 오히려 상호경쟁을 차단하고 역량있는 건설업체의 성장을 저해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종합건설업체는 시공역량이 없어도 하도급 관리만을 통해 건설공사운영이 가능하므로 시공기술 축적보다는 입찰영업에 치중해 서류로만 존재하는 페이퍼컴퍼니를 양산했다. 전문건설업체는 사업물량의 대부분을 종합업체의 하도급에 의존해 저가하도급 관행이 확산되고 전문업체에서 종합업체로 기업이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도 제한됐다. 

종합건설업은 5종, 전문건설업은 29종으로 구분한 현행 업종규제는 1997년에 확정된 이후 20여년간 이어져 오고 있으나 공법의 융복합, 발주자요구 다양화 등에 따라 개편필요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10차례 업종개편 TF회의 및 공청회, 16차례 업계간담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노·사·정이 참여한 건설산업혁신위원회에서 총 8차례에 걸친 논의를 통해 건설산업 구조혁신 세부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업역규제는 폐지하고 업종은 기능중심으로 재편된다. 업역은 건산법이 이미 개정돼 공공공사는 2021년부터, 민간발주공사는 2022년부터 폐지된다.

업종은 유사업종을 통합해 업종 전반을 대업종화하면서 전문성 제고를 위해 세분화된 주력분야와 실적관리체계를 도입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업역·업종을 전면폐지해 ‘건설업 단일 업종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며 이를 위한 건설업 로드맵을 수립한다.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건설산업의 미래상을 담게 되는 ‘건설비전2040‘에서 연말 발표할 계획이다.

업종통폐합, 종합·전문업체 공정경쟁
먼저 현재 시설물 유지관리업을 제외한 28개 전문건설업은 공종간 연계성, 발주자 편의성, 현실여건 등을 종합 고려해 2022년부터 14개로 통합한다.

전문건설업 업종별 업무범위를 확대해 종합공사 수주를 보다 용이하게 함으로써 종합·전문건설업체 간 원·하도급 관계를 벗어나 시공능력에 따라 경쟁하는 구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건설공사 소비자인 발주자가 생산자인 건설업체의 전문시공분야를 객관적인 실적자료를 통해 편리하게 확인해 업체선택권을 강화할 수 있도록 주력분야 제도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발주자는 구조물의 성능·형태 등과 관련해 요구수준에 맞는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업체를 선정할 수 있고 건설업체는 실적과 역량을 제대로 평가받아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제도도입 초기에는 현재 업종체계와 동일하게 28개로 운영하지만 2021년 연구용역을 거쳐 2022년부터 추가 세분화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설물 노후화에 따른 안전 확보를 위해 유지보수시장 전문성을 강화하도록 개편된다. 우리나라는 2038년이 되면 30년 이상 대규모 SOC(1종‧2종)시설 비중이 6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유지보수분야에 특화된 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건설산업기본법’ 상 유지보수공사를 신설한다.

유지보수 공사의 분야별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2021년부터는 신축공사실적과 구분해 유지보수의 세부공종별 실적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발주자는 분야별 유지보수 실적을 고려해 건설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복합공종의 유지보수 공사를 수행한 시설물 유지관리업은 종합 또는 전문건설업체로 업종을 전환하게 된다. 기존사업자는 특례를 통해 자율적으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전문건설 대업종(통합 업종) 3개 또는 종합건설업(토목 또는 건축)으로 전환할 수 있으나 2024년 1월부터는 전문대업종 1개로 자동전환 된다.

업종전환 과정에서 시설물 유지관리업체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업종전환시 추가자본금·기술자 보유 등 등록기준 충족의무는 2026년말까지 면제한다.

또한 시설물업체가 조기에 대업종으로 전환할 경우 전환시점에 따라 차등화해 종전 유지보수 실적을 최대 50%까지 가산받게 되고 2023년 말까지 종전 시설물 유지관리 사업자지위(입찰 참가자격)도 인정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전문분야별 유지보수 실적과 기술력을 갖춘 건설업체가 유지보수공사에 참가함으로써 유지보수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게 되고 공사품질 및 국민안전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종통합, 시설물유지관리업 업종전환 등 건산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은 9월16일부터 10월26일까지 40일간의 입법예고,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연내 개정 완료를 추진한다. 유지보수공사 신설 및 주력분야 공시제 도입 등을 위한 건산법 개정안도 연내 개정을 목표로 추진한다.

국토부의 관계자는 “2022년 대업종화 시행 이전까지 시범사업, 발주 가이드라인 마련, 유지보수 분야 실적관리체계 도입 등도 차질 없이 준비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