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에너지특화기업] 동화엔텍

LNG냉열·수소 활용기술 적극 개발


동화엔텍(대표 김동건)이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의 에너지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혁신을 주도할 에너지특화기업으로 선정됐다. 

동화엔텍은 산업용 발전시스템의 고효율 열에너지 재생기술을 통한 에너지효율 증대에 이바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산업용 발전플랜트의 폐열을 재생하기 위한 스팀터빈 BOP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발전플랜트의 대형화에 따라 기존 원형 복수기 외에도 대형화 추세에 따라 사각 복수기 개발을 완료해 국내외 공급실적을 확보했다.

화력발전소용 고효율 열교환기술 및 제품은 △스팀터빈의 Motive Steam 열에너지 활용을 위한 복수기(Surface Condenser) △복수기의 최적 운전 및 열에너지 회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Vacuum Condenser △회수된 열에너지의 활용을 위한 Feed Water Heater 등이, 가스복합화력발전소용 고효율 열교환기술 및 제품은 △가스복합화력의 가스터빈 구동에 필요한 Fuel Gas Heater △가스터빈의 운영효율을 높이기위한 Turbine Cooling Air Cooler 등이 있다.  

동화엔텍은 수송에너지분야 중 선박운영에 필요한 다수의 에너지시스템에 대한 기술과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친환경 선박으로 각광받고 있는 LNG추진선의 Fuel Gas Supply System은 물론 초저온으로 보관된 LNG를 선박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가압, 열공급시스템에 대한 엔지니어링 및 제품제작, 시운전 등의 기술도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해상LNG 인수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FSRU의 기화시스템의 HP Vaporizer를 공급하고 있으며 HP Vaporizer는 세계 일류상품으로 지정돼 있다. LNG를 육상 사용처로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중 핵심장비인 HP Vaporizer는 해수 및 G/W열원으로 기화하며 주로 S&T Type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LNG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BOG를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해 기화 중 발생하는 냉열원을 이용한 에너지 회수기술과 제품도 확보하고 있다.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수소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제품이 나타나고 있다. 수소에너지를 이용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수소자동차이며 수소자동차에 연료(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충전소가 전국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수소충전소에서 수소를 차량에 공급하기 위한 설비 중 H2 Pre Cooler는 차량에 수소를 공급하기 전 수소를 냉각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초고압에 사용되는 특수 열교환기로 국내에서는 동화엔텍이 유일하게 공급하고 있다.

LNG냉열·수소 활용기술 개발

에너지특화기업으로 선정된 동화엔텍은 에너지효율 증가 및 친환경시대를 준비한 △선박연료의 친환경 에너지사용 기술 △LNG냉열 활용을 위한 에너지발전시스템 △수소에너지 활용 기술 등 에너지시스템 개발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선박연료의 친환경 에너지사용기술을 바탕으로 대형 및 중대형 선박시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친환경 선박 LNG/LPG 연료공급시스템 공급을 확대하고 암모니아 추진 선박용 연료공급시스템을 2024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5년 해상 LNG 인수기지용 HP Vaporizer 시장점유율 1위 달성이 목표다.

LNG 인수기지의 냉열발전시스템을 위한 에너지시스템을 2025년까지, 육상 LNG 인수기지용 고효율 기화기는 2024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수소에너지 활용기술 활성화해 수소충전소용 H₂Pre Cooler 국내 시장점유율 1위 달성 및 해외시장 진출하고 수소생산용 열교환기를 2023년까지 개발한다. 또한 2025년까지 수소연료전지발전 폐열 회수용 고온 콤팩트 열교환시스템 개발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