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DC 지방건립 시 정부·지자체 ‘인센티브’

KDCEA,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활성화 정책포럼’ 개최
DC 개념·시장·비전·정책·제도·산업환경 등 분야 ‘망라’
관·산·학, “DC 지방분산, ‘선택 아닌 필수’” 한목소리



데이터 처리 및 저장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롭게 지어지는 데이터센터(DC)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신규 DC가 수도권에 집중돼 전력수요 분산, 지역균형발전 등을 위해 지방으로 분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 사무국장 송준화)는 7월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업재생에너지재단(CREF, 이사장 우태희)과 공동으로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활성화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정책포럼은 수도권에 밀집된 DC의 지방분산 필요성을 공유하고 관계부처의 정책방향을 알리기 위해 개최됐다. 또한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라 DC 수요자인 데이터센터사업자 입장에서 분산에너지 기반의 DC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실장은 “전국 약 150개 DC에서 소모하는 전력량은 강남구 전체가 소모하는 전기사용량과 맞먹을 정도로 대표적인 전력다소비시설”이라며 “그럼에도 전반적인 전력효율, 제로화 등에 대해서는 다른 시설들에 비해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력은 저장되지 않으며 수요와 공급이 매분, 매초 일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를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라며 “호남권역 등 한반도 남부지역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집중된 상황에서 수도권으로 전력을 끌어올 수 있는 송전선로 여건도 제한적이므로 현재 수도권에 집중된 DC를 지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면 전력사용 효율화와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 실장은 또한 “산업부는 DC 지방분산을 위해 여러 가지 인센티브와 디스인센티브를 발표한 바 있으며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했다”라며 “한전의 전력수전예정통지서를 토대로 살펴보면 현재 40MW급 기준으로 2032년까지 1,200여개가 신청했으나 실제로 집행될 가능성은 20% 남짓”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에 따라 정부는 디스인센티브로서 법·제도적으로 수도권 DC에 전기공급을 제한할 수 있는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계통영향평가를 강화토록 하는 한편 지자체는 인센티브로써 송전선로 제약 등을 해소하고 다양한 유치전략을 홍보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이러한 정책과 노력을 토대로 DC가 분산에너지, 수요분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우태희 CREF 이사장은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준비하면서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전력수요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탄소중립 외에도 디지털경제 확대가 전기화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라며 “DC는 그 핵심에 있으며 24시간 365일 서버스토리지 가동, 항온항습 유지 등으로 전력소비가 클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전력다소비시설”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2,500개 이상의 DC가 소비하는 전력이 약 2,000만kWh로 전체 이산화탄소배출량이 약 1억1,000만톤, 총배출량의 0.3%를 차지한다”라며 “물 사용량도 막대해 1일 2만톤을 소비하며 이는 약 500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고 지적했다.

우 이사장은 또한 “국내 DC는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해 DC입지의 60%, 전력수요의 70%가 수도권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라며 “다행히 지난달 제정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이 DC의 지방분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DC의 지역분산은 서버공급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사고발생 시 즉각 투입할 수 있는 인력 및 인프라가 부족하므로 원격기술 혁신, 지방의 사업환경 조성정책도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탄소중립과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한발 내딛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DC산업, 지속가능성·ESG 이슈 ‘과제’

송준화 KDCEA 사무국장은 ‘데이터센터 시장현황 및 지속가능성 향상’을 주제로 이번 정책포럼의 첫 발표자로 나섰다.

송 사무국장은 “DC 지방분산을 이야기할 때 꼭 따라붙는 이야기는 DC의 지속가능성”이라며 “DC를 수도권에 지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방으로 분산하면 DC가 직면한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센터는 초연결 지능화사회에서 IT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이다.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IT서비스는 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기업, 정부, 개인 등 모든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AI, 빅데이터 분석, 모빌리티, OTT 서비스 등은 데이터센터 없이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2026년까지 국내 신규 구축예정인 DC는 50개 이상이며 설치용량은 1,000MW 이상에 달한다. 이는 확정된 상업용 프로젝트 기준이며 현재 검토 중인 프로젝트에 더해 매년 새로운 DC가 기획될 전망이다. 상업용 외 DC는 집계하지 않은 수치이므로 실제로는 현재 집계치보다 많은 DC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클라우드시장 성장잠재력이 매우 높은 나라다. 한국 첨단 ICT는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관련 인프라 및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10인 이상 기업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23.5%에 불과해 해외에 비해 이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는 글로벌 CSP(Cloud Service Provider)의 시장확대에 유리한 여건임을 의미하므로 앞으로 DC구축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트렌드를 살펴보면 DC는 40MW 이상 규모 하이퍼스케일 DC와 소형 엣지 DC로 이분화돼 추진되고 있다. 보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집적하기 위해 통상 20MW급 DC보다 대규모의 하이퍼스케일급이 기획되고 있으며 UAM, 자율주행 등 실시간 데이터송수신을 위해 저지연율을 실현하는 엣지 DC의 필요성도 각광받고 있다.



DC산업구조는 DCO(Data Center Operator)와 CSP로 구성되며 CSP는 서버소유자(DC Owner)와 서버이용자(DC Tenant)로 나뉜다. 

DCO는 건물, 전력공급, 냉각시스템, DMS(Data Management System) 등으로 구성되는 인프라로서의 DC를 구축하는 사업자이다. 세계시장에서는 △에퀴닉스(Equinix) △디지털 리얼티(Digital Realty) △액티스(Actis) △DCI △ST텔레미디아(ST Telemedia) △디지털엣지(Digital Edge) △SC제우스(SC Zeus) △엠피리온(Empyrion) △스택(STACK) △원아시아(OneAsia) △케펠(Keppel)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KT △LG U+ △SKB △LG CNS △SK C&C △삼성SDS △KINX △드림마크1(Dreammark1) △DC브릿지(DC Bridge) △이지스(IGIS) △코람코(Koramco) 등이 플레이어로 활동하고 있다.

송준화 사무국장은 “최근 DCO업계의 변화는 신사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건설사, 국내·외 자산운용사들이 DC사업에 참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CSP는 DC 내 IT장비를 공급 및 운영하는 사업자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IT인프라 등을 구축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IT인프라를 구축하는 CSP DC Owner로는 △네이버 △NHN Cloud △카카오 △KT 등 국내기업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 등 해외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IT인프라를 활용해 사용자와의 접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 DC Tenant 사업자로는 △네이버 △NHN Cloud △카카오 등 국내기업을 비롯해 △AWS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오라클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DC시장은 2028년까지 약 50개 이상 신규프로젝트가 추진 및 계획 중이며 이러한 프로젝트로 인한 신규투자액은 약 12조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KDCEA가 집계한 DC수는 2022년 기준 40개에서 2025년 74개로 연평균 1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규모로 보면 2022년 544MW에서 2025년까지 1,850MW 규모로 연평균 36%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시장성장에 비해 DC산업은 지속가능성 향상, ESG경영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있다. 이는 곧 에너지효율 개선과 RE100 달성을 의미한다. DC수요와 공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력량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미래사회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DC의 양적성장뿐만 아니라 질적향상도 고려해야 해 전통적 에너지효율 관리방식인 PUE(Power Usage Efficiency) 외에도 CUE(Carbon Usage Efficiency), WUE(Water Usage Efficiency) 등을 고려해 RE100을 달성해야 한다.



2021년 기준 국내 상업용 DC의 연간 전력사용량은 약 4,808GWh로 추정된다. 이는 국내 총발전량 50만9,270GWh의 0.9%이며 총 산업에너지소비량 27만8,660GWh의 약 1.7%를 차지한다. 이를 탄소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220만8,795tCO₂eq에 달한다.

송준화 사무국장은 “ESG는 기업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책임을 강화하는 전 세계적 움직임으로 DC의 ESG평가는 센터를 어떻게 관리·운영하는지가 핵심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DC기업은 2015년을 전후로 RE100 이니셔티브 가입 등을 통해 DC 지속가능성 향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성 보고서, ESG 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성과를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례로 에퀴닉스는 2015년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했으며 EU의 REBA(Renewable Energy Buyers Alliance) 창립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2030년까지 운영 중인 모든 DC에 100%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추진 중이다. 또한 Digital Realty는 2016년 자사 DC 및 관계사 DC의 RE100 추진을 선언했으며 EN 50600 기술위원회, 재생에너지구매자연합, USGBC 등에 참여해 DC 지속가능성 향상을 추진 중이다.

국내 기업의 경우에도 삼성SDS는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TF를 구성, 2030년까지 온실가스배출량의 30% 절감목표를 세웠다. DC 냉각신기술 도입, 재생에너지 활용 등을 추진 중이다. SK C&C도 그룹차원에서 RE100에 가입했으며 2050년까지 전력사용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이다. 한전과 녹색프리미엄 계약을 맺어 연간 5.7GWh 분량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할 계획이다. 

KT클라우드 역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7년에 비해 35%를 절감할 계획이며 DC 전력관리에 AI를 적용해 ESG 강화를 추진한다. LG CNS는 ESG 경영목표 수립 및 목표달성을 위해 DC 에너지효율화를 지속추진하고 있으며 네이버, 카카오 등도 신규로 구축하는 DC에 재생에너지이용을 확대함으로써 ESG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송준화 KDCEA 사무국장은 “DC사업자는 자원사용현황 측정 및 평가를 고도화하고 DC특성에 맞는 지표마련 및 재생에너지, 무탄소에너지 등 이용확대를 위한 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며 “또한 정부는 탄소중립 2050 및 에너지·환경정책 수립과정에 기업참여를 확대하며 업계의 능동적 대응을 독려하기 위해 협의체, 이니셔티브를 활성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실적 인정방안 및 RE100 이행방안 마련 등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DC 지역균형발전 ‘당근과 채찍’

박상희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방안’ 발표에서 “4차 산업혁명, 디지털경제 확대로 전력다소비시설인 DC가 급증하면서 수도권 집중도 가속화되고 있다”라며 “지난 4월 기준으로 국내 147개 DC의 전력수요는 1,879MW이며 향후 2032년까지 신규 DC 전력수요는 총 1,224개로 7만7,684MW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현재 DC입지의 60%, 전력수요의 72%가 수도권에 집중됐으며 이 비율은 2032년까지 70%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수도권의 계통 및 전력수급 부담으로 DC의 적기건설에 난항이 예상된다. 2032년까지 수도권에 925개의 신규DC가 신청했지만 이중 4.3%(40개)에만 전력을 적기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발전소를 추가공급할 여력도 부족하다. 이 경우 동해안~수도권 구간의 횡축과 영·호남~충청~수도권까지 이어지는 종축으로 장거리 송전망 확충이 필요하다. 그러나 송전망 건설을 위해서는 입지선정, 환경영향평가, 용지확보, 설비건설, 지역갈등 해소 등 절차가 복잡해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부는 수도권에 집중된 DC를 분산해야 국가재난 상황을 회피하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지난 3월21일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으로 전기공급자에게 전력계통에 지나친 부담을 주는 경우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지난 6월13일 제정돼 2024년 6월14일 시행될 예정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통해 수도권 등 계통포화 지역 내 신규 데이터센터의 계통파급효과를 평가하고 인근 분산자원을 활용하거나 자가발전기를 설치하는 등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와 함께 오는 7월 중 한국전력의 전기공급 기본약관을 개정해 대규모 전력사용시설인 DC가 변전소 용량을 장기 선점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사용신청 취소 및 전기사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조건을 신설한다. 전기사용계약서 발행일로부터 1년까지 계약을 체결하지 않으면 전기사용신청이 취소되며 한전과 협의한 수급개시일로부터 6개월까지 수급을 개시하지 않으면 전기사용계약이 해지된다.



지역분산을 위한 인센티브 제도도 시행된다. 정부는 미활용에너지나 잉여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호남 등 재생에너지 과잉공급 지역과 송전선로 건설지연으로 발전소 출력제어가 불가피한 지역으로 DC분산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수력발전, 수열, LNG냉열 등을 활용해 데이터센터 냉각에 필요한 전력수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지역을 발굴할 예정이다. 특히 강원권은 200MW 규모의 소양강댐을 운영하고 있어 수력발전 자원과 수열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 수력 및 수열을 활용한 전력공급 및 IDC 공조설비가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지역분산 유도를 위해 규제특례, 보조금 지원 등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한다. 건폐율·용적률을 완화하고 인허가를 간소화하는 행정지원이 제공된다. 또한 산업부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을 재원으로 지방투자기업에 설비보조금 3~24%, 입지보조금 9~50%를 지원할 계획이다. 각 지자체가 운영 중인 인센티브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분산을 보다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업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시스템 마련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DC 입지컨설팅 지원센터를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한전 15개 지역본부별 전담지원창구를 마련해 부담금 할인 등 인센티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전력계통에 여유가 있는 지역을 안내하는 등 컨설팅할 계획이다.

또한 전력여유 정보화시스템을 고도화 한다. 실제 전력 수요자들이 부지선정 의사결정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현재 시·군·구 단위로 제공하고 있는 계통 및 변전소 정보를 읍·면·동으로 구체화 할 계획이며 345kV 단위의 전력용량을 154kV 단위로 세분화에 여유지역 정보를 보다 세분화할 예정이다.

지방DC, 재생E 확보 ‘경쟁력’

이준신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국내 에너지전환 및 지역균형발전 관련 정책 활성화 방안’ 주제의 발표에서 “현 정부는 무탄소 전원 등 실현가능하고 균형잡힌 에너지믹스를 활용해 국가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고 수급을 안정화하겠다는 것이 목표”라며 “기후변화 대응, NDC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는 지속 확대하는 한편 기저발전원으로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원전운영은 지속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에너지원의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재생에너지 생산단가가 지속 하락하고 있다. 신규 유틸리티의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균등화 비용은 육상 및 해상풍력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 집광형 태양열 발전비용이 지난 10년간 급격히 하락했다. MWh당 태양광은 378달러에서 68달러로, 태양열은 346달러에서 182달러로, 해상풍력은 161달러에서 115달러로, 육상풍력은 86달러에서 53달러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화석연료 발전비용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신규투자도 활발하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석탄은 83GW에서 13GW로, 천연가스는 52GW에서 39GW로 감소한 반면 풍력은 45GW에서 90GW로, 태양광은 32GW에서 182GW로 증가했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경제성을 이미 확보했으며 투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장기적으로도 경제성이 더욱 증가할 것임을 의미한다.



DC의 지방분산을 위해서는 분산에너지를 기반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호주는 주민과 이익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해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호주 New South Wales주는 3GW 규모의 PV를 기반으로 재생에너지 전력을 100% 이상 확보하겠다는 목표 아래 주정부차원에서 계통연계를 지원하는 한편 지역과 수익을 공유하는 상생형 개발을 추진했다.

미국 버지니아주는 기존 농공업 중심산업에서 글로벌 최대 DC산업도시로 전환한 성공사례다. 첨단 IT기업 및 고급기술인력 유입으로 지역소비가 활성화됐으며 안정적인 세수확보도 가능했다. 여기에는 파격적인 인센티브 프로그램과 재생에너지 공급전략이 빅테크 기업을 유치할 수 있었던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버지니아주는 태양광 16.1GW, 풍력 5.2GW 등 재생에너지 21.3GW를 공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자체의 재생에너지 구축이 활발하다. 전남 ‘솔라시도’의 경우 부동지구 등 염해 간척지에 태양광 0.7~1GW규모의 발전단지 구축을 추진하며 초송·산이지구 등에도 태양광으로 1.6~2GW 규모의 발전단지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RE100 기업을 유치해 300MW 규모의 재생에너지 수요가 예정돼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에너지를 제대로 활용할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재생에너지 수용한계 초과로 출력제어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계통 불안정도 발생하는 상황이다. 최대수요전력이 400~500MW 수준인 봄·가을철에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계통 수용용량보다 높아 출력제어가 시행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 재생에너지 공급과잉으로 2015년 최초로 출력제어가 시행된 후 지속 증가하는 추세다. 2015년 3회였던 출력제한 횟수는 지속 증가해 2020년 77회로 늘었으며 2021년 5월 기준 55회가 기록됐다.

수요지역과 공급지역의 불균형을 장거리 계통송전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도 비효율적인 방안으로 평가된다.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송전선로를 건설하려면 2조원 이상을 10년에 걸쳐 지출해야 한다. 게다가 태양광발전은 송전 중 85%는 이송되지 못하고 손실되며 태양광 및 연료전지발전은 교류로 변전이 필요해 변전과정에서 추가로 5% 손실이 발생한다. 풍력도 간헐성이 존재해 변환효율이 30% 내외이며 장거리 송전 시 이용률이 다른 발전원에 비해 낮다. 결국 재생에너지는 분산형으로 지역에서 소비하는 방안이 최적이다.

이준신 성균관대 교수는 “EU, 미국 등 선진국은 재생에너지를 촉진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상황이 반대”라며 “재생에너지 기반의 지역균형발전은 기존의 보급중심 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며 다양한 에너지원의 진입이 가능해 전력계통을 안정화할 수 있는 기술확보 역시 가능해진다”라며 “이를 위해 지역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지역에서 소비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전력거래 방식을 마련해 신시장을 창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도권 DC, 안정적 전력공급 ‘불가능’

김종민 한국전력 수요전략처장은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현황 및 지방분산 지원방안’ 발표에서 “지역별 수급 불균형에 따라 수도권으로 융통해야 하는 전력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송전선로 제약으로 저원가 발전기 대신 고원가 발전기를 운전해야 해 전력구입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DC는 △경기에 56.3% △인천에 13.1% △서울에 6.3%가 분포하고 있으며 △강원 1.6% △충북 2.2% △대전·충남 6.8% △대구·경북 2% △전북 0.5% △부산·울산·경남 10.1% △광주·전남 1.4% 등으로 집계된다. 전국 147개 DC 중 수도권에 88건으로 총 60%를 차지한다.

이러한 DC의 수도권 집중현상은 당분간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지난 4월 기준 전기사용신청 건수는 110건으로 이중 수도권이 83건으로 75%를 차지한다. 전력수전예정통지건수도 전국 1,224건 가운데 수도권이 925건으로 76%에 달한다.



그러나 더 이상 수도권 DC들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은 강원도, 전라도 등 지방에 비해 송변전 전력계통 인프라에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전체 전력수전예정통지 1,224건 중 공급방안 검토결과 각 DC가 신청한 희망일에 공급가능한 건은 161건으로 13.2%에 불과하다. 수도권은 925건 중 40건만 적기공급이 가능해 4.3%에 그친다.

한전은 DC 지방분산을 통해 지역별 수급불균형 최소화를 추진 중이다. 먼저 비수도권 전기사용 신청 시 전기공사비 또는 요금을 할인하는 인센티브를 추진한다. 비수도권이면서 계통공급 여유지역에서 단독 공급받는 DC가 22.9kV를 공급받는다면 설계부담금의 50%를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한다. 154kV를 공급받는다면 예비전력 요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 40MW 기준으로 약 22억8,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60MW 기준으로 연간 1억6,0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대용량 시설에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는 조항을 명시하고 전력계통영향평가를 도입하는 패널티를 도입한다. 5MW 이상 대용량사업장 대상으로 전력계통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 전기공급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사용신청 시 전력계통영향평가서를 제출토록 해 대규모 전기사용시설에 대한 파급효과 평가를 전기공급 우선순위에 반영할 예정이다.

지방DC 유치, 네트워크·인력·운영비 등 지원해야

조헌혁 ICT 민간기업 데이터센터사업단장(LG CNS)은 ‘지방분산정책에 따른 민간사업 추진방향’ 발표를 통해 “LG CNS 부산 클라우드 센터는 국내 최초로 지방에 건립된 전용 DC”라며 “항공사진으로 보면 사막 위에 하얀 건물이 홀로 서있는 것처럼 국내 최초 지방DC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만난 다양한 장애물을 외롭게 극복했다”고 토로했다.

먼저 지방에 DC를 건립할 때 네트워크망 확보 문제가 있다. 해외 네트워크는 해저케이블이 부산을 통해 들어오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엔드유저는 주로 서울에 있다. 이에 따라 부산에는 네트워크사업자들이 없어 네트워크망 구축에 사업자들의 부담이 큰 상황이다.

또한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문인력 확보가 불리한 환경이다. DC는 건축도 중요하지만 건축 후 35년 이상 운영되는 시설로서 이를 위해 전문인력인 엔지니어 확보가 필수적이다. 40MW규모 DC를 운영할 때 통상 50~60man/month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방으로 갈수록 정주여건과 생활인프라가 수도권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어서 부산 클라우드센터의 경우 이직률이 20%에 달한다. DC가 많아지고 수도권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지방에 머무르고자 하는 엔지니어수가 적어지는 만큼 이들이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크다.


이와 함께 DC가 입주할 수 있는 차별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됐다. DC사업자들에게 가장 소구가 큰 조건은 운영비용의 절감이다. 특히 DC 운영비의 50% 이상을 자원, 에너지 등 수도광열비가 차지하는 만큼 이에 대한 정책마련이 시급하다.



조헌혁 단장은 “최근 정부의 지원정책들은 대부분 Capex(Capital Expenditure: 자본지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전체 공사비 1조원 이상인 DC프로젝트에서 몇억~몇백억원 규모로 지원하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다”라며 “DC운영 사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Opex(Operating Expenditure: 운영지출)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남, DC산업진흥조례 제정

김종갑 전라남도 전략사업국장은 ‘지방정부 데이터센터 유치 추진현황 및 사례발표’를 통해 “전남은 2021년 기준으로 전국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 중 4,506.8MW로 19%를 차지하며 재생에너지발전량도 5,516.7GWh로 15.5%를 차지해 모든 지자체 중 가장 많다”라며 “낮은 PUE로 운영할 수 있는 그린데이터센터는 재생에너지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지속가능성 및 ESG실현에 최적인 지자체”라고 강조했다.

전남은 권역별로 글로벌 DC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중부권 장성·나주지역에는 AI, 전력반도체, 에너지밸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을 유치하며 동부권 순천·광양 지역에는 NHN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이 들어선다. 서부권은 해남 솔라시도가 있으며 RE100과 재생에너지에 특화돼 TGK등 글로벌기업을 유치한다.



유치기업 사례를 살펴보면 장성 카카오엔터프라이즈 DC는 △파인앤파트너스자산운용 △KB증권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4,9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해 장성군 첨단3지구 내 3만3,058㎡ 규모로 40MW급으로 건립된다. 순천 NHN클라우드 DC는 NHN클라우드가 순천 도시첨단산단에 3,0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해 건립된다. 광양 KT클라우드 DC는 KT클라우드가 광양시 황금산단에 7,000억원을 2026년까지 투자하는 프로젝트다. 해남 TGK클라우드 DC는 △TGK △다이오스벤처스 △EIP자산운용 등이 해남 기업도시 내 24만7,930㎡ 부지에 2조6,000억원을 2030년까지 투자해 RE100 DC 5기 총 200MW급으로 건설하는 대규모 DC다. 해남 솔라시도에 들어서는 DC Park도 TGK가 투자하는 프로젝트다. 솔라시도 산업용지 중 약 30만평(약 99만1,735㎡)에 10조원을 투자해 40MW급 25동 등 총 1GW(1T) 용량의 DC를 2030년까지 구축한다.

또한 DC와 연계한 융·복합 사업모델을 개발하는 것 역시 DC를 유치하기 위한 전남의 핵심전략이다. DC의 온배수 폐열을 활용한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을 추진하며 재생에너지 생산자와 DC간 전력을 직거래할 수 있는 PPA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김종갑 국장은 “수도권 이전기업, 산단 입주기업, 지방중소기업 등 유형별로 법인세, 소득세, 재산세 등을 면제하거나 감면하는 세제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다”라며 “특히 전남은 RE100 실현을 위한 기반시설을 일부 지원하고 RE100 전력구매 요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한편 원활한 용수공급을 위해 관로를 연결하는 등 다양한 지원이 가능토록 DC산업 진흥 조례를 제정한 만큼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재생E 확대 추세, 계통문제 ‘심화’

이호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이번 정책포럼의 모든 발표가 이뤄진 후 총평에서 “지금까지는 피크 때 전력공급에 대한 부분이 문제였다면 앞으로는 전력계통의 문제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비중이 점점 높아져 갈수록, 경직성 전원의 비율과 변동성 전기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대규모 발전기업,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대부분 바닷가에 분포해 있는 반면 전력수요는 수도권에 집중된다”라며 “과거에 유효했던 규모의 경제 효율성은 전력측면에서 보면 이제 힘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호연 전력정책관은 또한 “앞으로 전력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우리나라 전력망이 경제성장을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라며 “DC를 지역으로 분산할 수 있다면 상당히 안정적인 전력개통 운영이 가능할 것이므로 DC사업에 유리한 인프라 구축, 인센티브 개발 등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