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더 뉴스

올해 총에너지소비량 1.2%↑ 전망

에경硏, “에너지수요 증가폭 둔화 예상”

2018년 총에너지소비량이 전년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에는 전년대비 1.2% 증가가 예상돼 증가폭이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이 지난 5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에너지수요전망’에 따르면 2018년 에너지 총소비량은 3억730만TOE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한 것으로 사상 최악의 여름철 폭염에도 석유화학 설비 정지, 경제성장률 하락, 유가 상승 등에 따라 이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원료용(비에너지유, 제철용 유연탄 등)이 나프타(naphtha)를 중심으로 감소하며 에너지소비 둔화를 이끌었으며 원료용을 제외할 경우 총에너지 소비는 전년 대비 2.7% 증가를 기록하게 된다.


에너지원별로는 석유와 원자력 소비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며 석탄과 가스 소비는 증가했다. 0.8% 감소를 기록한 석유는 국제 유가의 상승으로 수송용과 건물용 소비가 감소하고 산업용도 석유화학 나프타크래커(NCC) 설비 유지보수 증가, 사고로 인한 석유화학 설비의 비계획 정지 등 나프타를 중심으로 감소했다.


석탄 소비량은 2.5% 증가를 기록하며 전년 8.1%에서 증가폭이 둔화됐다. 발전용이 신규설비 진입 효과축소와 정부의 석탄화력발전 제한 등으로 크게 둔화하고 산업용도 철강경기 부진 등으로 둔화하며 증가세가 전년 대비 5.6%p 하락했다.


가스는 12.4% 증가했다. 원자력 발전량 급감을 가스발전이 대부분 대체하며 발전용이 급증하고 도시가스 제조용도 추운 겨울과 유가상승 등에 따른 도시가스 가격 경쟁력 향상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원자력은 10.1% 감소했다. 안전규제 강화 등 상당수 원전에서 예방정비 기간이 늘어난 가운데 고리1호기(2017년 6월)와 월성1호기(2018년 6월) 폐지효과도 발생하며 급감세를 지속했다.


전력은 3.6% 증가했다. 산업용이 전력 소비비중이 가장 큰 조립금속업을 중심으로 늘고 건물용도 겨울철 한파 및 기록적인 여름철 폭염, 주택용 누진제 한시 완화효과 등으로 증가했다.


부문별로 산업용은 둔화했으며 수송용은 감소, 건물용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은 1.4% 증가했다. 제조업 경기 부진과 석유화학 공장의 설비 보수 증가 등으로 증가세가 1%대에 그쳤다. 수송은 0.5% 감소했다. 자동차 대수 및 물동량 증가에도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감소를 기록했다.




건물은 4.8% 증가했다. 기온효과, 에너지요금 인하 등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하며 에너지 소비증가를 견인했다. 2018년 건물용 전력 소비는 전년 대비 4.9% 증가했는데 평년기온 수준이었다면 2%대 증가에 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건물용 전력 수요 증가율은 전년 대비 3.2%p 상승했는데 이 중 냉방용에 기인한 부분은 1.6%p, 난방용에 기인한 부분은 0.8%p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총 에너지는 전년대비 1.2% 증가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빠르게 증가했던 반도체 중심의 수출증가세가 2019년에는 둔화하고 민간소비도 둔화하며 에너지 수요 증가를 제한할 전망이다.


다만 이는 2018년에 이상 폭염과 한파로 급증했던 냉·난방용이 2019년에는 평년기온을 회복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어 올해도 이와 같은 이상기온이 지속될 경우 증가폭 감소추세가 주춤할 가능성도 있다.


건물용의 경우 한파와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2018년 건물용 전력 수요 증가세가 과거 평균 수준보다 두 배 정도 상승한 것을 보면 이와 같은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2019년 여름이 지난해만큼 덥거나 더 더워질 경우 전력 수요 증가율은 기준안인 1%대 중반에서 3%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