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영 한전 부장은 ‘국내 전력정책 현황 및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전망’을 발표하며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과 데이터센터 수요분산을 위한 한전의 노력을 설명했다.
국내에는 2022년 6월 기준 전국 146개(1,742MW) 데이터센터가 운영 중이며 이중 수도권이 86호(59%), 1,220MW(7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한전의 신규 대용량 데이터센터 고객접수가 늘고 있으며 우수한 인프라로 인한 수도권 입지편중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18년 한전의 신규 대용량 고객 총량 2,116MW 중 데이터센터 비중은 2%(40MW)에 불과했으나 2022년 3,737MW의 36%(1,344MW)를 차지하며 누적합계 1만5,106MW 중 데이터센터는 25%(3,789MW)를 기록하고 있다.2022년 6월기준 한전에 접수된 데이터센터 전기사용 예정은 전체고객 466호(3만2,263MW) 중 수도권이 426호(2만8,465MW)로 90%(88%)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데이터센터 전력사용량이 불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수도권 전력생산량에 비해 수요가 매우 큰 상황이다.
국가 전력망 효율 하락 우려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화 문제점은 송변전 계통보강 건설지연 및 적기공급에 곤란을 겪는 고객이 발생하고 부족한 전력공급을 위한 송변전 계통건설 및 운영비용 추가 발생 등 국가 전체 전력망의 효율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박찬영 부장은 “데이터센터 수요분산을 위해 관련업계와 면담한 결과 접근성, 상면임대, 실폐사례, 인력수급 등이 지방으로 이전할 수 없는 주요이유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특히 임대고객사와 데이터센터가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문제발생 시 신속대응이 어려워진다. 글로벌기업 및 금융사는 메인센터와 10km 이내, 통신지연시간 1ms 이내라는 기준이 요구되며 비수도권 임대수요 부족에 의한 경영악화 사례가 거론되고 있다.
한전은 데이터센터의 지방화를 위해 수도권에 계획했다가 비수도권으로 전환하는 고객들에게 한전의 편익을 돌려주는 형태를 검토하고 있다. 공급전압 범위 확대와 시설부담금 지원 및 1장소 다회선 공급 등이다.
또한 전력용량 여유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한전 홈페이지에서 지도상으로 여유지역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시·군·구 단위로 표시되지만 향후 읍·면·리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특히 클러스터 특구 최적입지를 검토하고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전력확보 및 대도시 접근에 용이한 단진 석문산단, 세종 테크노밸리를 비롯해 신재생 계획입지 및 LNG냉열 활용이 가능한 지역도 발굴하고 있다.
박찬영 부장은 “한전은 전기사용을 요구하면 공급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수도권 편중에 대한 자체적인 규제는 사실상 어려우며 정부 및 국회에서 심각성을 인지해 대책이 만들어질 것”이라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나 주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감안해 절차가 만들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