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정부도 이러한 국제적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국가 단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을 세우고 세부계획을 실행 중입니다. 특히 건물부문은 지난해 로드맵 개정 후 BAU대비 감축률이 18.1%에서 32.7%로 강화됐고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내년부터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건축물 인증의무화를 시작으로 2030년부터는 연면적 500㎡ 이상 민간건물까지 확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제 제로에너지건축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눈앞에 다가왔지만 아직 현장에서는 너무나 멀게 느껴지는 단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새로운 제도의 도입 초기에는 혼란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제로에너지건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패시브 설계기법, 고효율 냉난방설비, 신재생에너지 등 개별분야가 아니라 관련된 모든 분야의 협력이 아주 중요합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대의 건축기술과 고효율 설비기술 및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분야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해주고 있는 칸kharn이 제로에너지건축시대에 진입하는 독자에게 좋은 안내자가 돼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발간 4주년을 맞이한 칸이 앞으로도 선도적인 전문저널로 발돋움하고 관련분야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세계적인 저널로 거듭나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