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경험하고 있듯 미세먼지는 주로 난방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은 난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석탄 등 기존 화석연료 사용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들 생활에서 1년의 4분의3에 해당하는 9개월 동안은 냉난방을 하게 되며 에너지이용 패턴을 보더라도 전체 에너지이용량의 30% 정도가 냉난방을 위한 열공급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질적으로 반복되던 동하절기 전력난도 결국 냉난방 전력수요 급증이 발생 원인입니다. 신재생에너지정책에서 지열을 포함한 열에너지에 관심을 가져야할 충분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신재생에너지시장에서는 우리에게 더 많은 노력과 더 좋은 혁신기술을 요구할 것입니다. 이같은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얼마나 많이 보급했느냐는 양적인 실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잘 이용돼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느냐는 품질적 측면, 사후관리적 측면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미래 지향적 규제개혁과 관련기업들의 기술개발 노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정부정책이 필요합니다.
특히 규제와 제도의 조화를 통해 지열을 포함한 신재생열에너지분야에도 좀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확대돼 신기술의 개발과 시장진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한국지하수지열협동조합은 앞으로도 업계의 권익을 대변하는 한편, 지열에너지설비의 신뢰성 제고와 함께 시장 확대에 앞장서 노력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