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8.7℃
  • 맑음강릉 28.3℃
  • 맑음서울 29.4℃
  • 구름조금대전 29.1℃
  • 구름많음대구 29.0℃
  • 구름많음울산 25.6℃
  • 구름많음광주 29.2℃
  • 구름많음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6.8℃
  • 흐림제주 24.0℃
  • 맑음강화 25.5℃
  • 구름조금보은 28.4℃
  • 구름많음금산 28.9℃
  • 구름많음강진군 25.6℃
  • 맑음경주시 27.4℃
  • 구름많음거제 24.2℃
기상청 제공

더 뉴스

김진호 우원엠앤이 사장, 산업부 장관상 수상

핵심설계기술 및 연구 통한 설계경쟁력 강화 기여


김진호 우원엠애이 사장이 35녀난 기계설비 엔지니어링분야에 종사하면서 업계 발전에 맞춰 다수의 핵심설계기술 및 연구를 통한 설계경쟁력 강화 및 기계설비 전문인력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 엔지니어링의날 기념식’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김진호 사장은 국내 최고 엔지니어링기업에서 35년간 설계기술 자립화와 해외 신시장 개척에 기여해 왔다. 설비업계 최초로 전생애비용을 분석(LCC)한 효율적인 설비시스템 설계 도입과 가치공학(VE)을 통한 적절한 비용절감요소 도출, 시공 후에는 시험·조정·평가(T.A.B)를 통해 엔지니어링기술 선진화와 건물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및 에너지사용량을 절감시켰다. 

대표적인 사례인 서울시 신청사는 서울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LCC분석, VE, 유사건축물사례조사를 통해 저에너지 고효율 건물로 설계했다.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28.3%를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적용했으며 심야전기를 이용한 빙축열시스템 및 폐열회수설비를 도입해 연간 약 2억8,000만원의 전기료, 관리비를 절감했다.

세종시 신청사에서는 중앙냉난방의 열원에너지 100%를 신재생에너지지인 지열시스템으로 설계했으며 사용전력 및 물사용량 절감을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빗물이용시설을 계획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해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적이 건물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저에너지건축물로 조성했다.

이외에도 성남시 신청사, 전남도청, 마산지방합동청사, 서울시 제2공무원 수련원, 국립디지털도서관 국립과학관, 국회도서관 등의 건물에 친환경적이며 효율이 높은 시스템을 설계했다. 특히 충남도청사는 공공건물로서는 국내 최초로 건축물에너지효율 1등급 인증을 받았다.

서울 송파구 잠실운동장 일대 약 35만m² 부지에 조성되는 서울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공간 조성사업에서는 중앙냉난방의 열원에너지 100% 수열시스템으로 선정해 냉각탑이 없는 건물을 국내 최초로 제안, 설계해 수주했다. 또한 수소터빈폐열 활용시스템을 계획해 버려지는 잉여에너지 활용도를 높여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탄소배출을 낮출 예정이며 향후 실시설계에서 저탄소 에너지절감시스템을 추가로 반영할 예정이다.

김 사장은 특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이온몰(2014년), 캄보디아 프놈펜 이온몰(2013년), 주일본대사관청사 관저(2009년), 베트남 다낭시청사(2006년), 주센다이 총영사관(2005년)에 엔지니어링사로 참여해 탄소중립 및 에너지절약 설계기술의 신남방역으로 전파해 국위선양에 기여했다.

김진호 사장은 병원 설계기술 자립화와 해외 진출에도 기여했다. 병원 건물의 공조시스템은 재실자의 쾌적성뿐만 아니라 환자의 회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환자 맞춤형 공조시스템 제공, 24시간 운영되는 건물의 특성상 저에너지 고효율시스템 채택, 메르스, 코로나19 등 감염병의 실내 감염예방 등을 고려한 설계로 국민생활 향상, 병원설계기술 고도화와 자립화에 기여했다.

국내에서는 강남세브란스 새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새병원 세종 충남대병원, 이화여대 부속병원, 인천보훈병원, 삼성 창원병원, 분당 서울대병원, 서울 아산병원 등에 참여해 국민건강 증진 및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했으며 협력사의 국제병원 건설사업 입찰에도 압도적인 경쟁력 확보로 국내기업과 함께 해외에 진출했다.

베트남 108 국방부 중앙병원 증측(2020년), 파키스탄 아동병원(2017년), 베트남 175 국방부 병원(2016년), 몽골 ADB병원(2013년), 몽골 제1병원(2012년) 등 다수의 병원에 엔지니어링사로 참여해 병원설계기술의 신남방, 신북방지역으로 전파했다.

김 사장은 운동시설 및 농수산물 도매시장 등 대규모 시설 다수 설계진행으로 에너지절감기술 축정에도 앞장섰다. 국내 및 국제행사가 빈번한 상암동 월드컵 주경기장, 서귀포 월드컵경기장, 국가대표 종합훈련원 건립공사, 서남권야구장,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 평창동계올림픽 오버레이시설 설계 등에 에너지절감기술 설계와 편의성 제공 설계을 도입했다. 또한 적재물을 많이 보관하는 축협냉동창고, 서울시 농수산물 도매시장, 서남권 및 동부권 농수산물도매시장, 광명복합시설 물류센터 등 다수의 에너지소비 건축물 설계에 친환경에너지 도입으로 에너지소비량 감소에 기여했다.

특히 설비엔지니어링 전문기업으로서 건설산업의 글로벌 랜드마크 건설시장 진출에도 기여했다. ASHRAE Standard, IBC, IMC, IFC, IECC 등 해외코드 및 해외 지역법규 데이터베이스를 체계화해 글로벌 설계기준을 설계사, 시공사에 제공해 설계경쟁력을 제공하고 있다. 이란 아틀라스 프라자(2015년),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 스포츠시티(2013년), 필리핀 아레나공연장(2011년), 아제르바이잔 바쿠올림픽스타이움(2011년), 베트남 하노이 랜드마크타워(2018년) 등 해외 랜드마크 건설에 엔지니어링사로 참여해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에 기여했다.

김 사장은 연구를 통한 기계설비 신기술 개발 및 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동안 △다중분산발전 기반 옥상온실형 스마트 그린빌딩 융복합시스템 개발 및 실증(2021년) △자율운전 기반 지능형 건물에너지환경 통합관리시스템(iBEEMS)(2021년) △가상에너지 생산공급설비 활용 산업단지에너지 공동 네트워크 개발 및 실증(2020년) △도시방재를 위한 센서기반 지하공동구 이상기류 감지 스마트환기 제어시스템 개발(2013년) △수출용 고온다습형 스마트온실 패키지 모델 개발(2021년) △스마트시트 등에 적용을 위한 4세대 지역난방 최적기술 모델 개발(2019년) △제로에너지 건물연계 지역난방 최적 열공급시스템 개발 연구(2018년) 등을 참여해 탄소중립정책과 새로운 설비시스템 개발에 앞장섰다.

김 사장은 국내 최초로 2D CAD 설계기술을 도입해 생산력 향상 및 엔지니어링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3D BIM 전용 프로그램인 KMBIM 등 디지털 설계기술 숙련도 향상을 위해 사내 교육제도를 마련하고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