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2024년 전망] 송두삼 그린리모델링얼라이언스 총괄위원장

“녹색건축, 기업‧전문가 양성…선진제도‧기술‧인력 등 발굴해야”
GR, 민간참여 유도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 절실

송두삼 그린리모델링(GR) 얼라이언스 총괄위원장(성균관대 교수)은 지난 2019년 대한설비공학회 부회장을 역임하며 그동안의 연구 및 교육 경험 등을 바탕으로 설비공학회 내 ‘제로에너지빌딩(ZEB)시스템 전문위원회’를 창설했다. 이를 통해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ZEB의무화를 홍보하는 한편 관련종사자들이 ZEB 관련개념 및 요소기술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실효적으로 ZEB를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강연, 세미나 등의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건물에너지분야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저탄소 사회비전포럼’ 건물부문 위원장으로 참여해 건물분야 탄소중립 달성전략을 주도적으로 작성했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기존 노후건물 에너지성능을 개선하는 GR사업을 기획하는 한편 GR 지역전문가 양성을 위한 GR 지역거점 플랫폼사업을 기획했으며 현재 수도권사업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 송두삼 위원장은 현재 국내 대표 GR 전문가로 국내를 넘어 해외와 연계를 통한 GR 국제네트워크 구축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송두삼 GR 얼라이언스 총괄위원장을 만나 GR시장 전망, 탄소중립시대 녹색건축 전망 등을 들어봤다.   

■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 필요조건은   
정부는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전략으로 신축건물 ZEB의무화, 노후건축물 GR을 추진하고 있다. 2030년부터 모든 신축건물은 냉난방, 환기, 급탕, 조명 등에 필요한 연간에너지를 주거건물의 경우 1차 에너지 90kWh/m² 이하, 오피스 건물의 경우 1차 에너지 140kWh/m² 이하로 해야 하며 1차에너지소요량의 최소 20%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한다. 

그러나 2021년 국토부가 발표한 국내 건물현황에 따르면 전체 건물 731만동 중 30년 이상 건물은 전체 건물의 39.6%, 15년 이상 건물은 전체의 67.6%로 국내 대다수를 차지한다. 즉 국내 건물부문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해 기존 노후건물이 에너지성능을 개선하는 리트로핏(Retrofit) 또는 GR이 선결돼야 한다.


■ 해외건물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 탄소중립을 새로운 경제부흥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 EU는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리노베이션 웨이브(Renovation Wave) 이니셔티브’를 2020년 10월14일 발족했다. 리노베이션 웨이브는 건물에너지 성능표준 마련 및 최저기준 적용의무 도입을 통해 2030년까지 현 수준보다 최소 2배의 개보수(Renovation 또는 Remodeling)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건물부문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달성, 일자리 창출, 거주자 삶의 질 향상 등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리노베이션 웨이브는 추진전략으로 입법화, 금융지원, 프로젝트 지원, 스마트빌딩화,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 에너지빈곤 해결, 냉난방 탈탄소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EU는 이를 위해 매년 2,750억유로를 EU 예산, 민간 투자유치 및 녹색금융 활성화를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2020년부터 GR이 진행돼 오고 있으며 2021년 기준 약 2,000억원 규모의 국비가 지원돼 전국 841개 소규모 공공건물에 대해 추진 중이다. 사업비용은 서울시의 경우 국비 50% 지원, 지자체 부담 50%로 사업이 전개되고 있으며 기타 지자체의 경우 국비 70%, 지자체 부담 30%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GR 의무화가 시행된다. 

미국의 경우 건축학회(AIA)가 ‘Architecture 2030’에서 제시한 ‘Roadmap 2050’이 있다. 이 조직은 에드워드 마즈리아(Edward Mazria)가 이끄는 비영리단체로 전 세계 건물분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시나리오는 2016년 기준 신축건물은 2020년까지 2016년대비 건물 탄소배출량의 약 80%, 2025년 약 90% 감축된 건물로 건축돼야 하며 203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개발도상국의 경우 매년 전체 건물의 2%, 선진국의 경우 3% 가량을 GR을 통해 2047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감안해 국내 기축건물 731만동을 매년 3%(21만9,000동)씩 GR하면 2050년 약 90%의 건물이 저에너지건물로 리모델링된다. 건물 1개동당 GR 비용을 약 2억원으로 추산하면 연간 약 43조8,000억원의 GR 비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부주도로 구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민간 참여연계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이 절실하다. 



■ 녹색건축분야 개선방향은   
국내 녹색건축 관련기준으로 △녹색건축인증(G-SEED) △에너지절약계획서 △건물에너지효율등급 △ZEB인증 등이 마련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증기준을 달성한다고 해도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한다고 보장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G-SEED는 건물 계획단계, 준공단계의 성능기준일 뿐 실제 운영단계에서 에너지절감량을 체크하지 않고 있다. 이로써 G-SEED, ZEB인증을 받은 건물의 경우에도 실제 운영단계에서는 일반건축물과 비교해 에너지절감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탄소중립시대 녹색건축은 실제 운영단계에서 기존대비 혁신적인 에너지절감 또는 ZEB성능을 보장해야 하며 이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주안점은 인증건물들이 실제 운영단계에서 에너지절감, 온실가스 배출저감의 정량적인 목표 달성 여부에 대한 보고 및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다. 

가장 개선돼야 할 제도는 건물에너지효율등급을 평가하는 ECO2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프로그램이다. ECO2 프로그램은 월간계산법으로 대상건물의 에너지성능을 다른 건물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용도로 녹색건축을 선도하는 역할을 했지만 문제는 이 성능평가 결과가 실제 건물 운용상 에너지소비량, 절감량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최근 녹색건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으나 ECO2 입력값 한계로 관련기술의 에너지절감효과를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기술들이 시장에서 수용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ZEB인증 시 건물커미셔닝 의무화를 제안코자 한다. 건물커미셔닝은 건물외피 및 건축설비의 실제성능을 확인하고 본래의 성능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이다. ZEB인증 건물의 경우 커미셔닝을 통해 대상건물의 실제성능이 인증수준에 부합되는지 확인해 기준에 미달할 경우 성능이 구현되도록 추가 조치를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 ZEB인증기준, GR 관련기준에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설령 ZEB인증을 획득해도 실제 운영단계에서 이에 부합하는 성능이 발현된다고 보장하기 어렵다. 

녹색건축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며 전 세계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 우수한 녹색건축기업, 전문가를 양성해 이들이 해외시장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정부는 관련제도의 선진화, 기술개발, 인력양성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