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PU), 페놀폼(PF)와 같은 복합단열재의 장기열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인 고온가속화 방법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규격이 개정될 전망이다. 최근 개최된 KS M ISO 11561 산업표준심의회에서 관련내용을 개정하는 것으로 방향이 모아졌다. 전문위원회에서 찬반의견을 다수결로 모은 결과 참석위원 대다수가 찬성해 개정에 동의하는 입장을 표했다.
이번 개정방안은 단열재장기열전도율(LTTR)을 보다 신뢰있게 평가하기 위해 고온가속화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국내 PU, PF단열재업계는 이번 개정을 통해 글로벌기술표준과 조화를 이루며 시장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행 국제표준인 ISO 11561은 균질한 재료에 대해 슬라이스방법을 통해 LTTR을 측정하도록 규정한다. 단열재를 10mm 두께로 얇게 자른 후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균질한 재료에는 적합하지만 복합구조단열재 성능평가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면재가 반드시 필요한 우레탄 및 페놀폼 단열재 업계는 복합단열재에 적합하지 않은 슬라이스시험방법 대신 고온가속시험방법을 도입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정을 요청해왔다.
복합구조단열재는 표면고밀도층과 심재층으로 구성되며 슬라이스방식은 이러 구조적특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 ISO 11561 표준 1항 적용범위를 살펴보면 슬라이스방법은 표면을 처리하지 않은 균질한 재료에만 적용한다고 적시돼있다. 또한 부속서 B에서는 ‘슬라이스방법은 PIR(경질폴리우레탄) 및 PF 제품의 장기열저항을 측정하는데 충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고 적혀있다. 그럼에도 기존 ISO 표준에는 이를 대체할 다른 측정방법이 없어 부적합한 방식으로 평가가 계속 이뤄져 왔다.
업계는 그간 EN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온가속화방법이 복합단열재의 장기열전도율을 실제와 가깝게 계산해낼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EN 13165 및 EN 13166 기준에서 사용되는 이 방법은 단열재를 70℃에서 175일 동안 건조한 후 열전도도를 측정한다. 이 과정에서 면재 및 표면고밀도층을 포함해 측정하기 때문에 복합구조단열재 장기열성능을 보다 타당성있게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 생산·유통되는 페놀폼 단열재를 EN 13166 기준에 따라 3년간 열전도도 실측평가를 진행한 결과 감소율이 5.8%로 나타났으며 EN 방식에 의한 예측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럽 PF기업 제품에 대해서도 1997년 생산해 적용한 제품을 2009년 채취해 열전도율을 실제측정한 결과 0.0199W/m·K로 나타나 장기성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처럼 LTTR 도입 및 제도적 규제기반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복합단열재에 대해 보다 실제와 유사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시험방법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시험방법의 차이가 업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각 소재별 단열재를 ISO와 EN 규정에 따라 각각 시험한 결과 EPS, XPS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비교적 차이가 적었으나 PIR과 PF는 2배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N 13165/13166 규격은 유럽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활용되며 글로벌 기술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번 KS M ISO 11561 심의위원회는 이러한 국제적 기준을 반영해 ISO 11561 TC 163에 개정의견을 제출할 방침이다. 기존 슬라이스방법의 한계를 보완해 복합구조단열재성능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체계마련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심의위원회는 최근 4년 주기로 개정여부를 판단하는 TC 163의 평가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이러한 의견을 제출했으며 받아들여질 경우 개정절차를 거쳐 2~3년 후 관련내용이 반영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국내단열재산업은 국제표준과 조화를 이루며 에너지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