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원장 고상연, 이하 진흥원)은 7월10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내륙도시 녹색건축 조성을 위한 국책기관 연계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내륙도시란 해안에 접하지 않고 내륙에 위치한 대규모 도시를 의미하며 특·광역시·도 17개 중 광역시 3개(광주, 대구, 대전), 기초지자체 226개 중 154개가 내륙도시로 파악된다.
이번 토론회는 광주광역시와 같은 내륙도시가 직면한 녹색건축 실현에 따른 현실과 과제를 공유하고 국책기관과 협력을 통해 실행가능한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행사는 진흥원이 주최하고 △광주광역시 △건축공간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호남대학교 △광주도시공사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건축물 전환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특히 광주처럼 공간적 제약과 제도적 한계를 동시에 안고 있는 내륙도시의 실질적 해법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은석 건축공간연구원 녹색건축센터장이 ‘탄소중립을 위한 새정부의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으며 김종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내륙도시 건축물 에너지전환과 사례’를, 강재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건물 에너지절감을 위한 그린리트로핏기술’을 중심으로 내륙도시 녹색건축을 실현을 위한 기술 및 정책 연계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김흥식 호남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내륙도시 녹색건축 조성을 위한 국가사업과의 협력방안 모색이라는 주제’하에 △이봉수 광주도시공사 도시주택연구소장 △김주욱 조선대학교 교수 △정윤남 전남대학교 교수 등이 지역의 현실을 반영한 실천 전략과 법·제도 정비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갔다.
광주광역시는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비중이 43%에 달할 정도로 높은 편이며 고밀도 개발구조와 공간제약으로 인해 재생에너지를 대규모로 도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단위의 성능개선을 넘는 지역·커뮤니티기반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국가차원의 녹색건축 제도 및 기술과 내륙도시의 정책수용성간 간극을 좁히고 중앙정부 및 국책기관, 지자체가 협력하는 실행구조를 마련하고자 했다.
진흥원은 공공기관으로서 지역내 모범사례를 마련하기 위해 2024년 청사의 에너지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기축건물 중 대수선없이 ZEB 1등급을 획득한 최초의 공공기관 사례를 만들었다. 이는 기존 청사를 활용한 고도화 사례로 에너지자립률 163%를 달성하며 기축건물의 녹색건축물로의 전환가능성을 보여줬다.
현재는 환경부 지원을 받아 금년 내 ‘사용 후 배터리(UBESS)’를 활용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내 녹색건축 실천기반과 에너지복지확산을 위한 실효적 모델을 마련하고 있다.
고상연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원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건물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지역특수성과 수용성을 고려한 녹색건축전략 마련이 절실하다”라며 “향후 국책기관 및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광주광역시가 전국의 내륙도시 건축물의 에너지전환과 녹색건축의 선도사례가 될 수 있도록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