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는 6월23일 ‘차세대 대체냉매 기술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대체냉매관련 국내·외 정책과 기술동향을 파악해 산업구조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고자 마련된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HFCs 감축정책과 냉매수급동향 등이 공유됐다. 국내외 HFCs 감축정책·기술동향 공유 장재훈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센터장은 국내외 HFCs 감축정책과 기술동향을 설명했다. 글로벌 국가들은 대체냉매 사용기기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미국은 고효율 HVAC 시스템개발과 상업용 대용량 설비기술 확대를 추진 중이며 냉매누출방지 기술개발 로드맵 등을 구축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일본도 정부주도아래 대체냉매 사용기기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AI기반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춘 기술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폐기·재생부문 기술개발이 활발한 상황이며 재생냉매 품질에 대한 표준화도 이어지고 있으며 F-Gas 규제에 대처해 재생과 재활용기술 개발도 활발한 상황이다. 2030년 이후 강화된 정책으로 R-410냉매를 감축하기 위한 강화된 냉매체계기반의 정책을 수립하고
전 세계 공기조화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인증으로 평가받는 ‘유로벤트(Eurovent)’를 바탕으로 유럽의 선진 인증제도와 정책 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히트펌프, 콜드체인 유로벤트 인증·기술·정책 세미나’가 지난 6월18일 개최됐다. 유로벤트는 제품 성능검증을 비롯해 회원국간 협력을 통한 데이터 솔루션 제공, 시장정보 분석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중 ‘유로벤트 마켓 인텔리전스(Eurovent Market Intelligence)’는 유럽을 포함한 글로벌 HVAC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시장 진출전략을 모색하는 분석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유로벤트 인증은 객관적이고 검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성능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소비자와 산업계 모두에게 신뢰성을 제공한다. 특히 성능수치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해 품질보증과 시장투명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제조사 입장에서도 유로벤트 인증은 공정한 경쟁환경을 조성하고 고효율 제품에 대한 시장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와 함께 에너지절감 효과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실현에 기여하는 핵심도구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산업통상자원부 △KETEP △KIAT △한국에너지공단 등이 주최했으며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