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숨통 트인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
최근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장 어려운 산업분야 중 하나가 ‘목제펠릿산업’분야 일 것이다. 특히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는 사업특성상 산림청의 보급의지에 따라 보급수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산림청만 바라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 내년도 보급수량을 올해보다 50% 늘린 3,000대로 늘려잡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에 숨통이 트였다.가정용 목재펠릿보일러는 2012년을 기점으로 시장이 나뉜다. 바로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가 시행되기 이전과 이후다.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가 도입된 이후 가정용 펠릿보일러업계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때 50여개에 육박했던 가정용 펠릿보일러기업이 있었으며 A/S 등은 요즘말로 ‘아몰랑’하면서 펠릿보일러 보급을 담당하고 있던 산림청을 비롯해 기술력을 갖춘 기업까지 판매에만 몰두했지 고객만족을 모르는 기업으로 손가락질을 당했다.이때 산림청에서 꺼낸 카드가 바로 ‘신재생에너지설비인증제도’였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서 한때 50여개에 육박했던 ‘아몰랑’ 가정용 펠릿보일러사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특히 산림청은 ‘목재펠릿 사후관리모니터링 및 A/S전담반’ 운영을 통해 부도, 폐업처리된 보일러사가 전국에 설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