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대회 액침냉각부문에서는 데이터센터(DC)의 높은 발열량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액침냉각 방식에 주목했다. 액침냉각이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액체에 전자기기를 침전시켜 열을 식히는 냉각기술을 말한다. 공기냉각방식보다 효율이 높아 전력소비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DC 액침냉각 폐열, 흡착식 히트펌프로 냉각효율 극대화 부경대학교 연구팀은 “DC 액침냉각폐열 활용 흡착식 히트펌프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해 액침냉각폐열 활용한 흡착식 히트펌프 냉각효율을 분석했다. 연구는 액침냉각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약 53℃ 폐열을 열원으로 활용해 추가 냉각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MOF(Metal Organic Framework) 흡착제를 사용한 결과 단위흡착제 질량당 냉각성능(SCP)은 256W/kg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흡착제의 열 및 물질전달을 향상시키면 DC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라며 “이번 연구는 흡착식 히트펌프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첫단계로 향후 SCP를 더 높이기 위해 흡착제의 열과 물질 전달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둘 것이다”고 밝혔다. 액침냉각과 폐열 활용으로 DC 냉각기술 초고효율화 DC
김효진 스피폭스 부사장이 지난 11월2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2024년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정기총회에서 여성설비인상을 수상했다. 여성 설비인으로서 온돌용 열전도판인 파파야시스템을 활용해 탄소중립에 적극 참여하고 기계설비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평가받았다. 스피폭스의 차세대 주요사업부문인 파파야시스템 열전도판은 알루미늄 콘덴서용 케이스를 만들고 남은 스크랩에 특허기술인 양면 특수도금 및 부식방지 코팅기술이 적용된다. 이 특수코팅 처리한 그물망 형태의 제품은 자원순환율 100%를 달성했다. 파파야시스템 열전도판을 온수파이프와 시멘트몰탈 사이에 설치하면 알루미늄과 동의 뛰어난 열전도도에 의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열이 전달되고 축적됨으로써 바닥 에너지저장량이 극대화된다. 이에 따라 더 많은 복사열이 방출돼 겨울철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22%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탄소중립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성능을 평가받아 그간 다수 수상실적을 확보한 바 있다. 중소벤쳐기업부에서는 성능인증을, 환경부에서는 녹색인증을 획득했다. 설치실적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LH 향남지구, 신반포 21차 포스코이앤씨, 인천 청라 한양 등 아파트 단지들과 다수의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 회장 강중협)는 비수도권 데이터센터(DC) 산업인력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그린DC 전문인력 양성 재직자과정 교육’ 내 참여형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DC트렌드 세미나’를 12월9일 부산 센텀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DC재직자 및 유관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친환경·고효율 DC기술 관련 트렌드를 습득하고 최신 DC 산업동향을 파악해 업무역량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기획됐다. 12월9일 오후 1시 부산 해운대 센텀호텔 18층 에메랄드홀에서 실시하는 이번 세미나는 ‘친환경 고효율 DC기술 트렌드’라는 주제로 관련분야의 전문가 4명이 연사로 참여한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유럽의 친환경 DC관련 기술트렌드(TUV-SUD 코리아) △DC 사용 후 장비의 자원 재순환(한국스코프쓰리협회) △차세대 배터리를 이용한 친환경 비발화성 UPS(코스모스랩) 등 4개 세션으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며 각 분야별 산업계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선다.
삼성물산은 12월4일 부사장 6명, 상무 16명을 승진시키는 2025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삼성물산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와 신사업을 통해 견고한 성장을 이어가고자 추진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미래 성장을 리드할 수 있는 인재를 발탁했다고 설명했다. 상사부문에서는 △조희섭 부사장 △최석 부사장 △김형국 상무 △배정환 상무 △이일한 상무 △정용수 상무 △조영진 상무 등을 임명했으며 건설부문에는 △김성준 부사장 △김영래 부사장 △장병윤 부사장 △조혜정 부사장 △강신혁 상무 △김주영 상무 △노정수 상무 △류길상 상무 △윤동훈 상무 △윤준영 상무 △임진석 상무 △정환우 상무 △형시원 상무 등이 임명됐다. 패션부문에는 △송태근 상무가, 리조트부문에는 △정태진 상무 등이 임명됐다. 삼성물산은 이번 2025년 경영진인사를 마무리했으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센터장 이용성)는 ‘서울시2024년유아특화환경교육사업’ 수행기관인 에코플레이와 협력해 10월부터 11월까지 대기환경을 주제로 한 '해치와 함께 푸른하늘을 만들어요'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상암동 ‘평화의공원’에 위치한 국내최초 에너지자립형 친환경공공건물로 서울도심 속에서 환경‧에너지‧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이다. 에코플레이는 ‘교육과 기술로 환경을 지키는 사업적 기업’을 지향하는 환경교육기관으로 △안전한 환경 △착한기술 △건강한성장을 추구하며 지구를 살아가는 모두를 위해 의미있는콘텐츠, 교육,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에코플레이는 ‘서울시 2024년 유아특화 환경교육사업’ 수행기관으로서 대기환경과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특화프로그램을 개발했으며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프로그램 개발안에 자문하고 개발프로그램 시범운영을 협력‧지원했다. 에코플레이는 서울시 주요 △환경이슈(대기환경, 자원순환 등) △유아환경교육 생태전환적 패러다임변화 △개정누리과정 △유아의놀이성 △발달단계적 유아기특성 등을 반영해 AR체험기반놀이‧체험형 유아특화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대기환경주제의 '해치와
에너지관리 및 자동화분야 디지털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기반 대형 상업시설에 적합한 차세대 무정전전원장치(UPS) ‘갤럭시 VXL’을 출시했다. 갤럭시 VXL은 500~1,250kW(400V) 용량을 지원하는 3상 무정전전원장치(UPS)로 고밀도기술은 물론 안정적이며 내결함성 있는 설계를 모두 갖춰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및 서비스 제공업체 핵심 IT인프라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해당 제품은 컴팩트한 사이즈로 기존 갤럭시V 시리즈 UPS 대비 설치 공간을 50~70% 개선했으며 에너지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가용성과 운영효율성 및 핵심부하 보호기능을 강화해 총소유비용(TCO)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갤럭시 VXL은 이중변환모드에서 최대 97.5%, 특허받은 고효율모드인 이컨버전(eConversion)에서는 최대 99%효율을 달성해 업계최고수준 클래스1 전력보호기능을 제공한다. 에너지절감을 통해 3년 내로 초기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으며 UPS시스템 탄소배출량도 절반수준으로 절감해 지속가능한 운영환경을 가능케 한다. 특히 갤럭시VXL의 확장가능한 모듈형설계는 초기설비투자비
유원엔지니어링(대표 박성규)은 11월29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4년도 동계학술발표대회’에서 특별세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세션은 △냉동기 유지보수와 에너지 절약(김찬곤 유원엔지니어링 상무) △비상 우수배수설비의 적용방안과 기후변화 적응전략(신효건 유원엔지니어링 팀장) △열구동식 변풍량 디퓨져를 적용한 건물의 공조시스템 운전사례(김지혜 유원엔지니어링 책임) △치환공조기술의 에너지절감 해외적용사례(김정수 유원엔지니어링 팀장) 등 발표로 구성됐다. 냉동기 유지관리, 탄소중립 열쇠 김찬곤 상무는 ‘냉동기 유지보수와 에너지 절약’을 주제로 발표했다.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고자 그린리모델링(GR)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린리모델링이란 노후건축물에 에너지 절감공사와 친환경 자재시공을 실시해 에너지성능을 강화하며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뜻한다. 김 상무는 “노후건물 에너지성능 강화 및 탄소중립의 열쇠는 기계설비에 있으며 설비 유지보수 중요성을 파악하며 냉동기관리에 주목했다”라며 “건축물 기계설비 안전 및 성능을 확보하면서 기계설비 유지관리 계획을 수립해 성능점검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법이 2021년 8월9일 제정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1월29일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대회 ‘태양에너지 특별세션’이 성료됐다. 강연자들은 PVT(Photovoltaic Thermal)·BIPVT 등 태양열에너지를 활용한 성능개선연구 성과발표와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 등을 진행했다. PVT E사용량·난방적용가능성 연구성과 공유 방민규 서울대학교 건축학부 연구원은 PVT연계 바닥복사난방시스템 에너지사용량·난방적용가능성 평가를 진행했다. 기존 PVT에서 생산된 낮은 온수온도로 인한 단독사용의 어려움이 있으며 PVT는 일사량이 있는 경우에만 작동가능했다. 연구진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PVT·저온수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의 에너지사용량과 난방적용가능성 평가를 통해 저부하 조건에서 PVT 활용가능성을 평가했다. 시스템은 PVT 축열조, 보조열원, 바닥복사난방시스템으로 난방부하를 위해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을 적용했으며 PV(태양광패널)를 통해 얻은 온도가 낮으면 보조열원으로 활용해 온도를 높이도록 했다. 연구에 사용한 PVT는 폴리머 소재로 기존 PVT와 다른 방식인 진공흡착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TRNSYS 18’을 활용해 모델링을 진행했다. PV측 제어방식은 PVT패널온도 탱크 하부온도가 10℃ 이상이면 PVT 펌프를 작동
서울아리수본부(본부장 한영희)는 수돗물 원수인 한강물을 취수장에서 정수센터로 보내는 관인 ‘도수관로’를 활용해 청정 신재생에너지인 수열에너지를 보급할 대상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수열에너지는 여름철 수온이 대기보다 낮으며 겨울철에는 높은 특성을 활용하여 물을 열원으로 히트펌프를 통해 냉난방하는 시스템으로 연소 과정이 없어 친환경적, 보일러·에어컨 대비 에너지절감효과가 탁월하다. 잠실롯데타워는 2014년부터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냉온수기 에너지사용량대비 35.8%, CO₂배출량의 37.7%를 절감했다. 이번에 선정된 실증사업 대상지는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 민간투자사업’과 업무·문화복합시설 ‘성수동 K-PROJECT 복합개발 신축공사’ 등이다. 서울시는 지난 5월 연중 상시 수열에너지 활용 희망 대상지를 공모한 이후 평가위원회 정량평가와 사업계획, 현안분석 및 대응 계획, 기대효과 및 사후관리 등 정성평가를 거쳐 최종 공급대상지를 선정했다. 대상지로 선정된 사업자에 도수관로 원수를 수열에너지 열원으로 우선 공급할 예정이다.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 민간투자사업’에는 1시간 최대 1만6,000RT가 ‘성수동 K-PROJECT 복
태양광 전문기업 더드림글로벌(대표 윤춘이)은 베트남 롱안성 푸옥빈 타이 지역 새우 양식장에 신재생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시공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 태양광과 같은 친환경에너지 활용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녹색에너지연구원의 참여하에 베트남 현지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해 양식업의 경제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 실현을 목표로 진행됐다. 실증지는 총 640.2㎡ 규모로 양식장에 태양광, 배터리 시스템, EMS 시스템 그리고 비상용 디젤 발전기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해 현지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기술과 데이터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더드림글로벌은 마이크로그리드기반 솔루션을 통해 에너지비용을 절감하며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높여 시장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제공했다. 또한 실내형 스마트양식장 전환정책과 연계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관리솔루션을 제시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11월 시공이 완료돼 현재 본격적인 실증단계에 돌입했다. 더드림글로벌은 이번 사업을 통해 새우 양식장 에너지 자립률 50%을 목표로 에너지비용 절감과 전력 공급의 효율성 향상효과를 기대하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최준영)는 지난 11월29일 열린 2024년 동계학술대회 '열교환기'세션을 개최했다. 강연자들은 판형열교환기와 지중열교환기 등 열교환기 관련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판형열교환기 최적상관식 DB구축 연구실증 유럽에서는 2029년 1월부터 과불화화합물(PFAS)은 물질사용이 금지된다. PFAS 규제가 현실화 되면 가용 가능한 냉매는 △R290 △R744 △R717 등으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중 R290냉매는 R744냉매대비 냉방효율이 높지만 가연성 냉매이므로 정확한 충전량 평가 기술과 충전량 저감 전략이 필요하다. 송지원 중앙대 지능형에너지산업융합학과 학생은 R290냉매를 활용한 판형열교환기 연구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연구에 앞서 판형열교환기 열전달상관식을 조사하며 최적상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후 최적상관식 기반 대칭형·비대칭형 판형 열교환기 모델링을 진행했다. 연구결과 실제 열교환기 용량과 예측 용량이 10% 내외로 나타났다. 이후 열교환기별 냉매충전량을 예측해 과충전 상황에 대한 해석을 진행했다. 연구진들은 1차 상관식 후보군 선정을 선정하고 시뮬레이션 조건을 정리했으며 R410a 히트펌프시스템루프를 통해 응축상관식조합을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최준영)는 지난 11월29일 열린 2024년 동계학술대회에서 ‘에너지시뮬레이션’ 세션을 개최했다. 강연자들은 에너지절감을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재실자 쾌적범위 도출사례 공유 최근 에너지사용설비 효율개선을 위한 연구로 예상 평균온열감(PMV)기반 HVAC시스템 자유제어 기능을 통해 과잉제어를 방지하며 에너지사용량을 최적화하는 최적제어 방식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때 냉방기기 자유제어 측면에서 재실자 열적쾌적성을 예측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PMV와 예상 불만족률(PPD)기반 재실자 쾌적도 예측 시 프라이버시 등 문제가 발생해 정확한 값을 낼 수 없다. 김태연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은 기존방식의 단점을 보완해 불만족지점이 최소로 발생하도록 하는 온·습도 쾌적범위를 결정하는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했다. 실내 온습도가 극한조건이 형성될 경우와 시스템 운전제어를 수행하는 순간의 실내 온·습도를 불만족지점으로 표기한 뒤 △소거법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KNN(K-nearest Neighbor) 등 총 세종류의 알고리즘
서진공조는 1981년 설립돼 공조설비시스템 설계, 제조 및 유지보수관리 전문기업이다. 주거 및 업무시설, 산업 및 상업시설은 물론 고도의 환경관리가 필요한 연구시설 등에 최첨단 공조시스템을 구현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관리와 친환경공조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에너지효율 향상과 운영비용 절감 및 탄소중립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서진공조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투자 및 최신기술확보를 통한 기술중심, 고객요구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전문인력과 등록특허 27건, 출원특허 7건, 디자인 1건, 실용신안 1건 등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엄격한 품질관리시스템으로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서진공조는 최근 항공기 냉난방 공급시스템인 PC-AIR(Pre-Conditioned Air System) 고도화 국책 R&D과제를 수주했다. 이번 과제 총괄을 맡은 김종률 서진공조 연구소장을 만나봤다. ■ PCA시스템은 어떤 시스템인가 PCA는 항공기에 냉방과 난방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항공기 냉난방 공급시스템(PC-AIR: Pre-Conditioned Air System)이다. 항공기는 운항 전
산업발달과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인해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됨에 따라 환경제어기술은 필수적으로 확보돼야 할 전략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고급 핵심기술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국산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해외시장 개척과 친환경소재인 셀룰로오스 기반 나노부직포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이한호 에코필텍 대표를 만나 시장동향 및 중장기 기업비전에 대해 들어봤다. ■ 에코필텍은 어떤 기업인가 에코필텍은 2014년 설립 이래 실내 공기청정기, 환기시스템, 자동차 공기여과기(필터: Filter) 등을 생산하는 전문 제조기업으로 성장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슈되고 있는 초미세먼지와 각종 유해 화학물질, 인체를 위협하는 감염 바이러스로부터 인류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환경친화적인 필터분야 국산 신기술 개발과 제품생산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2016년 미세입자와 유해가스제거가 동시에 가능한 복합 공기청정기 및 필터를 개발했다. 2019년에는 전이금속을 이용해 암조건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하며 항균성이 우수한 자동차 캐빈필터를 개발하고 초미세먼지를 제거했다. 2023년에는 항바이러스와 탈취기능을 구비하며 복합화한 환기장치용 고성능
1983년 설립돼 스웨덴 란스크로나(Landskrona)에 본사를 두고 있는 SWEP은 HVAC&R 및 산업용에 적용하는 브레이징 판형열교환기(BPHE)의 전 세계 선두 공급기업이다. 1,100명 이상 전담직원을 보유한 SWEP은 스웨덴, 슬로바키아,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등 5개국에 생산공장을 건립해 전 세계에 진출해 있다. 또한 20개국에 지사와 50개국에 대표부를 두고 있다. SWEP은 수십억달러 규모의 다각화된 제조기업인 Dover Corporation의 자회사로 산업 및 상업용 독점제품 및 부품을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울리카 노르드크비스트(Ulrika Nordqvist) SWEP 대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SWEP의 South asia hub 매니저로서 중국 Suzhou에서 근무했으며 2015년부터 2017년까지 MEA(Europe, Middle East and Africa) General Manager를 거쳐 2017년부터 현재까지 SWEP을 이끌고 있다. LG전자와 같은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Ulrika Nordqvist 대표를 만나 주력사업 동향 및 향후 사업목표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