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에 첨단 ICT기술을 탑재한 '스마트건설'이 기계설비업계 스마트홈 기술향상을 견인하고 있다. 스마트건설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드론, 로봇, BIM 등 다양한 ICT기술을 도시·건축의 기획부터 설계·시공·유지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과 기계설비·인테리어·리모델링 등 전 부문에 결합해 스마트시티·스마트단지·스마트홈으로 건설·공급하는 융합기술을 말한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18년 10월 발표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에서 중장기 비전을 제시하고 2022년 7월 발표한 ‘스마트건설 활성화 방안’에서 국내 건설산업을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해 글로벌 건설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2030 건설 전과정 디지털화·자동화’를 목표로 △건설산업 디지털화 △생산시스템 선진화 △스마트 건설산업 육성 등 10개 추진과제를 추진 중이다. 또한 지난 2월2일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출범하고 스마트도시와 스마트건축의 연결성 강화를 위해 본격 나섰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건설업의 디지털 컨버전스를 선도하는 스마트건설교류회(회장 황준호, SCCA)는 4월12일 건설회관에서 ‘제2회 스마트건설 정책 및 국내 시공기술·시공사
한국화웨이가 한국 데이터센터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 데이터센터산업 발전의 견인 요소로 △친환경 △스마트 △안전성 △고효율 등을 꼽으며 데이터센터의 디지털전환과 글로벌 탄소중립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화웨이는 지난 4월6일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Huawei Korea IDC Summit 2023’을 개최하고 ‘Power the green future’를 주제로 부스 전시와 어젠다 세팅을 동시에 진행했다. 신제품 홍보에 그치지 않고 한국 시장과 정부 요구에 선제 대응하는 맞춤형 기업임을 입증해 경쟁 우위를 점하려는 것으로 읽힌다. 반공개 초청행사임에도 200여명이 넘는 관계자들이 성황을 이뤘을 뿐만 아니라 화웨이가 제시하는 비전에 집중했다. 지난해에 이어 2회째를 맞은 올해 행사는 화웨이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예고했다.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데이터센터 관련 기술 개발과 시장 확보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데이터센터산업 육성의 필요성은 2015년 전후로 제시돼왔고 팬데믹과 포스트코로나의 도래가 시계를 앞당겼다. 수요 급증 때문이다. 여기에 골든타임을 알리는 이상기후는 탄소중립(Net Zero by 2050)이 세계 공통의 과제
한국동서발전(사장 김영문)과 LH(사장 이한준)가 손잡고 파키스탄에서 온실가스 배출권 약 136만톤을 확보했다. 양사는 4월7일 LH 경기남부지역본부에서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파키스탄 최대 도시인 카라치에서 △노후주택 보수용 저탄소 벽돌 생산·공급 △정수시설 설치 및 식수 공급 △고효율 가로등 설치·교체 △유휴부지 활용 공원 조성 등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은 파키스탄 정부가 승인한 청정개발체제(CDM)의 일환으로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수행해 얻은 감축실적을 자국 온실가스 감축량으로 인정받거나 탄소배출권으로 판매할 수 있는 제도다. 이에 따라 동서발전과 LH는 향후 10년 동안 약 136만톤의 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영찬 동서발전 사업부사장은 “LH의 본업인 주거환경사업 노하우와 동서발전의 해외 탄소배출권사업 노하우가 합쳐져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을 위해 동서발전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데이터센터(DC) 재난관리 의무대상이 데이터센터사업자와 부가통신서비스사업자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3월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강화방안은 지난해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및 카카오·네이버 서비스 장애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디지털안전 관련 개정 3법(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정보통신망법, 전기통신사업법)을 포함, △데이터센터 안정성 및 생존성 강화 △디지털서비스 대응력 및 복원력 제고 △디지털 위기관리 기반 구축 등 3개 분야 대책이 마련됐다. 데이터센터 안정성·생존성 강화이번 조치 중 데이터센터의 안정성 및 생존성 강화를 위해 배터리 계측주기를 최대 10분에서 10초 이하로 단축하는 등 배터리 모니터링시스템(BMS)을 개선하고 BMS 외 다양한 배터리 이상징후 탐지체계(누설 가스 또는 열화상 탐지 등)를 병행 구축토록 했다. 긴급 상황 탐지 시 재난 관리자에게 자동 통보하는 경보장치 및 자동‧수동 겸용 무정전 전원장치(UPS)-배터리 연결 차단 체계를 설치한다. 배터리실 내 타 전기설비 및 전력선 포설을 금지하고 배터리 랙간 이격거리를 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