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설비공학회(회장 김용찬)가 초읽기에 돌입한 제로에너지빌딩(ZEB) 의무화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ZEB시스템 전문위원회(위원장 송두삼)’를 설치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세계 최초로 도입한 제로에너지빌딩 인증제도를 내년부터 공공건축물에 의무화하고 2025년에는 민간시장으로도 확산한다는 로드맵을 세우고 있다. 대한설비공학회 ZEB시스템 전문위원회를 이끌고 있는 송두삼 위원장(성균관대 교수)을 만나 국내 ZEB시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위원회의 역할과 비전을 들었다. ■ 정부의 ZEB 추진배경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인 파리기후협약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 즉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8억5,060만톤 대비 37%를 감축목표로 설정했다. 당초 정부는 국내에서 25.7%, 국제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11.3%를 감축하기 위해 각 부문별 감축시나리오를 작성했다. 이후 지난해 수정안을 내고 국외 매입분을 최소화하고 국제사회에 우리나라의 감축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국제시장 감축분을 1.9%로 낮추고 국내감축분을 32.5%로 높인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도 BAU대비 18
EVO(Efficiency Valuation Organization)는 M&V체계의 바이블로 통용되는 IPMVP(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를 개발한 에너지 M&V관련 국제기구다. IPMVP는 글로벌 프로토콜로 에너지 M&V의 토대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련 ISO표준도 이를 기반으로 마련돼 있다. 국내 M&V 기관·단체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방한한 데니스 탕구이(Denis Tanguay) EVO 사무총장을 만나 국내 M&V시장을 진단하고 우리나라와의 협력방안에 대해 들었다. ■ EVO를 소개하면 EVO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제 성능측정·검증 프로토콜 IPMVP를 소유한 국제 비영리 조직이다. EVO는 에너지효율사업에서 절감량에 대한 거래를 정량화하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효율시장의 신뢰성 향상에 헌신하고 있다. EVO의 사업은 광범위한 에너지효율 및 M&V 관련 활동을 포괄한다. EVO의 비전은 세계가 에너지효율을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자원으로 여기고 이에 대한 확신을 갖게하는 것이다. EVO의 위원회 임무는 에너지효율
주거시설의 미세먼지 대응에 대한 소비자니즈가 커지면서 건설사·환기제조사가 손을 잡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정부가 미세먼지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당장 뾰족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지 않는 가운데 한·중·일 등 국제공조 성과도 지지부진한 상황이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식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대피처’를 찾으려는 국민적인 욕구의 방향이 주택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는 국내 거주형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국내 대표 건설사들이 환기장치 제조기업과 손을 잡고 실내공기질(IAQ) 대응솔루션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이는 외부 오염환경으로부터 안전가옥을 요구하는 국민, 아파트 시공역량을 갖춘 건설사, 실내공기질 개선 기술을 갖춘 환기제조사 등 각 주체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자연스런 현상으로 풀이된다. 미세먼지 장기화…협업 가속화 전망 건설사와 환기제조사와의 협업은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최근들어 제품·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등 관계는 보다 긴밀해지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2012년 정부과제를 통해 하이브리드 창호환기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 휴테코와 독점계약을 체결하고 금호건설 물량에 적용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18년 바닥환기 전문기
건물부문의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자립·안보에 따라 국가적으로 녹색건축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산업 일선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녹색건축을 확산하고 있는 친환경컨설팅기업들을 대표하는 협회가 창립돼 앞으로 정부정책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녹색건축기술협회(KOSATA: Korea Sustainable Architectural Technology Association)’는 지난 4월23일 서울에 위치한 파티오나인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회장에 신지웅 EAN테크놀로지 대표를 선출했다. 39개 기업 참여…업계위상 ‘위기’ 이날 총회에는 39개 기업에서 57명의 임직원이 참석해 창립에 동의했으며 △정관심의 △회장단 선출 △임원·감사선출 △사업계획·예산심의 △사무소설치 및 상근직원 정수책정 △협회조직 등 내용이 안건으로 부의됐다. 총회는 △회장으로 신지웅 EAN테크놀로지 대표 △총무부회장에 김학건 친환경계획그룹청연 대표 △부회장에 김민성 썬앤라이트 대표 △감사에 박재용 에코리드 대표를 선출했다. 협회 장립준비위원회로도 활동해 온 신지웅 회장은 “업계가 태동한 지 15년이 됐지만 여러 집단과의 이해관계 충돌, 친환경컨설팅기업을 ‘인증대행, 용역업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지원하는 2019년도 에너지국제공동연구사업 중 국립 공주대학교 김준태 교수연구팀의 ‘BIPVT 히트펌프 시스템이 연계된 스마트그리드 기술 개발’ 과제가 선정됐다. 이로써 3년간 총 33억3,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이번 과제는 지난 2014~2018년 수행한 ‘모듈러 방식의 공기식 건물일체형 외피(BIPVT: BIPV Thermal) 시스템 개발’이 국내 최초 BIPVT 시스템(10kWp급)을 실증건물에 설치하고 산업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과로 종료된 이후 BIPVT기술과 연계된 후속사업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과제를 총괄하고 있는 김준대 공주대 공과대학 교수를 만나봤다. ■ 개발한 BIPVT는 어떤 제품인가개발한 BIPVT 패널(집열기)은 태양광발전 모듈과 공기식 태양열시스템을 결합한 형태로 집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면부 PV모듈과 후면부 배플(baffle)을 적용한 새로운 방식의 태양광·열(PVT) 융복합장치다. 이는 캐나다와 공동연구로 진행한 국제연구개발 사업의 성과물로 BIPVT 패널은 건물의 공조시스템과 연동해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패널의 성능검증 및 교육용
대한설비공학회 냉동부문위원회 친환경냉매 전문위원회는 3월15일 킨텍스에서 ‘냉동공조기기에 미가연성(A2L) 냉매사용 기준수립에 관한 연구’ 제조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비관세, 기술장벽 등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는 냉동공조산업에서의 냉매부문에 대한 방향정리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진행됐다. 친환경냉매 전문위원회 위원장인 조금남 성균관대 교수는 “냉동공조산업은 산업규모는 한국이 세계 4위이지만 조만간 인도가 4위로 올라오고 한국이 밀려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관련산업인 냉매분야에 대한 대응방안을 업계와 함께 논의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냉매규제·기준 의견교환하니웰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atus of Honeywell Solstice HFO Refrigerant’ 발표를 통해 F-gas에 대한 글로벌 규제 현황과 하니웰의 Low GWP 냉매 솔루션 및 Low GWP 대안냉매 선정 시 고려돼야 할 사항들에 대해 소개했다. 유기출 팀장은 “대안냉매 선정 시 동일 컴프레서 기준으로 용량손실이 없어야 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냉매와의 효율 차이를 살펴야 한다”라며 “또한 냉매가 보유하고 있는 GWP 수준을 확
냉동냉장산업 발전의 기틀이 될 △국가건설기준 설비설계 냉동냉장설비(KDS 31 40 00) △설계기준 일반사항(KDS 31 40 05) △냉동냉장 부하계산 설계기준(KDS 31 40 10) △냉동냉장 설계기준(KDS 31 40 15) △제빙저빙 설계기준(KDS 31 40 20) 등이 제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건설기술기준센터는 지난 3월28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건설기준 공청회’를 개최했다. 냉동냉장산업은 일제강점기부터 역사가 시작됐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의 인식은 낮은 상황이다. 국토해양부는 1983년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를 최초로 제정하고 3년 단위로 개정을 진행해왔으나 냉동냉장설비에 대한 부분은 계속 누락돼오다가 2011년 대한설비공학회가 주관으로 냉동냉장설비 시방서를 신설, 정부 공포에 이르렀다. 냉동냉장설비 설계기준에 대해서는 건설기준연구원이 2013년부터 제정을 제안해왔으나 지난해 설비공학회가 제정위원회를 만들어 작업에 착수, 결과물을 이번 공청회에서 공유했다. 냉동냉장 설비설계기준 제정위원으로 △오종택(전남대) △김광호(기성이엔씨) △김천용(한미설비) △박수석(한국마이콤) △심윤희(경민대) △이동건(큐익) △장한섭(뉴템즈) △권용일
히트펌프는 단일 기기로써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이 높은 기기 중 하나다. 이렇다보니 IEA는 미래 에너지효율 향상의 핵심기기로 히트펌프를 제안하고 있다. 국내 히트펌프산업은 열악한 상황이지만 세계 히트펌프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중요한 행사인 ‘제13회 IEA Heat Pump Conference(HPC2020)’가 내년 5월 우리나라에서 열린다. IEA HPT 부집행위원이자 HPC2020 사무국을 맡고 있는 김민성 중앙대 교수를 만나봤다. ■ IEA 활동 현황은 IEA 산하에 에너지연구기술위원회(CERT: Committee on Energy Research and Technology)가 조직돼 있으며 중요한 에너지기술에 대해 기술협력프로그램(TCP: Technology Collaboration Programme)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TCP는 28개가 운영 중으로 히트펌프기술(HPT: Heat Pumping Technologies)을 다루는 HPT TCP은 1978년에 설립돼 현재 16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주요활동은 집행위원회, 기술위원회, 국제히트펌프학술대회 등이 있으며 연 2회의 집행위원회에서 운영을 결정한다. HPT
1988년 한국에너지공단 내 대체에너지사업부로 설립된 신·재생에너지센터는 2005년 확대·개편을 거쳐 현재 △신재생에너지정책실 △신재생에너지산업실 △태양광풍력사업실 △신재생에너지보급실 △RPS사업실 △국민참여실 등 총 6개실로 구성,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의 최일선에 서있는 기관이다. 신재생에너지정책실에서는 ‘재생에너지 3020’ 목표달성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 및 정책연구, 제도개선 등과 함께 원별·지역별 보급통계와 제조기업의 고용·매출·투자 등의 산업통계를 조사·공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산업실은 신재생에너지기술 표준화 사업 전담부서로 현재 표준개발협력 4개분야(태양광·열, 풍력, 연료전지) 총 117종 표준관리와 7개 분야 19개 품목을 대상으로 KS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태양광·풍력사업실은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 발굴 및 운영 관리하는 부서로 RPS공급의무자,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를 발굴해 관리 및 지원 중이다. 신재생에너지보급실은 주택, 건물, 공공시설물 등 보급효과가 우수한 대상이나 구역에 자가용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설치비를 지원해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확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RPS
전국 290만호의 난방·급탕을 책임지고 있는 지역난방은 대규모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시설이지만 과잉공급되는 유량으로 인해 에너지낭비가 일어나 공급자와 소비자 부담을 동시에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대체냉난방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역냉방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낭비되는 에너지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바로 제어밸브(차압유량조절밸브: PDCV)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지역난방열원 공급시스템은 지역난방공사의 열병합발전소에서 100℃ 이상의 고온수를 공급하면 아파트단지 혹은 건물 내에 있는 열교환기를 통해 건물 내의 물로 열을 전달하고 데워진 물은 각 세대에 난방수와 급탕수로 공급된다. 발전소에서 공급된 고온의 물은 열을 공급하고 다시 회수, 발전소로 되돌아와 재가열된다. 이때 지역난방시설에서 공급하는 물의 양은 각 세대에 필요한 만큼만 공급돼야 에너지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현재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열사용시설의 제어밸브는 오작동하거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여럿 보고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압유량조절밸브의 차압제어 범위가 매우 작고 내구성이 떨어지다보니 공급압력의 변동이 커지고 관망이 불안정해져 사용자
신재생에너지 분류체계 변화의 신호탄일까?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에너지자원실 산하 신재생에너지정책단의 부서를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재생에너지산업과 △신에너지산업과 △에너지기술과로 분리했다. 분리된 신에너지과는 수소경제 활성화 등 신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을, 재생에너지과는 재생에너지설비 보급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을 담당한다. 우리나라는 2004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이하 신재생에너지법)’이 생기면서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통합, 관리해 왔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이번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관할하는 과를 분리한 것 자체가 향후 신재생에너지 분류 체계 개선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8년 2월 태양광, 풍력 등 재생 가능한 친환경에너지의 발굴과 육성을 전담하는 국장급 정부조직인 ‘신재생에너지정책단’을 신설했을 때도 산하 부서 이름은 △신재생에너지정책과 △신재생에너지보급과 △에너지신산업과 △에너지수요관리과 등으로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분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에도 관련업계는 분류체계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았었다. 특히 태양광, 풍력 보급 확대를 위한 전략적인
현재까지 건축물에너지는 주로 개별 건물단위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여러 건물을 묶어 벤치마킹하는 군관리개념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를 통해 용도별 건축물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고 다른 건물에 비해 특히 에너지소비가 심한 건축물을 찾아내 선제적인 개선조치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서울대에서 자체건물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군집형건물의 에너지관리·대응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서울대는 온실가스·에너지 종합관리센터를 설립해 에너지절감 및 효율화에 나서고 있다. 건물용도 측면에서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라고 불리는 서울대의 사례는 국가적 차원에서도 의미가 크다. 서울대 온실가스·에너지 종합관리센터의 정혜진 교수를 만나 군관리의 개념, 국가적 확장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서울대가 E절감에 노력하는 배경은 서울대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2014년 기준으로 4만3,016TOE를 사용해 2위 3만6,399TOE(서브원), 3위 3만3,393TOE(호텔롯데)에 비해서도 격차가 크다. 최근의 자료는 공개하기 어렵지만 전체평균의 8배를 사용하며
극심한 미세먼지 속에서 실내공간이 피난처가 되기는커녕 오히려 공기질이 나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종합적인 실내공기질 연구를 위한 융합연구단을 출범시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원광연)는 지난 1월15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원장 한승헌)에서 ‘실내공기품질(IAQ: Indoor Air Quality) 융합연구단’(IAQ연구단) 현판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나섰다. 앞으로 4년간 120억원을 투입해 국민생활연구 선도사업과 출연연 융합연구사업의 일환으로 IAQ개선 및 안전관리라는 국가현안을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AQ융합연구단의 이윤규 단장(KICT 박사)을 만나 구성과 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연구단의 목표는 IAQ분야에서 30년을 활동했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제대로된 솔루션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난해 폭염, 고농도 미세먼지 등 극한상황이 국민들을 괴롭혔다. IAQ라고 하면 보통은 평상시를 관리하는 의미로 많이 쓰이지만 이례적으로 발생하는 극한상황에 대한 대처도 필요한 상황이 됐다. 궁극적으로 연구단은 취약계층을 포함한 국민들의 실내공기품질과 안전관리에 기여할 방침이다. 실내
정부 제로에너지건축물 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국내 첫 임대형 제로에너지 단독주택 ‘로렌하우스’의 3개 단지가 완공돼 입주를 앞두고 있다. 로렌하우스 명칭은 제로에너지(Zero Energy)와 렌탈하우스(Rental House)의 합성어로 에너지사용량이 제로에 가까운 임대형 주거공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세종·김포·오산에 각각 들어선 로렌하우스는 주택도시기금과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의 출자금(64.5%)이 투입되며 민간투자자 더디벨로퍼 외 3개 금융기관(삼성생명, 흥국화재, 새마을금고중앙회)이 리츠(REITs, 부동산투자회사)를 구성해 사업시행자로 참여한다. 이는 단독주택의 주거선호도가 가장 높은데도 가구당 건설비용·토지비용이 높아 사업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에 따라 공공이 선도적으로 자금을 투자해 리스크를 줄이고 시행력을 확보한 것이다. 4년간 운영한 후 단독임대주택 확대를 위해 임대사업자에게 일괄매각할 예정이다. 청약은 지난해 2월 이뤄졌으며 세종 60가구, 김포 120가구, 오산 118가구 등 총 298가구 중 특별공급을 제외한 219가구 모집에 1,598명이 신청해 약 7.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세종 85㎡ B타입의 경우 23가구 모집에 571
고아라 한국환경공단 대리는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 요소가 되는 냉매관리제도 등의 업무를 책임감 있게 수행해 온실가스 감축기반 마련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고 대리는 대기환경보전법 하위법령 개정(안) 마련 지원, 냉매관리제도 확대에 따른 홍보, 냉매관리 준수여부 확인 업무 등을 수행했다. 냉매관리제도 도입, 책임있는 업무 수행고 대리는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 중 냉매로 사용되는 불소계 온실가스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냉매 배출원 관리대상 범위 확대와 냉매의 안정적 회수 및 대기 중 누출 최소화를 위한 냉매회수업 등록제 도입을 위해 국내외 자료 및 제도 조사를 수행하는 등 적극적인 업무 추진으로 해당 정책 마련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에 따른 냉매사용기기 관리대상 확대 및 냉매회수업 등록제의 원활한 시행에 대비해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 및 전문가 양성을 수행했다. 대국민 대상으로는 동영상, 인포그래픽 및 홍보부스 운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홍보했다. 냉매관리기록부를 제출한 시설(2018년 1월31일 제출기준 1,851개 사업장 3,350개 시설)의 냉매사용기기 누출점검 여부, 냉매 회수
황규도 한국냉동전기 대표는 환경부에서 실시한 냉매회수업등록 기술자 양성과 전국순회설명회 참여도가 가장 높고 사진 및 영상으로 촬영한 냉매관리제도를 포털사이트 등에 홍보하는 등 재능기부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상을 받았다. 美 EPA-608 자격교육, 홍보위원 활동황규도 대표는 지난 2015년 7월28일부터 현재까지 냉매관리 기술자의 양성을 위한 기술교육에 참여해 교육실습 및 이론강의를 동영상 및 사진으로 촬영, 포털사이트에 홍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냉매관리방안에 관한 토론회와 국회탄소포럼에도 참여해 제도의 변화와 온실가스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2015년 9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정수 폴리텍대학에서 진행된 1~3회차 냉매취급기술자 자격시험에 참여하는 한편 환경공단의 기술자양성교육에 실습강사, 냉매회수업등록에 필요한 정부위탁교육에도 참여해 냉매취급 관리자 양성에 앞장섰다.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미국환경청의 EPA-608 자격교육 홍보위원으로 활동하며 EPA-608 자격자를 80명 배출하는데 기여했다. EPA-608은 미국 냉매관리관련 최상위 자격인 Universal Certificat
한국냉매관리기술협회 발기인이기도 한 이성아 유림공조설비 대표는 지난 2015년부터 현재까지 냉매관리 전문인력 양성에 실습강사로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냉매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적극 알리고 선진국의 냉매관리기술을 실습을 통해 널리 전파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냉동기의 고압가스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과열도와 과냉도에 대한 기술교육을 지속 실시해 냉동기의 에너지절감에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냉매관리 기술자 양성 강사로 활동이성아 대표는 2015년 7월28일부터 현재까지 냉매관리 기술자의 양성을 위한 기술교육에 교육실습 강사로 활동하며 기술인력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2015년 9월~2016년 4월24일 정수 폴리텍대학에서 개최된 1~3회차 냉매취급기술자 자격시험에 참여해 냉매의 대기 중 방출 방지와 회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 대기환경보전법 상 교육시설과 교육 운용능력은 냉매관리기술협회가 유일하게 구축하고 있어 지난해 환경공단의 용역으로 ‘냉매취급 기술자 양성 용역교육’이 진행됐다. 이 대표는 이번 교육의 실습강사로 참여해 냉매회수업에 필요한 기술인력 양성에 이바지했으며 부산경남지역의 냉동
홍민호 오텍캐리어 서비스사업부 책임(차장)은 지난 2016년 10월 한국냉매관리기술협회에 시행하는 냉매관리 취급 기술자 자격을 취득한 이후 지속적으로 냉매관리 취급 전파 교육에 적극 나선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냉매취급 기술자 자격 취득지난 1999년 오텍캐리어냉장에 입사한 후 냉동·냉장기기의 고객관리 및 유지보수업무를 수행하면서 냉동기 관련 학과에 입학해 전문교육을 이수하고 졸업한 홍 책임은 지난 2002년 4월 오텍캐리어(주) 서비스사업부 시스템에어컨 담당자로 선발돼 시스템에어컨의 설치 감리와 냉동기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6년 초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대기 중에 버려지는 냉매가스로 인해 지구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는 내용의 냉매관리기술협회의 교육을 받고 온실가스에 대한 지구환경 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대기 중 버려지는 냉매를 줄여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은 홍 책임은 먼저 냉매관리 자격 취득에 나섰다. 냉매관리기술협회가 주관하는 냉매취급 기술자 자격을 지난 2016년 10월 취득한 홍 책임은 오텍캐리어 서비스지정점에 등록된 300여 업체와 매년 자사에서 진행되는 설치자 교육에 참여하는 1
친환경 냉매 및 발포제를 개발 및 유통하는 하니웰에 근무하고 있는 유기출 팀장은 친환경 발포제, 냉매, 에어로졸용 추진제 및 솔벤트사업분야의 마케팅팀을 맡아 차세대 친환경냉매인 HFO 냉매 홍보 및 주요 업체 적용을 통해 3년 누적기준 약 205만톤의 CO₂절감량을 달성한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R22 냉동시스템, 친환경 냉매 전환 역할유 팀장은 지난해 L마트에 HCFC 종류의 하나인 R22 냉동시스템을 차세대 냉동용 냉매인 R448a로 적용해 오는 2025년까지 전국 매장에 확대, 적용하는 데에 주요 역할을 했다. 롯데마트가 도입한 친환경냉매인 R448a는 지구온난화지수(GWP)가 1,273으로 R404A(3,943)대비 약 68% 낮으며 오존층파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냉매다. R22는 GWP가 1,500이지만 ODP가 0.05로 높아 냉매사용 규제대상이다. 또한 H사의 자동차 공조시스템에 기존 R134a 냉매를 대체하는 GWP 1의 R1234yf 냉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이미 선 적용 중인 해외 수출과 향후 국내 생산량 전 모델에도 적용 될 예정이다. 건설용 패널분야에서는 L사의 고성능 폼보드에 GWP 1의 차세대 발포제인 R12
심재봉 범석엔지니어링 대표는 지난 30여년간 산업용 특수밸브 생산분야에서 근무한 오랜 제조업 실무경험과 산업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부터 지속적으로 냉매 회수·재생장치 개발에 앞장서온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하게 됐다. 개발한 냉매 회수·재생장치는 한국수력원자력발전소에 납품하는 등 기후생태계변화유발물질인 불화가스 냉매의 적절한 처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폐냉매 일괄처리 체계 구축심 대표는 지난 2003년 창업 이후 2008년부터 기업부설연구소를 설치·운영하며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해 이를 경영에 직접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실제 연구개발을 통해 제조·판매하는 냉매 회수재쟁장치에 대해 신기술인증, 녹색기술인증, 녹색기술제품확인 등 객관적인 제품성능 인증을 받아 신뢰성이 높은 냉매 회수재생장치를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냉매 회수재생장치 연구개발을 통해 8건의 특허 등록 및 출원을 완료해 기술력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냉매 회수·재쟁장치를 관련 업계에 보급함으로써 불화가스 냉매의 대기 중 방출억제를 통한 오존층보호 및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해 왔다. 특히 회수한 폐냉매를 재활용할 수 있는 폐가스류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