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차량용 냉동기 제조사인 써모킹(THERMO KING)의 한국총판인 삼원써모가드(대표 유동규)는 지난 1997년부터 21년간 써모킹 제품의 국내 판매와 A/S를 맡아오며 오랜 시간 기술과 경험을 쌓아온 차량용 냉동기분야 전문기업이다. 써모킹은 1938년 세계 최초로 냉동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차량용(Truck&Trailer) 냉동기를 개발하며 현재까지 세계시장을 이끌어오고 있다. 혁신적인 신기술 개발로 연료 및 유지보수비 절감은 물론 냉동·냉장화물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독창적인 온도조절 시스템을 장착했다. 저연료·저소음 美 CARB 승인써모킹 차량용 냉동기의 장점은 뛰어난 온도조절시스템이다. 냉장·냉동 수송에 필요한 정확한 온도유지가 가능하고 저연료 및 저소음으로 미국 CARB의 승인을 받았다. 특히 설정온도에 따라 냉동기(엔진)를 자동으로 가동하고 정지하기 때문에 타사 냉동기대비 30~50%의 연료절감이 가능하다. 써모킹 차량용 냉동기는 내구성이 뛰어나 오래 사용해도 성능이 꾸준히 유지된다. 일반적인 차량용냉동기 수명은 7~8년이지만 써모킹은 17~20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그만큼 제품의 신뢰도가 높고 잔고장이 적어 유지보수에 들어
난방, 공조, 냉장 및 냉동 솔루션의 세계적인 공급기업인 에머슨은 진보된 기술력, 기술 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용, 상업용 및 산업용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에머슨만의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농장에서부터 가공, 운송시설, 슈퍼마켓, 레스토랑 및 편의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콜드체인 전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Copeland™, ProAct™ Services 및 InSinkErator®는 에머슨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브랜드로서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이 결합된 제품과 솔루션으로 고객시스템의 성능과 만족도를 유지하면서 유지보수비용을 포함한 운영비용 절감, 효율성 개선 및 친환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까지 제공하고 있다. 에머슨의 관계자는 “에머슨은 산업용, 상업용 및 주거용 어플리케이션 시장 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엔지니어링 기업”이라며 “소비자의 안락함과 건강을 보장하고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인프라를 생성하도록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고성능·고효율 코플랜드 압축기에머슨은 다양한 냉매, 고성능, 고효율을 위한 폭넓은 용량
국내 최초 에너지 완전자립형 저온물류창고가 오는 10월 준공을 앞뒀다. 고효율·저비용 물류혁신의 꿈을 실현하는 유진초저온(대표 양원돈)은 지금까지 바다에 버려지던 –162℃의 LNG냉열을 이용해 초저온 냉동창고를 건립하고 오는 10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시험가동을 거쳐 11월에는 상온과 냉장창고가, 12월부터 냉동창고가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평택항 인근에 추진되고 있는 오성초저온물류단지는 9만2,152m²(2만7,876평) 부지에 △냉동전용 창고 △냉장전용 창고 △정온·상온 전용창고로 구성됐으며 냉동품 전용창고는 연면적 3만9,861m²(1만2,058평)에 5만3,924톤을 수용할 수 있다. 냉장품 전용창고는 연면적 5만3,874m²(1만6,297평), 수용톤수 4만5,200톤이며 정온·상온 창고는 연면적 4만7,765m²(1만4,449평), 수용톤수 3만2,400톤 규모를 갖췄다. 온도대별로 상온(4℃~), 냉장(C급, 0~4℃), C&F급(-25~0℃), F급(-35~-25℃), SF급(-55℃~) 등으로 구분돼있어 냉동 농·수·축산 및 가공품, 신선농산물, 의약품 및 반도체 등을 적재적소에 보관할 수 있다. 에너지·품질·친환경 모두 잡아오성초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에서 콜드체인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겸비한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필한 교재형 전문서적 ‘콜드체인 관리(CCM: Cold Chain Management)’가 출간됐다. 이는 콜드체인의 전체 영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내 최초의 책이다. 생산지에서의 맛을 우리 가정에까지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확 직후의 신선한 상태 그대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유통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운송 또는 보관 중의 철저한 온도 및 습도관리를 통해 상품의 가치는 지켜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바로 콜드체인(cold chain)이라는 물류시스템이다. 국민들의 소득이 향상되고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하는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콜드체인의 확대가 절실한 실정이지만 지금까지 콜드체인의 시설설비와 관리를 위한 안내서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콜드체인 관리’는 △1부 식품 콜드체인의 이해 △2부 식품 콜드체인 프로세스 △3부 식품 콜드체인 관리 △4부 식품 콜드체인의 새로운 과제 등 4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식품 콜드체인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콜드체인 대상
콜드체인산업 활성화 기반마련을 위해 ‘식품 콜드체인 운송서비스 지침’ 및 ‘사물인터넷 기반 신선물류 실시간 데이터수집을 위한 프로토콜’ 표준이 만들어진다.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는 8월23일 서초구에 위치한 aT센터에서 국내 콜드체인산업을 견인하고 업계의 지침이 될 수 있는 단체표준안 2건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에는 산·학·연 전문가 15명가량이 참석해 산업표준심의회에 제출하기 전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번 2건의 단체표준안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작성에 협력했다. 예방적 활동 초점‘식품 콜드체인 운송서비스 지침’은 안전과 위생을 위해 적정온도의 유지와 안전관리가 유지된 상태로 운송돼야 할 식품이 물류센터 및 식품 가공공장 등에서 출하돼 냉장·냉동차량을 이용해 구매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취급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작업 및 운송방법에 대한 지침을 마련했다. 표준의 지침은 포괄적이며 운송의 규모 및 처리과정의 복잡성에 관계없이 신선식품의 운송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택배서비스 표준을 적용받는 택배서비스는 제외시켰다. 주요내용은 식품의 안전운송에 필요한 선행요건으로 관리조직 및 인력, 냉
콜드체인시스템의 핵심인 저온물류센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부천시 오정구 일대에 46만m² 규모로 조성중인 물류단지 내 부천저온물류센터에 개별식 냉동기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저온 콘덴싱유니트를 최근 존슨콘트롤즈에서 수주해 주목 받고 있다. 부천 오정 물류단지는 수도권 서북부의 생활문화와 비즈니스 환경이 어우러져 최첨단 물류시설과 대규모 점포, 전문상가 등 상업시설과 판매시설, 중소유통센터 등이 입주하는 복합물류단지로 개발 중이다. 부천은 김포공항,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서울외곽순환도로, 경인고속도로를 통해 육상, 해상, 항공물류가 연계된 교통의 요충지로 수도권 서부의 중장기 대형물류 허브로서 최고의 입지적 조건을 갖췄다. 발주처인 켄달스퀘어는 대형 물류센터의 개발, 운영 및 투자를 수행하는 물류전문 부동산개발 회사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에게 최적화된 물류투자 솔루션을 제공해 물류자산 간접 투자시장의 선진화를 이끌어가고 있으며 현재 전국 10개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냉동능력 38%·효율 5%↑부천저온물류센터는 현대식 시설을 갖춘 냉장·냉동 물류센터다. 창고와 작업장으로 나뉘어 있는데 창고는 각 실에 멀티 유니트쿨러를 설치하고 유니트쿨러에 냉동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은 제도적·산업적 기반 마련이 요구되는 콜드체인분야에서 지난 2016년부터 표준화 작업을 연구하고 업계와 세미나 개최를 통해 국내 콜드체인 관련 산업발전을 견인해왔다. 저온물류 표준화 진행현황콜드체인 수송포장 관련 국제, 국가, 단체 표준안의 개발·제정 작업이 한창으로 국제표준은 지난해 저온물류 수송포장의 일반요건 및 시험방법에 대한 제안서가 ISO TC 122(Packaging)에서 통과된 이후 신규 설립된 WG16(Temperature controlled product packaging)에서 각국의 전문가들과 국제표준안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저온물류 택배 수송용기의 일반요건 및 시험방법과 식품용 저온물류센터의 운용 여건이 각각 KS, 단체표준으로 제정됐으며 저온 모니터링의 사용자 지침에 대한 표준안이 개발 중이다. 국내·외 동향 및 기업 대응전략중국은 인프라 낙후로 제품 손실률이 20~30% 정도이나 표준 법제화 이후 연평균 23%의 저온물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 또한 연평균 19%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저온물류가 전체 식품유통의 약 20% 정도로 높아 이미 소매시장의 콜드체인관리가 다온도대로 확장중이다. 국내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와 경기평택항만공사(사장 황태현)는 지난 7월9일 평택항 마린센터에서 평택항 콜드체인 물류활성화 및 콜드체인산업 발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업무협약 주요내용은 △평택항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 항로 확대 협력 △평택항 이용 편의성 제고 및 정보제공 △지역경제 발전기여 △적극적 교류 통한 동반성장 도모 등이다. 평택항만공사는 콜드체인협회 회원사의 평택항 이용시 이용편의성을 적극 제고하고 협회와 함께 콜드체인산업 발전을 위해 콜드체인산업관련 해외 전시회 및 관련단체와의 국제교류회 개최 등 공공사업을 개발,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콜드체인협회와 경기평택항만공사는 글로벌 콜드체인 시장 규모 성장세와 발맞춰 지난해부터 양 기관의 공동 주최로 평택항 콜드체인 물류 활성화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긴밀한 협업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협력해왔다. 이날 정명수 콜드체인협회 회장은 “평택항은 콜드체인 물류에 있어 생산과 소비의 중심인 수도권 관문항이라는 지정학적 이점과 배후단지의 확장성 등을 고려 시 물류 경쟁력이 매우 높다”라며 “여기에 경쟁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신선식품 SCM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을
국민소득 수준이 올리감에 따라 더 좋은 먹을거리를 찾는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산지에서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기의 효율적인 운영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도 이러한 부문의 연구가 눈에 띄었다. 박천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박사는 ‘질소발생기를 이용한 CA저장고의 기체치환 특성’을 발표했다. CA(controlled atmosphere)저장시스템은 농산물의 적정 저장기체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체조절장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질소발생기의 질소공급농도, 유량 및 저장고의 냉각여부에 따른 기체치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박천완 박사는 “특히 산소농도가 20%에서 5%까지 감소하는 시간과 5%에서 2%까지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비가 약 50%로 5%에서 2%까지 산소감소구간은 저장된 농산물의 호흡작용을 통해 감소시켜 운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냉동·냉장·냉난방일원화 히트펌프 시스템최근 국내의 편의점 점포수가 2010년 1만6,937개에서 2016년 3만2,946개로 증가하는 등 냉동·냉장시스템을 주로 사용하는 편의점, 중소형 마트의 시장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냉장·냉동·냉난방 부하처리를 위해
LGWP 냉매규제 강화에 따른 콜드체인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제시됐다. 하니웰과 칸은 4월27일 쉐라톤 서울 디큐브시티 호텔에서 마트, 저온저장, 수송 등 콜드체인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콜드체인 LGWP 냉매솔루션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전국마트연합회, 대형마트, 저온저장·수송업계 등 콜드체인산업 관련 종사자 112명이 참석했다. 특히 100명 한정 세미나로 기획됐지만 두 배에 가까운 신청이 접수돼 이번 행사에 관한 콜드체인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사를 주최한 하니웰의 유기출 마케팅 팀장은 개회사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냉매규제 현황과 저온저장, 수송, 리테일부문에 적용될 수 있는 하니웰의 Low GWP 냉매 솔루션을 소개하겠다”라며 “또한 하니웰 LGWP 냉매를 적용한 댄포스, 에머슨, 비쳐 등 컴프레셔 제품도 설명할 예정이니 이를 통해 많은 정보가 공유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정명수 콜드체인협회 회장은 축사에서 “세계적으로 신선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냉장·냉동기계관련 기술이 여러 공급사슬단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계들이 우리
안정적인 콜드체인을 보장하는 냉동 압축기 전문기업 BITZER가 2018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서 식품저장 및 공정을 위한 압축기 솔루션을 선보인다.. 상업 및 산업용 냉동용 압축기 및 콘덴싱 유닛 등을 공급하고 있는 BITZER는 5월1일부터 4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8홀에서 열리는 ‘2018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에 출품한다고 밝혔다. 저온저장뿐만 아니라 급속 냉동식품과 같이 안정적인 콜드체인을 위한 냉동압축기는 식품산업 모든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BITZER는 △CSK.61 △OS.A85 △ECOSTAR 등 콜드체인시장 냉매압축기 솔루션을 선보인다. 중·고온 칠러 응용분야를 위한 새로운 옵션될 냉매압축기 CSK.61은 특정 요구조건에 적합한 R22 냉매용 반밀폐형 컴팩트 스크류 압축기로 공조뿐만 아니라 중·고온 및 공정 칠러 적용에 최적화 설계로 개발됐다. 50Hz에서 각각 137m³/h와 165m³/h, 60Hz에서 각각 170m³/h와 205m³/h의 토출량을 가진 2개 모델을 출시됐다. 용량 조절은 기계식 슬라이더 또는 외장형 인버터 적용이 가능하며 냉각용량 범위는 일반적인 공조운전조건에서 약 100~180kW 범위이다. CSK.61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는 지난 18일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식품콜드체인 고도화를 위한 신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제8회 국제물류산업전(KOREA MAT 2018)’과 함께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식품·의약품 콜드체인 유통·물류파트 부서장 및 담당자 △화주, 냉장냉동 창고업 및 운송업 종사자 △물류 관련 학계·업계 전문가 등이 참석해 많은 관심을 이끌었다. 특히 친환경 신선물류시대를 이끌어가는 콜드체인 서비스, 시스템, 기기·장비 업체들의 제품과 서비스 속에 녹아 있는 콜드체인 신기술을 발굴, 널리 알림으로써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친환경 물류시스템 구축의 선행과제인 콜드체인 시스템 고도화 선도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정명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국내 산업이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질 향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 신선식품을 공급하는 콜드체인의 발전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오늘 세미나를 통해 식품의 신선도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콜드체인산업 전반의 기술진보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세미나에서는 △콜드체인 냉매의 세계적 동향(고이시카와 유진초저온 고문) △다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는 오는 18일 13시부터 16시까지 킨텍스 제2전시장 세미나룸 302호에서 ‘식품콜드체인 고도화를 위한 신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친환경 신선물류시대를 이끌어가는 콜드체인 서비스, 시스템, 기기·장비 업체들의 제품과 서비스 속에 녹아 있는 콜드체인 신기술을 발굴, 널리 알림으로써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친환경 물류시스템 구축의 선행과제인 콜드체인 시스템의 고도화를 선도할 예정이다. ‘제8회 국제물류산업전(KOREA MAT 2018)’과 함께 개최되는 이번 세미나는 △식품·의약품 콜드체인 유통·물류파트 부서장 및 담당자 △화주, 냉장냉동 창고업 및 운송업 종사자 △물류 관련 학계·업계 전문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콜드체인 냉매의 세계적 동향(유진초저온) △다 항목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초저온·신선물류 운송 모니터링 시스템(동우엔지니어링) △IoT기반 반도체 운송용기 외(FMS Korea) △식품·의약품의 혁신적 콜드체인 용기 및 냉매(이노크린) △특수의약품 운송을 위한 Real Time Monitoring 시스템 및 서비스(라이엇)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선착순 150명으로
(사)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KFCA: Korea Food Cold Chain Association, 회장 정명수)는 2018년 새해에 우수 콜드체인기업 추천제도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콜드체인협회는 2월2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2018년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2018년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게 될 ‘우수콜드체인 기업추천제(우수콜드체인기업 Award)’의 필요성과 향후 추진방향을 소개했다. 콜드체인 관련제조, 유통, 물류업계 전문가와 기업임원 약 40여명이 참석한 이날 총회에서 정명수 협회장은 “협회가 개발한 RCSP(Recommended Cold chain Service Provider)와 지난 1월16일에 협회에서 제정한 단체표준 SPS-T KFCA 0001-7232 ‘식품용 저온물류센터 보관분야 요구사항’을 심사기준으로 활용해 우수 콜드체인 운송, 보관 및 종합부분에서 우수업체를 선정해 어워드를 선정할 예정”이라며 “콜드체인기업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사업파트너의 안정적 선택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는 안전한 콜드체인 기업을 추천해 선택의 편의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어워드를 통해 유통 및 물류에서 식품콜드체인의 중요성을 소비자에게 인지시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회장 정명수)은 12월7~8일 양일간 마포구 소재 삼창프라자에서 식품 및 온도민감 제품을 위해 콜드체인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 업체들에게 공급사슬 전 과정을 통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과 표준화된 관리방안 교육을 실시했다. 콜드체인 보관 및 운송 물류회사, 식품공급사, 식품유통회사 담당자 등 관련업계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이론교육은 물론 동원산업 이천 저온냉동창고에 현장실습을 통해 실무자들에게 필요한 제반지식들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1일차인 7일에는 △콜드체인의 개요 및 시장동향(정명수 콜드체인협회 회장) △농식품의 저온설비 건립 및 운영방안(신광수 건국대 교수) △콜드체인 수배송 표준 및 B/P가이드(최시영 물류경영연구원 원장) △콜드체인 보관표준 및 관리(홍상태 한경대 교수)등이 발표됐다. 8일에는 △IoT기반 콜드체인 모니터링 시스템(CMS)을 통한 Visibility 구현 방안(윤의식 한국물류연구원 부원장) 강의와 함께 동원산업 이천물류센터 현장견학을 통해 콜드체인 우수사례를 연구했다. 정명수 회장은 ‘콜드체인의 개요 및 시장동향’ 발표를 통해 “콜드체인시스템은 농수축산물, 가공식품 유통과 무역의 필수적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