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요소인 에너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장이 마련됐다. 대한설비공학회 에너지부문위원회(위원장 김시헌)는 5월18일 서울 STEC에서 개최된 2022 HVAC KOREA의 부대행사로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지속가능 에너지설비시스템’을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개최했다. 김시헌 위원장의 개회사, 정재동 차기회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에너지시스템 통합 및 P2H기술(백영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미활용에너지원 영구배수를 이용한 히트펌프시스템(장용성 GS건설 책임연구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유출지하수 활용제안(김시헌 안양대 교수)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설비시스템 평가기술제안(이의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등의 발표가 진행됐다. 김시헌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코로나19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에너지안보적인 측면에서 에너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라며 “우리나라는 에너지안보에서 에너지자립, 나아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이 시대적 과제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설비시스템이라는 주제로 에너지자립, 탄소중립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길 바라며 많은 관심에 감사드린다”고 덧붙였
대한설비설계협회(회장 변운섭)는 5월19일 서울 SETEC 3홀 세미나장에서 ‘2022 최신 설비설계기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계설비 관련 법·제도, 친환경 및 녹색건축과 관련된 설비기술 동향과 건설산업 및 환경시설 설비설계업계의 권익보호 등을 위해 활동하는 설비설계협회가 개최한 것으로 매년 설비인들의 기술력 향상과 최신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다. 세미나는 △병원시설 의료환경 구현과 기계설비 시스템 계획의 중요성(이송우 우원엠앤이 부사장) △기계설비에서 고려할 최신 환기기준(정재훈 씨엔아이엔지니어링 연구소장) △건축법 개정에 따른 방화댐퍼 이슈 고찰(송성범 벨리모서울 상무) △설계 엔지니어 의사결정 지원기술(엄태윤 한일엠이씨 연구소장) △M.E.P. 비구조요소 국내 내진설계 및 시공 사례(신용석 코리스이엔티 이사) 등이 발표됐다. 이송우 우원엠앤이 부사장은 최근 병원시설의 의료환경 변화를 보여주며 코로나19와 같은 외부변수에도 의료환경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병원 건축물에서 기계설비는 의료행위의 목표달성을 위해 항온항습과 실내청정도 유지 등 환자에게 필요한 의료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스
대한설비공학회 공조부문 및 냉난방수배관시스템전문위원회(위원장 민준기 경희대 교수)는 지난 5월19일 SETEC 컨벤션센터 2층 세미나실에서 ‘포스트 코로나와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절약적인 공조시스템’을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개최했다. 1부와 2부로 구성된 학술강연회는 △BIM 연계형 에너지절감 통합수배관시스템 계산 프로그램(Hyd-One) 사례(하나지엔씨) △살균탈취 필터 내장형 복합공조기 유닛(MACU) 설치 사례(이젠엔지니어링) △바닥 및 천장복사와 제습시스템을 이용한 최적화 공조시스템(에코에너다임) △제로에너지 하우스에서의 스마트 차압제어시스템(삼양발브종합메이커) △건물에너지와 HVAC 시스템 유지보수(LG전자) △대공간 집회시설의 에너지절약 공조시스템(G1에어텍)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실내 청정환기시스템(하나지엔씨) △델타 T 제어를 통한 AHU 과유량 방지(벨리모서울) △지속가능한 제로에너지건축물을 위한 데시컨트제습 청정환기시스템(에코엔하임) 등 순으로 진행됐다. 민준기 공조부문 및 냉난방수배관시스템전문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포스트 코로나와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절약적인 공조시스템’ 주제로 학술강연회를 준비했다”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LGWP 불소계 온실가스(F-gas)로 전환하기 위한 인센티브 및 규제정책과 총량관리를 위한 통계수립 방안, 산업계 부담경감을 위한 대체물질 공급계획 등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들이 오갔다. 토론은 최준영 대한설비공학회 국제협력위원장을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함께 △이승환 환경부 기후전략과 사무관 △이라노 산업부 화학산업팀 사무관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최준영 위원장은 “글로벌 환경이슈와 국내 정책목표로 온실가스 감축을 많이 진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HFC냉매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고 허점이 많다는 것이 주제발표 전체를 관통하는 의견”이라며 “먼저 LGWP 냉매로 빠르게 전환하기 위해 인센티브제도가 시급한 만큼 이에 대한 정부기관의 의견은 어떤지 묻고 싶다”고 질문했다. 이라노 산업부 사무관은 “산업부는 그간 HCFC를 온실가스 측면보다 오존층파괴물질이라는 측면에서 감축규제를 시행해왔으며 HCFC는 GWP또한 높은 물질이다보니 자연스럽게 오존층 보호와 지구온난화 방지라는 두 과업
김소희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은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온실가스 관리 사각지대 냉매의 합리적 관리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우리나라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국내 냉매보유량은 약 35만톤으로 CO₂환산톤 기준 연평균 7,150만톤에 달한다. 이는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오존층파괴물질 쿼터제로 CFC, HCFC 사용을 제한하자 오히려 GWP가 높은 HFC 사용량이 증가했으며 냉매·발포제물질의 총수입량은 쿼터제에도 불구하고 감소하지 않고 있다. 또한 2010~2019년 HFC 배출량은 산업공정분야 배출량의 평균 13%를 차지하고 있지만 산업공정배출 외 HFC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서 누락된 실정이다. 이에 더해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가 불소계 온실가스(F-gas)를 이원관리하고 있어 총량관리가 되지 않고 있으며 폐냉매 회수·운반·폐기 등 관리과정의 시장성이 낮고 폐냉매 현장관리의 전문성이 부족해 규제를 유도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려면 인센티브, 총량
조진호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특정물질관리지원센터장은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몬트리올의정서 관련 국내·외 이행동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조진호 부장은 “몬트리올의정서가 국제조약으로서 큰 틀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5차례 개정됐다”라며 “가장 최근에 개정된 것이 아프리카 르완다의 수도인 키갈리에서였으며 글로벌 HFC감축을 골자로하는 내용을 몬트리올의정서에 조항으로 포함시킨 것이 키갈리개정의정서”라고 설명했다. 몬트리올의정서는 CFCs, HCFCs 등 오존층파괴물질(ODS) 96종을 규제하고 있으며 키갈리 개정에 따라 HFC 18종도 추가로 규제하고 있다. 기존 HCFCs 그룹별 감축계획에 더해 키갈리개정으로 HFCs 등에 대한 국가그룹별 감축계획이 포함됐다. 2019년 1월1일부로 발효된 키갈리개정의정서는 지난 3월 기준으로 198개국 중 130개국이 비준을 마쳤다. 우리나라도 외교부가 비준동의안의 국회제출을 준비 중이다. 우리나라 최종비준은 지난 2월 이학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오존층보호법의 개정완료시기가 될
박기홍 XPS협의회 담당은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국내 압출발포폴리스티렌(XPS) 단열재 발포제 활용현황 및 전환동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XPS는 주원료인 폴리스티렌을 연속압출성형 발포한 단열재로 국내 10여개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기존에는 HCFC인 142b와 R22 혼합냉매를 주로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3세대 HFC발포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HFC발포제로 활용되는 152a, R134a발포제의 GWP는 150에서3,000까지 이르고 있어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4세대로 분류되는 하이드로카본(HC) 계열 발포제로 전환했지만 HC는 화재에 취약해 리스크가 높다. 최근에는 HC에 HFO를 가미해 화재안전 성능을 강화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HC계열은 쓰이지 않으며 CO₂로 전환하거나 GWP가 130 수준으로 낮은 3세대 발포제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3세대 발포제에 HFO를 첨가한 제품이 보고되고 있다. 발포제 전환을 위해서는 정책방향성도 중요하지만 발포제 전환에 따른 물
김낙진 한국폴리우레탄산업협회 전무는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국내 우레탄단열재 발포제 활용동향 및 탄소중립 실현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국내 폴리우레탄 제품은 △보드형단열재 △샌드위치패널 △스프레이폼 등의 형태로 생산된다. 이들 제품의 총생산량은 16만2,120톤에 달하며 전통적으로 HCFC발포제인 141b를 사용했다. 보드형단열재는 현재 KS 24개 기업 중 19개사가 사이클로펜탄(CP)으로 대체함에 따라 생산량 10만여톤 중 95%가 CP로 대체완료됐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은 방폭설비 투자부담이 커 24개사 중 신설라인을 정비한 2곳만 CP로 대체된 상황이다. 현재 KS인증에 장기열전도율 반영이 추진되고 있어 결국 장기열전도율에서 불리한 CP도 대체가 불가피하다. 또한 스프레이폼은 15개사 중 선도기업이 HFC 365, 245mfc로 대체해 환경표지인증을 획득했으나 대부분은 전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중국산 폴리올에 141b를 섞어 수입한 뒤 141b를 정제해 사용함으로써 쿼터제를 회피하는 편법이 음성적으로
최준영 대한설비공학회 국제협력위원장(KTL 박사)은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가스 관리-냉동공조기기의 냉매활용 동향 및 차세대 냉매’를 주제로 발표했다. 세계 5위 냉동공조기기 생산국으로서 전체 냉매 중 HCFC, HFC계열이 95% 이상인 우리나라는 2014년부터 냉매관리제도가 시행됐음에도 HFC냉매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 아직 주요선진국이 가입한 키갈리개정의정서도 비준하지 못한 실정이다. LGWP 냉매로 전환하기 위해 탄화수소계 냉매, 자연냉매, HFO계열 냉매 등 사용 시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국제기준에 부합되는 기준을 적용한 LGWP 냉매사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냉매회수, 폐기 및 처리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관련법을 수정·보완해 저압·고압 등 모든 냉매의 관리를 강화해야 하며 냉매회수업 등록요건을 강화해 기기성능기준 및 기술인력 보유요건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대용량냉매 폐기처리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존 냉매처리기업들의 설비증설 지원방안을
유기출 하니웰PMT 한국대표는 지난 4월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국회포럼의 주제발표에서 ‘불소계 가스 트렌드-CO₂ 감축 및 대체물질 관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불소계 온실가스는 주로 △자동차 에어컨 △냉동·냉장·공조시스템용 냉매 △단열재 발포제 등으로 사용된다. 에어컨용 냉매로 사용되는 HFC 410a는 GWP가 1,924이며 냉동·냉장유니트에 사용되는 HFC 404a는 GWP가 3,943에 달한다. 우레탄 스프레이·패널에 사용되는 발포제는HCFC 141b이며 GWP는 1,980에 달해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다. 국제사회는 몬트리올의정서, 교토의정서, 키갈리개정의정서에 따라 공격적으로 감축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지난해 ‘미국혁신제조법’을 통과시켜 뒤늦게 키갈리개정의정서와 동일한 일정으로 HFC 감축을 추진하며 중국은 몬트리올 의정서 HCFC감축일정보다 빠르게 감축을 추진 중이다. 유럽과 일본은 용도별 GWP제한을 두고 관리하며 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 HCFC, HFC 총사용량이 4만3,052톤이며 이를 CO₂환
온실가스 관리 사각지대인 불소계 온실가스에 대한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국회포럼에서 제기됐다.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환경노동위원회), 기후변화센터(이사장 유영숙)는 4월12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불소계 온실가스 관리방안- HFCs, HCFCs 냉매·발포제 감축 및 회수처리 방안’ 포럼을 공동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냉난방공조, 신재생에너지, 녹색건축 전문저널 칸kharn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대한설비공학회(회장 강용태)가 후원했으며 △글로벌 불소계 가스(냉매·발포제) 시장트렌드(유기출 하니웰PMT 대표) △냉동공조기기 냉매활용 동향 및 차세대 냉매(최준영 대한설비공학회 국제협력위원장) △국내 우레탄단열재 발포제 활용동향 및 생산단계 탄소중립 실현방안(김낙진 한국폴리우레탄산업협회 전무) △국내 압출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 발포제 활용현황 및 발포제 전환 동향(박기홍 XPS협의회 담당) △몬트리올의정서 관련 국내·외 이행 동향(조진호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부장) △온실가스 관리 사각지대 냉매의 합리적 관리방안(김소희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패널토론
우리나라의 연간 공공조달 규모는 GDP의 약 7%에 해당하는 135조원으로 구매시장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커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공공조달의 비중에도 기존 공공조달은 검증제품 중심으로 이뤄진 구매관행 등으로 혁신기업과 기술지원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조달청(청장 김정우)은 국민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간의 기술혁신·혁신성장을 지원하는 혁신조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혁신조달이란 공공부문이 공공혁신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혁신제품과 기술을 먼저 구매해 시범사용함으로써 기술혁신과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공공서비스 수준을 제고하는 조달방식이다. 공공부문이 혁신제품의 첫 구매자로서 조달시장 진출에 대한 난이도를 낮추고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방안을 제시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서비스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다변화된 현대사회에서 정부서비스의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혁신조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정부조달 실적은 신뢰받는 표준으로 공공부문에서 혁신기술·제품의 실증기회를 제공해 품질개선과 성능향상을 유도하고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혁신제품은 공공서비스 향상과 기술혁신을 위해 공공성,
어썸레이(대표 김세훈)가 개발한 광이온화 기술기반의 공기살균 정화설비가 혁신제품에 선정됐다. 공기살균 정화설비는 공조기(AHU), 열회수형 환기장치(ERV)의 급기부(SA)에 설치해 실내공기질(IAQ)을 개선하는 장비로 어썸레이가 자체개발한 냉음극 디지털광원(EUV & 연X-ray) 광이온화 과정을 통해 공기 중 미세먼지, 세균, 바이러스 등 오염·유해물질을 제거한다. 기존 환기장치에 사용하는 필터는 시간경과에 따라 성능이 떨어지며 차압발생으로 공기흐름 저하를 유발해 원활한 환기 및 공기질 조절이 어렵다. 기존 전기집진기의 경우 이온화 및 집진에 고전압을 사용하므로 어썸레이 제품대비 3배 이상 높은 전력을 소모한다. 또한 오존이 필연적으로 발생해 호흡기손상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전기집진기의 경우 IAQ 개선솔루션으로 활용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어썸레이의 제품은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이온화 및 집진과정을 거치며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장시간 사용해도 환기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미세먼지, 부유세균·바이러스를 빠른 풍속에서 제거하며 필터폐기물을 줄이고 소독·방역비용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특히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동작이 가능해 탄소중립,
자카르타 철도청(MRTJ)이 인도네시아의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감한 이용객 수를 회복하기 위해 철도 및 역사 내 공기청정·살균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MRTJ는 어썸레이(대표 김세훈)와 ‘에어썸’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최근 실측 및 적용 시나리오 검토를 진행 중이다. 아디티야 락스마나(Aditya Laksmana) MRTJ CSR PM(기업의 사회적책임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도입배경과 계획에 대해 들었다. ■ MRTJ를 소개하면MRTJ는 정부소유 기관으로 2013년 설립됐으며 2019년 3월 운영을 시작했다. 현재 각 6량으로 구성된 지하철 열차 16세트를 보유하고 있다. 일일 승객규모는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 약 9만~10만명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상황 이후 탑승객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승객들이 안심하고 MRTJ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 에어썸 도입배경은MRT(대중고속운송)의 특성은 역사가 지하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철 내부의 공기순환이 폐쇄형 순환으로 작동하는 한계가 있다. 코로나19 전염이 확산되며 실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살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
야르시병원(Yarsi Hospital)은 인도네시아 중부 자카르타에 위치한 16층 규모의 대형 대학병원으로 1ha 대지에 연면적 5만7,000㎡로 건립돼 450개 병상을 수용할 수 있다. 야르시병원은 지난 6~7월 현지 코로나19 병상점유율이 90% 이상이던 상황에서 한인 확진자용 병실을 별도로 확보해 제공키도 했다. 최근 야르시병원은 인도네시아의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다양한 감염원을 차단하기 위한 설비시스템 구축을 위해 국내 공기살균·청정기 전문기업 어썸레이(대표 김세훈)와 손을 잡았다. 데디 루스탄디(Dedi Rustandi) 야르시병원 CSR PM(기업의 사회적책임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공기살균·청정기 ‘에어썸’ 도입배경과 기대효과에 대해 들었다. ■ 인도네시아의 코로나19 상황은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수도 자카르타의 경우 주(州)별 발병률은 100명당 3.72명이다. 인도네시아 전체적으로는 100명당 0.89명으로 현재 코로나19는 2020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든 규모다. 그러나 코로나19를 포함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감염구역의 필터먼지 등으로부터 환자와 직원을 보호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병원에는 다양한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