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탄소중립 등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단어입니다. 기후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한다는 당면한 과제를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가 현재 우리 사회에 던져진 과제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화석연료시대를 통해 풍족한 삶을 살아온 인류에게 이제 화석연료가 재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되도록 이산화탄소배출이 적은 연료로 전환은 이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의 몫이자 미래 세대를 위해 꼭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입니다.
열생산 재생에너지 주목할 때
글로벌 최종에너지소비를 살펴보면 전체 소비에너지 중 열부문이 5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냉난방, 급탕, 산업공정열 등 열에너지소비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양도 전체의 40%에 달할 정도로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최종 에너지소비중 27%가 열에너지며 열에너지 중 건물 및 산업부문에서 열에너지활용 비율은 77%로 전력대비 3배 이상 많습니다. 열에너지생산을 위해 화석연료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방안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합니다.
전 세계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지만 신정부 들어 재생에너지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합니다.
열에너지부문 탄소배출 감축은 직접 열생산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열, 태양열, 수열 등을 활용하고 보급확대방안을 정책화해 적극 실천해야 합니다.
하지만 태양열, 지열 등 열생산 재생에너지산업은 도태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때 태양열은 풍력에 이어 보급량 2위를 기록할 정도로 활발했지만 현재는 미미합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센터 보급통계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글로벌 태양열시장은 각국 정책에 힘입어 활성화되고 있으며 국제재생에너지기구도 산업〮건물부문 주요열원으로 태양열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산업, 냉방, 농업 등 태양열을 다양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 각 현장에 적용해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기술이 없어서 보급이 안되는 것이 아니라 정책부재와 국민인식 부재가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정책적으로는 열생산 재생에너지 확대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RHI나 RHO을 도입하고 신기술을 과감하게 정부 보급정책에 포함시켜 기술고도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합니다.
탄소중립정책 실현을 위해 열생산 재생에너지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이 있다면 신정부 들어 발표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리스트에 태양열, 히트펌프, 열에너지 네트워크 기술 등을 포함시킨 것입니다. 리스트 포함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후속 활성화방안이 조속히 마련되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