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김완섭)는 12월23일 ‘기후위기 적응 국민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6년부터 2030년을 계획 기간으로 하는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기본방향을 비롯해 △물관리 △농림·축산 △해양·수산 △산림·생태계 등 부문별 중점추진과제들을 정부부처 및 국회와 공유하며 다양한 분야 기후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기위해 마련되었다.
포럼은 △환경부 △임이자 의원 △김형동 의원 △정희용 의원 등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어기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과 김완섭 환경부 장관,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발표와 토론 순서로 진행됐다.
1부 주제발표에서는 환경부에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대책은 기후위기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국민생활 안정을 목표로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한 기반시설과 정보체계의 보강을 위한 정책과제들도 다수 포함할 예정이다.
주제발표에 이어 부문별 중점과제 발표가 진행됐다. 환경부는 홍수로부터 미래 물관리 대응방안을 발표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에도 탄력적인 수산물 생산·공급 체계와 안전한 연안·항만 조성 정책을 소개하며 산림청은 산림재난 대응 및 산림생태계 안정성 증진 등 산림분야 적응방향을 발표했다.
2부 전문가토론에는 △장훈 한국환경연구원 본부장 △이동근 서울대학교 교수 △박찬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나승호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실장 △김세현 한국방송공사 기상전문기자 △김옥희 대한적십자사 팀장 등 기후전문가들이 기후위기 적응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기후재난 현장대응 관련 개선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포럼을 시작으로 국민과 국회, 관계부처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민생경제 안정과 국민안전 확보에 중점을 둔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체감도 높은 대책으로 수립할 계획”이라며 “기후위기시대에도 모든 국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대책을 마련한 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25년 말까지 범부처 합동으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