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EMS협회(회장 박찬우)는 7월3일부터 4일까지 강원도 용평리조트에서 ‘EMS 기술표준 연구회 워크숍’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 기술개발 및 상용화 확산을 위한 기술표준 보급과 표준에 기반한 인증확산을 목표로 하는 민간주도의 산·학·연 협력연구회다.
국가 탄소중립정책에 따라 최근 건물, 산업, 기계설비 등 다양한 수요처에서 EMS의 도입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다양한 요소기술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한 기술표준과 실증기반의 인증체계 도입에 대한 시장 요구사항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EMS협회는 2022년부터 EMS표준화 거버넌스를 위한 ‘EMS 기술표준 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워크숍 1부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물산 △현대엔지니어링 △누리플렉스 △나라컨트롤 △에코시안 △우원엠앤이 △가천대학교 △고려대학교 △단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결대학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20여개 기업·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연구회 운영위원회가 개최됐다.
대기업과 건설사를 중심으로 EMS의 도입 및 확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술표준과 인증기반 마련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들의 실무적 경험과 수요자 관점이 연구회 논의에 실효성을 더하고 있다.
운영위원회에서는 △예비전력 지원용 분산에너지설비 안전관리시스템 표준안-제1부: 일반 요구사항 △예비전력 지원용 분산에너지설비 안전관리시스템 표준안-제2부: 데이터모델 △소규모 분산사업장의 에너지관리 지침 △산업단지 에너지 거래연계를 위한 MG-EMS 기능 요구사항 등 4건의 신규 단체표준안이 개발안으로 상정돼 심의·의결됐다.
신규 단체표준안은 향후 건물·산업체의 실증현장에서 에너지효율 및 안전관리 체계의 표준화기반을 강화하며 수요처 중심의 적용성과 사업성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될 예정이다.
워크숍 2부에서는 EMS의 보급·확산과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및 인증체계 구축 전략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최갑홍 디지털ESG얼라이언스 회장은 ‘국제표준화 동향과 우리의 표준선점 전략’이라는 주제로 글로벌표준 선도방향을 제시했고 협회는 표준화 현황 및 향후 EMS 적용 로드맵을 발표해 건물·산업·도시분야 수요 맞춤형 표준 추진계획을 공유했다.
장대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부장은 ‘탄소중립을 향한 녹색건축인증(G-SEED)의 전환’ 발표를 통해 EMS와 ZEB(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연계방안을 제시하며 현장적용 가능성과 정책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자유토론 세션에서는 건물, 공장 및 도시 등 다양한 EMS 운영사례와 현장이슈를 공유하고 참석자들은 △EMS구축 이후 운영성과 확인 및 지속적인 관리체계 마련 △EMS 관련 기술지원 △유지관리 정책 △인증기반 R&D연계 필요성 △실적기반 인증제도 및 공공조달 연계전략 강화 등 시장에서 바라보는 주요 애로사항을 공유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자유토론에서 논의된 의견은 향후 R&D기획 및 보급·확산전략 수립 시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박병훈 EMS협회 사무총장은 “2050 탄소중립 실현 및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핵심수단으로서 EMS 기술표준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라며 “협회는 기술개발·표준화·정책연계를 총괄하는 민간허브로서 연구회를 통해 실효성 있는 EMS 기술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의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 및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등과 연계해 회원사 및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정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
‘EMS 기술표준 연구회’는 정부, 기업, 학계 및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개방형 협의체로 EMS의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표준·인증·정책을 연계한 통합 전략 수립을 목표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향후에도 EMS협회는 수요처(건설사, 설비업체, 솔루션 기업 등)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통해 표준기반의 실증적 기술을 확산하며 제도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