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HPE·엔비디아, AI@하이퍼스케일 성료

AI@하이퍼스케일 2025, 최신 엔터프라이즈 AI 운영전략·트렌드 공유

 

한국 HPE는 7월17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엔비디아와 함께 개최한 ‘AI 앳 하이퍼스케일 2025(AI@Hyperscale 2025 with NVIDIA)’ 컨퍼런스를 국내 파트너 및 고객사 400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최신 AI기술 및 운영전략에 대해 실무중심의 기술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다. HPE와 엔비디아 등 업계전문가들이 AI인프라 구축, AI서비스 개발, 추론성능 최적화 등 현업과제와 실제 적용사례들을 발표하며 기업 경영진과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와 인사이트들이 공유됐다.

 

이날 행사는 김영채 한국 HPE 대표의 인사말에 이어 조셉 양(Joseph Yang) HPE HPC, AI 및 논스톱 부문 아시아태평양·인도 총괄의 키노트로 시작됐다.

 

조셉 양 총괄은 키노트를 통해 △생성형 AI △에이전틱 AI △물리기반 AI의 가속이 열어가는 새로운 가능성의 시대와 이를 데이터, 워크플로우, 네트워크, 보안 등의 인프라 상에서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전달했다. 또한 HPE의 전문성과 엔비디아의 혁신적인 AI기술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AI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셉 양 총괄은 "AI기술은 경쟁의 지형을 재정의하고 있으며 기업들이 이러한 새로운 기능에 맞춰 인프라를 어떻게 반영할지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HPE는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조직의 AI여정 전반을 지원하며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성장을 가능하게 하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행사가 엔터프라이즈 의사결정권자 및 실무자들에게 AI도입과 확장과정에서 직면한 과제를 극복하는데 유의미한 인사이트와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됐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정구형 엔비디아 솔루션즈 아키텍트 팀장은 전세계 AI도입 가속화를 지원하는 신규 AI팩토리에 대한 주제로 키노트를 진행했다. 또한 김희식 HPE 상무가 소버린 AI 및 AI팩토리를 주제로 AI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HPE의 컴퓨팅, HPC 및 DLC(직접 수냉방식)에 대해 소개하는 세션과 김태훈 서강대학교 메타버스대학원 교수가 ‘AI엔진으로서 LLM: MCP/API 생태계와 HPC 실시간 추론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 세션이 이어졌다.

 

오후세션에서는 ‘AI시대를 위한 인프라와 운영전략’ 및 ‘AI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과 성능최적화 전략’ 두개 트랙으로 나눠져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설계 △대규모 AI학습 최적화 △AI성능을 위한 고속 스토리지 △효율적인 AI팩토리 운영방안 등 AI환경 최적화를 위한 인프라 운영의 최신 해법과 실제 AI서비스 환경에서의 사례들이 공유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