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에스티는 1987년 반도체 노광공정(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과정) 핵심부품인 펠리클 개발 및 판매를 시작으로 설립했다. 반도체 관련 소부장 전문기업으로 노광용 DUV펠리클사업부, TCU사업부(반도체 칠러), APS사업부(노광장비), 부설연구소(EUV연구개발) 등이 있으며 삼성전자 FAB(반도체 제조시설), SK하이닉스, 인텔, 마이크론, Sony, 키옥시아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업체에 관련 부품,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DCWA 2024 참관단으로 싱가포르를 방문한 이영철 FST 부사장을 만나 참관소감과 향후 사업 적용계획에 대해 들었다. ■ DCWA 참관소감은 FST는 반도체 FAB에 사용되는 칠러기술에 대한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술을 확장해 DC thermal solution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관련산업 내 밸류체인에 있는 많은 기업들이 참여하는 DCWA 2024를 통해 DC산업 트렌드 및 기술수준 등을 파악하고자 했다. DC선시회에 많은 기업이 출품한 내용을 관람하면서 DC thermal solution에 대한 전제적인 현황 및 액침냉각의 개발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어느 정도 막연하게만 알고 있었던
에프티에너지(FTE)는 열에너지 저장(TES: Thermal Energy Storage)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특히 데이터센터(DC)용 UCS(Uninterruptible Chilled Water Supply) 버퍼탱크 시스템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안정적인 DC냉각을 위한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시장에서 입지를 확장 중이다. 싱가포르 DCWA 2024에 제품을 출품한 한재연 에프티에너지 대표를 만나 출품배경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들었다. ■ 주요 사업내용은 에프티에너지의 주요 사업은 DC 및 기타 산업용 냉각시스템에 필수적인 열에너지 저장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UCS 버퍼탱크시스템은 정전 시에도 무중단으로 서버실에 냉수를 공급해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한다. 또한 다양한 산업 및 연구분야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TES 솔루션을 제공한다. ■ 이번 전시회 출품배경‧성과는 싱가포르 DCWA 2024 전시회에 UCS 버퍼탱크를 출품한 것은 아시아‧태평양지역 DC시장에서 에프티에너지의 기술력을 알리고 새로운 기회를 만들기 위해서다. 이 전시회는 업계의 주요 관계자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기도 하다. 전시회를 통해 새로운 고객과 파트
GST는 2001년에 설립된 한국의 대표적인 기술기업으로 주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산업을 위한 장비를 개발하고 있다. 본사는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하며 현재 709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판교에 새로운 연구개발센터를 구축 중이며 기술개발과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환경보호와 에너지절감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스크러버(Scrubber)와 공정장비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칠러시스템과 같은 고효율장비를 주력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요구되는 고난도의 칠러기술력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DC)용 액침냉각시스템 국산화와 대량생산을 선도하고 있다. 2004년 삼성전자 1차 협력사로 등록된 이후 2006년에는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으며 당시 300억원이던 매출은 지난해 2,792억원으로 17년 만에 10배 가까이 성장했다. 현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등 글로벌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고객사 50곳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리퀴드쿨링, DC인프라 최신 트렌드 GST는 DC용 액침냉각 장비개발을 미래 핵심 먹거리로 인식하고 있다. 이번 싱가포르 DC
아시아 최대규모 데이터센터(DC) 전시회 및 컨퍼런스인 ‘DCWA(Data Centre World Asia) 2024’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서 10월9~10일 양일간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뜨거워지는 아시아 DC시장 분위기를 반영하듯 출품기업 수 기준으로 70% 이상 규모를 키웠다. 지난해 출품기업은 176개인 것에 비해 올해는 305개 기업이 참여했으며 참관객은 지난해 2만4,000여명에서 올해 2만6,323명으로 증가해 시장열기를 체감할 수 있었다. 아시아 DC시장, 말레이 ‘주목’ 10여년 전부터 싱가포르, 일본, 홍콩 등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DC시장이 각광받아왔으며 최근에는 동남아, 인도 등으로 시장이 확장되며 업계 관심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Mordor Inteligence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DC규모는 올해 14.2GW이며 CAGR 23.2%로 성장해 2029년 23.2GW로 증가할 전망이다. 시장규모는 코로케이션 수익 기준으로 2024년 2억7,000만달러에서 2029년 5억3,000만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DC인프라 시장규모는 MW당 최대 150억원에 이르는 사업비를 감안하면 올해 213조원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에너지관리 및 자동화 전문 기업으로 지속가능성을 가장 잘 수행하고 선도하는 기업으로도 손꼽힌다. 저탄소, ESG, 친환경과 관련된 선진기술은 물론 이를 전 세계의 수많은 글로벌기업에 제공한 레퍼런스를 갖추고 있다. 시큐어파워(Secure Power) 사업부는 산업트렌드에 적합한 데이터센터(DC) 구축에 핵심 솔루션인 UPS, 쿨링, Rack and PDU 등 인프라 스트럭처 전반적인 솔루션들을 제공하는 사업부다. 국내 대형 규모 클라우드 DC 구축사업을 10년 넘게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외 레퍼런스 다각화와 함께 최근 3년간 큰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5년간 DC영업 총괄을 거쳐 현재 시큐어파워사업부문 팀을 총괄하고 있는 육현수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팀장을 만나 FWU(Fan Wall Unit) 시장전망 및 슈나이더 제품 특장점에 대해 들었다. ■ FWU 적용 시 장점은 핵심은 OPEX 절감과 운영유연성 극대화다. FWU 솔루션은 모듈식 디자인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 DC 현장요구에 맞게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는 초기투자비용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된다. 여러 작은 EC팬을 사용해 공기흐름을 제어하므로 전
태양전기는 산업용모터 전문기업으로 34년간 다양하고 특수한 분야 제품을 필요한 고객에게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또한 HD현대일렉트릭과 저압 및 고압전동기 3,000마력 이하 제품을 ODM 및 OEM 계약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A2 SYSTEM’이라는 브랜드로 공조분야 및 설비분야에 EC팬모터, 컨트롤러 등이 일원화된 혁신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EC팬모터는 모터 각각에 인버터기능이 탑재돼 제어가 용이하므로 DC용 FWU 핵심요소로기능하고 있다. AC팬보다 가벼운 만큼 모듈형태로 설치하기 쉬워 설계 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최근 EC팬모터는 기존 AC팬을 적용해왔던 현장도 EC팬으로 전환해 에너지절감 및 손쉬운 제어, 최소화된 설치공간 확보를 원하고 있는 추세다. 태양전기는 통신제어로 DC FWU제품 구동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하며 설치공간 확보를 용이하도록 만드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EC팬모터를 공급하고 있다.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하는 한편 485통신으로 제어해 모든 팬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태양전기의 관계자는 “최근 R&D를 통해 7.5kW EC팬을 확충함으로써 라인업을 확장할 것”이라며 “DC FWU시장은 에너지절감, 설치공간
신성엔지니어링은 고효율,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특수산업 냉동공조분야 대표기업이다. ‘미래 냉동공조산업을 선도하는 초일류기업’을 슬로건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냉동공조 토탈브랜드 ‘제피로스’ 이름으로 제품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중앙공조제품으로 △터보냉동기 △흡수식냉동기 △흡수식 냉온수기 △스크류냉동기 △공조기 △빙축열시스템 △수축열시스템 △바닥공조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제품으로 △지열냉난방시스템 △관로이송시스템 △환기시스템 △연료전지시스템 등을 취급한다. 또한 데이터센터(DC) 등 산업공조제품으로 △항온항습기 △제습기 △클린룸 △드라이룸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제조기준) 등을 생산‧공급‧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신성엔지니어링은 성능검사 및 FAT 수행을 통해 품질보증이 가능한 FWU를 국내 공장에서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40MW급 DC에 납품 중이다. 자체 개발한 DCIM이 적용된 통합제어패널을 기반으로 FWU 개별제어 및 그룹제어가 가능하며 IT 서버룸 온도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상면제어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ATS(App Transport Security:
효성중공업은 데이터센터(DC)에 필수적인 고효율 변압기와 전력설비,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비롯해 산업 생산설비의 중요한 동력원인 전동기, 감속기, 발전기, 각종 석유화학 플랜트 및 발전기용 제관물 등을 생산‧공급하고 있다. 특히 전동기부문에서 효성중공업은 저압 중소형부터 고압 초대형은 물론 슈퍼프리미엄효율, 군사용, 원자력용, 차세대 방폭형, 영구자석용 등 세계시장을 무대로 KS, IEC, NEMA, GOST 등 규격을 모두 만족하는 전동기를 월 4만대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며 다양한 목적과 장소, 고객니즈에 최적화된 전동기를 설계, 생산 및 공급하고 있다. 전동기 글로벌경쟁력 기반 기술력 확보 효성중공업은 지난 2년간 연구개발을 통해 IE5급(울트라프리미엄급) EC모터가 적용된 EC팬 출시를 앞두고 있다. 또한 창원공장에 EC모터 생산을 위한 설비를 구축해 품질과 성능면에서 최고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준비를 마쳤다. 효성중공업 EC팬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Ø315, Ø355, Ø400, Ø450, Ø500, Ø560, Ø630 등 총 7종의 제품을 출시한다. 또한 해당 제품에는 국내산업 전반 및 응용설비분야에서 높은 효율성과
한국공조엔지니어링(KACECO)은 지난 38년간 다양한 공조솔루션을 개발, 제작해 일반건축물 및 각종 산업시설에 공급해 온 기업이다. 조달청 우수제품 및 품질보증물품기업, 삼성전자 중앙공조 ODM기업으로 품질 우수성을 검증받은 KACECO는 ‘HVAC AI 웹디자인시스템’을 적용한 공조냉동기기 자동설계 프로그램을 웹과 모바일에서 무료로 제공해 건축‧기계설비 설계자 및 운영자인 고객이 편리하게 설계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난 2년여간 지원해왔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도입으로 업무 전 과정을 데이터화해 제조중심 공기엔지니어링기업에서 나아가 IT중심 토탈공조냉동 솔루션기업으로 발돋움하며 2배 이상 매출 상승효과를 내고 있다. 다단적층구조 모듈설계 가능 KACECO의 DC냉각 FWU(Fan Wall Unit)는 기존 전산실 개념의 항온항습기 형태를 탈피해 이중 케이싱구조의 공조기 형태로 제작됐다. 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현장 등에 적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특히 DC 랙서버 냉각 시 에너지효율적인 냉각장비를 통해 에너지소비를 절감하며 탄소배출을 줄여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 ESG경영 목표에 부합한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다. KACECO의 관계자는 “
1911년 설립된 이튼(Eaton)은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지 100주년을 맞았다. 이튼은 전 세계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데 전념하는 지능형 전력관리기업이다. 데이터센터(DC), 유틸리티, 산업, 상업, 기계 산업, 주거, 항공우주, 제작, 차량용(모빌리티) 등 시장을 위한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튼은 비즈니스를 올바르게 수행하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고객이 현재와 미래에도 전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기화 및 디지털화라는 글로벌 성장트렌드를 활용해 지구 재생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시급한 전력관리 문제를 해결하고 이해관계자와 사회모두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튼의 주요 지향점 중 하나다. DC를 포함한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솔루션을 선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직원, 고객, 주주, 공급기업 및 지역사회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협업해 보다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튼은 자체적으로도 탄소배출량 50% 감소, 탄소중립운영
이비엠팝스트코리아는 혁신적이고 뛰어난 효율의 EC기술로 생산된 팬모터를 기반으로 전 세계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독일 ebm-papst 한국지사다. 독일을 기반으로 각국에 47개 지사를 포함한 57개의 판매기업을 운용함으로써 전 세계시장을 유기적인 글로벌채널로 구축해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시장요구를 미리 준비해 가는 글로벌 하이테크 선도기업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팬모터분야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약 2만개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사실상 모든 공조기술과 드라이브 엔지니어링 업무를 위한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축류(Axial) 및 원심식(Centrifugal) 팬모터를 비롯해 콤팩트팬(Compact Fan), 접선형 블로어(Tangential Blower), 가스블로어(Gas Blower) 등 고품질제품을 생산하며 다양하고 폭넓은 범위의 팬모터를 보유함으로써 모든 산업분야에 제품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ebm-papst 고유기술인 액티브PFC(Power Factor Correction: 역률보정)를 활용해 다수 데이터센터(DC) 납품실적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라디팩시리즈, 효율‧성능 강화 FWU(Fan Wall Uni
미션크리티컬엔지니어링(MCE)은 데이터센터(DC), 반도체, 디스플레이, 원자력발전소, 플랜트 및 일반 상업시장 등 냉동공조시스템이 필요한 모든 사업영역에서 HVAC 종합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컨설팅 △설계 △최적솔루션 제안 △장비공급 △사후관리 등 사업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원스톱 지원이 가능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MCE는 글로벌 HVAC 시장점유율 1위인 다이킨(DAIKIN) HVAC 제품을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냉각솔루션부문 세계 1위인 에바코(EVAPCO) 일반냉각탑 및 하이브리드 냉각탑을 공급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으로 뜨거운 시장인 DC쿨링부문에서 글로벌 1위 메이커이자 최고효율을 자랑하는 모듈식 FWU(Fan Wall Unit) 제조사인 스툴즈(STULZ)제품 ‘CyberWall’ 등을 공급하고 있다. MCE는 다양한 브랜드를 기반으로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SK브로드밴드, KT클라우드, 네이버, 현대중공업 등을 포함한 DC, 산업시장을 비롯해 롯데월드타워, 교직원공제회관 등 일반 상업시장에 다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강소기업이다. 공간활용‧E절감 최적 MCE FWU는 최근 급증하는 랙밀도 증가에 따라 고객니
팬모터 전문기업인 탑에어는 2004년 창립 이래 AC‧BLDC모터 및 제어기, EC모터를 꾸준히 개발해 국내 열회수형 환기장치(전열교환기) 및 주방후드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전열교환기 및 주방후드에 적용되는 팬모터 60% 이상을 점유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공기청정기, 항온항습기, 송풍기 등 국내 공조 및 공기가전분야에서 자체개발한 BLDC 및 EC모터 적용처를 확대하고 있다. 현재도 꾸준한 개발투자로 40W~3.7kW 이상 다채로운 용량대 모터를 라인업으로 갖췄다. 이승수 탑에어 대표를 만나 국산 EC모터 데이터센터(DC)시장 적용가능성과 FWU(Fan Wall Unit) EC모터 주안점에 대해 들었다. ■ 탑에어를 소개하면 탑에어는 2005년 국내 최초로 EC팬모터를 자체개발해 현재까지 공급하고 있어 국내 EC팬 시장확대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자부한다. 현재 EC팬모터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기업 중 가장 많은 종류의 EC팬모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EC모터 핵심기술인 모터 드라이버 및 파워부를 직접 설계‧제작하는 국내 유일한 기업이다. 탑에어는 고객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기업으로서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로 21세기 그린경영의 표본을 보여주고자 노력하고
신성이엔지는 공조산업 1세대로 반도체향 청정환경시스템 구축과 고도화된 공조기술로 에너지절감 및 친환경장비 제조에 최적화된 기업으로 클린룸산업계에서 47년 이상의 노하우를 보유한 공조전문기업이다. 신성이엔지는 데이터센터(DC) 공조시장에 진입해 최근 출시한 FWU(Fan Wall Unit) 공급에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태형 신성이엔지 기술혁신본부 상무를 만나 FWU제품 강점에 대해 들었다. ■ 신성이엔지를 소개하면 신성이엔지는 1977년부터 국내 최초 선박용제습기, 반도체 클린룸을 개발하며 우리나라 산업계와 역사를 함께 써왔다. 다수의 ‘국내 최초’ 타이틀을 보유하며 지난 47년간 혁신을 거듭해 온 대한민국에서 유일무이한 HVAC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조기술의 새 기준을 세우며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어 온 기업이 신성이엔지다. 고효율 청정시스템, 최적에너지 공조시스템, 플랜트엔지니어링 및 정밀시공시스템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반도체, FPD(Flat Panel Display: 평판디스플레이), 화학, 나노, 2차전지, ESS, 바이오, DC 등 국내‧외 청정산업과 국가육성산업 등 다양한 산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며 태양
버티브(Vertiv)는 데이터센터(DC), 통신 네트워크, 상업 및 산업시설을 위한 핵심 디지털인프라 및 연속성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고객 비즈니스가 중단없이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설계, 제조, 서비스하고 있다. 버티브 포트폴리오는 전원, 냉각, IT관리 및 엣지인프라 솔루션을 포함하며 디지털경제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되고 있다. 신일섭 버티브 영업부 상무를 만나 최근 DC 공랭식 냉각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는 FWU(Fan Wall Unit) 특장점 및 사업전망에 대해 들었다. ■ DC FWU 장점은 일반적으로 공조기(AHU: Air Handling Unit)의 일종인 FWU는 효과적인 공기흐름 관리, 에너지효율, 확장성을 위해 설계된 것으로 데이터홀에 이상적이다. AHU는 최적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균일한 공기분포를 보장하며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에너지비용을 절감하고 모듈화를 통해 확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중화(redundancy) 기능을 내장해 다운타임 위험을 최소화하며 콤팩트한 디자인을 통해 공간을 절약한다. 이중마루를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냉각효율을 향상하므로 DC냉각에
에너지효율성과 온도제어가 중요한 데이터센터(DC) 냉각분야에서는 항상 혁신적인 솔루션 구축이 필수적이다. 그중에서도 FWU(팬월유닛: Fan Wall Unit)는 DC 내 공기분배를 관리하고 최적의 운영조건을 보장하는 전략적 접근 방식을 제공하면서 최근 DC쿨링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부상했다. ASHRAE에서 DC부문을 다루고 있는 TC(기술위원회) 9.9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DC쿨링 전문가 조진균 한밭대학교 교수를 만나 FWU 기술·시장동향에 대해 들었다. ■ 최근 DC쿨링시장에서 FWU 위치는 지금까지도 DC냉각을 위해 공랭식 IT서버가 절대적으로 지배적인 상황이다. 이중바닥(raised floor)을 통해 급기(SA)를 상향공급하는 방법과 상부덕트를 통해 하향급기하는 방법의 장·단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DC 공기분배 설계에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이고 이중바닥 또는 슬래브(하드)바닥 구조 중 어떠한 것이 효율적인가라는 질문은 DC업계에서 가장 오래된 논쟁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는 세 번째 선택지인 FWU가 있다. DC냉각시스템에 FWU를 적용한 가장 유명한 DC는 메타(META)일 것이다. 메타는 2011년 미국 오리건주 프린빌(Pr
데이터센터(DC) 쿨링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공랭식이다. 공랭식시스템 가운데 기존 CRAH, CRAC에 비해 공간활용도가 높고 많은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FWU(Fan Wall Unit)시스템이 최신 쿨링시스템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HPC, AI DC 등을 중심으로 첨단DC는 수랭식이 적용되며 전망이 밝지만 사실상 이는 프론티어 프로젝트와 같은 선도적 사례의 경우이며 대부분은 팬월(Fan Wall)이 적용되고 있다. 이번 기획에서는 FWU 특장점 시장동향, 주요 시장플레이어 및 각 기업별 특장점에 대해 짚어본다. 랙부하 증가, 고성능 공랭시스템 요구 Chat GPT 등 오픈 AI가 산업 전반에 새로운 열풍을 일으키며 DC업계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러나 AI용 DC구축과 이에 따른 막대한 전력소비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미래를 낙관하기만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그래픽처리장치(GPU), 중앙처리장치(CPU) 등 연산장치가 천문학적 분량의 AI용 데이터를 연산할 때 내뿜는 열은 상상을 초월한다. 최근 DC는 급격한 랙밀도 상승을 보인다. 2019년 이전 랙밀도가 2~5kW였다면 2020년 이후 추세는 7~15kW를 나타내고 있으며 HPC(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대한민국 기업이 필요로 하는 독자적인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해외에 의존해온 전자부품 국산화는 물론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중소·벤처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전문생산기술연구기관이다. 이번 R&D에 참여하는 에너지변환연구센터는 지능형 저압 직류배전기술 및 ICT-Grid시스템 개발 및 운영기술 관련 다수의 특허 및 R&D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개발 DC 전기전자기기의 인증과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 인증 설비를 갖추고 있다. 전자기술연구원의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따라 발전사업자들의 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RPS)가 강화되면서 재생에너지 저장수요가 확대되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단기가 아닌 중장기 대응방안이 필요하며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 커플링이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라며 “기존 TES는 건물 냉난방공조로 야기된 피크전력을 감소시키는 전력부하 평준화에는 효과적이나 VRE로 인한 출력제어 대응 기능은 부족한 상황이나 TES기능과 성능 확대를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번 과제를 통해 기술경쟁력 확보와 정부의 분산에너지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수
베리워즈는 2017년 설립된 이후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관리와 기회전환을 위한 컨설팅을 전문기업으로 탄소중립, RE100 등 국내외 정책, 규제적 이슈 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신재생에너지 경제성 평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기업의 국내외 사업장의 RE100 전략수립, 탄소중립 전략수립 및 CDP, SBTi, ESG 등 기후변화 관련 글로벌 리스크 대응을 위한 전략수립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파리협정 이후 대두되고 있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시장과 관련한 국내 자발적 감축시장 관련 협업 기관으로 기후변화, 에너지 감축 등에 관련한 전문기업이다. 베리워즈의 관계자는 “이번 연구 참여로 국내 열·전기 전환분야 및 피그부하 감소, 기타 재생열, 폐열 등 재생에너지 전환기술에 대한 국내 전문 연구기관, 대기업과의 협업으로 향후 전망 및 국내 기술 수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추후 국내 기업의 대내외 리스크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전략수립, RE100 등 재생에너지 전략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상 데이터 활용 평가체계 마련 베리워즈는 이번 과제에서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 발효 및 VPP시장 개설에 따른 유연성 자원으로서
에스이피협동조합(SEP)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자율형 산학연협의체 운영지원을 받아 2020년 설립됐으며 탄소중립, RE100 등 에너지 솔루션을 기업들에게 제공하는 영리협동조합이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에너지, 환경, 안전분야를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공해 국내 기업들의 탄소중립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제조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탄소중립 관련 업무를 지난 4년간 운영하면서 탄소규제 이슈에 놓인 중소기업들과 협의체를 통해 지속적인 애로사항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탄소규제 이슈가 있는 제조업장을 보유한 중소기업들과 소통하기에 적합한 국가산업단지인 ‘반월시화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다. SEP는 국내사업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화 관련 사업도 진출하고 있다. SEP의 관계자는 “에너지 솔루션 전문기업으로써 탄소배출량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재생에너지 교체, 고효율장비 교체, 제품 기술개발, 플랫폼 운영 등 다양한 기술적인 활동을 추진 중”이라며 “국내 집단에너지 중심 TES 플러스DR 자원 등록 요건 검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신규 연구소를 설립해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플러스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