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 것은 이미 오래된 일입니다. 전 세계는 많은 정상회담을 거쳐 온실가스 배출억제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해 에너지전환 정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옮기려던 차에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사회·경제시스템이 올스톱돼버렸습니다.
한번 멈춰선 경제를 다시 부흥하기 위한 수단이 한국판뉴딜정책입니다. 디지털뉴딜, 그린뉴딜이라는 두 핵심축 중 그린뉴딜은 기존의 에너지전환정책을 확대한 성격입니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져있는 와중에도 해외 선진국들도 그린뉴딜을 기후변화에 대응하면서 경기침체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눈여겨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대통령의 2050 탄소중립 선언은 이러한 움직임에 추진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국회·지자체는 물론 산업계·학계에서도 이러한 탄소중립을 지원하고 있어 사회 각 부문별 세부목표 달성방안 마련이 시급한 시점입니다.
특히 건물분야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건물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탄소중립은 이루지 못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정부는 건물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해 ZEB 의무화, 그린리모델링, 저탄소 에너지원 공급, 고효율기기, BEMS 등을 내놓았습니다. 이러한 수단은 지금까지 수없이 연구되고 강조돼왔던 것들입니다. 이제는 실천에 옮길 때입니다.
이중 가장 많이 손을 대야 하는 기축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그린리모델링사업은 지난해 3차 추경으로 2,276억원이 편성됐으며 올해도 같은 금액이 집행될 예정입니다. 공공부문의 그린리모델링 우수사례를 창출하고 민간부문을 견인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쉽지만은 않습니다. 아직 어린이집, 보건소, 공공의료원만 대상인데다 지자체 매칭지원이어서 수요발굴이 난제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토부가 구축한 ‘그린리모델링 거점지원 플랫폼’의 역할에 기대를 보냅니다. 지역의 다양한 수요를 발굴하고 그린리모델링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탄소중립을 앞당겨주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