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거주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나 서울로 출퇴근 등 생활인구가 늘어나고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도시다. 서울시는 향후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기후환경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후환경본부는 ‘더 맑고 깨끗한 청정도시 서울’을 정책비전으로 삼고 6대 핵심과제와 3개 추진전략을 통해 서울시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기후환경본부는 6대 핵심과제로 △기후변화대응 △제로웨이스트 △더 맑은 서울 △신재생에너지 △쾌적한 서울 등을 선정하고 3대 추진전략으로 △이행·점검쳬계 구축을 통해 사업별 공정관리 강화 △시민의견 수렴 등 현장소통 강화 및 시민참여 제고 △주요사업별 브랜드·슬로건 개발 활용 등 폭넓은 민관협력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 서울시 환경개선의 최전선에 있는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환경기획관을 만나봤다. ■ 환경기획관을 소개한다면환경기획관은 기후환경본부 소속 △기후환경정책과 △친환경건물과 △친환경차량과 △대기정책과 △녹색에너지과 업무 등을 총괄하며 실생활이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특히 건물, 차량 등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부문을 다루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환경개선 정책을 제시해야 하는 임무와
건물부문 탄소중립방안으로 ZEB 활성화 및 향후 역할과 방향성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시는 12월12일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서울, 친환경도시로 나아가다’를 주제로 ‘서울에너지드림센터 10주년 기념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가 주관했으며 △환영사 △축사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성과 영상 △1세션 발표 △2세션 발표 △패널토론 및 질의응답 등 순으로 진행됐다. 1세션은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친환경 도시’를 주제로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발표1: 서울시(이인근 기후환경본부 환경기획관) △발표2: 스웨덴 우메오시(루카스 뢰힐링거 우메오 전략개발담당관) △발표3: 포르투갈 카스카이스시(조아오 디니스 카스카이스 도시전환국장) △발표4: 일본 교토시(미기와 타키하시 교토환경활동협회) 등 순으로 이어졌다. 2세션은 ‘탄소중립 친환경건물 사례’를 주제로 고배원 인테그라디엔씨 대표가 좌장을 맡아 △발표1: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너지 효율화 운영성과 사례(신동철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시설운영국장) △발표2: 헴스워스 건축사 대형 목조건축의 사례(존헴스워스 헴스워스아키텍쳐 대표) △발표3: WOHA 친환경건축물 사례(웡
한국공조엔지니어링(대표 김현효)은 지난 36년간 DVM공기조화기, 대용량 공기청정기, 환기유니트, 패키지에어컨, 항온항습기, 전산실 랙전용 냉방기 등 다양한 산업군의 공기조화기를 생산해 건물의 최적 공기환경을 만들어주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공기의 소중함만 인식할 뿐 미세먼지라는 용어가 낯설 때부터 한국공조엔지니어링은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개발을 시작해 ‘미세먼지 저감 공기조화기’를 개발,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정부조달 우수제품으로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공조엔지니어링은 최근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해 업무 전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HVAC AI Web Design을 통해 건축, 기계설비 설계자 및 운영자인 고객에게 사람이 아닌 컴퓨터가 웹이나 모바일상에서 자동설계를 제공하는 IT중심의 토탈 공조냉동솔루션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또한 CRAH, CRAC, FWU 등 데이터센터 공기조화 제품군이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새로운 냉각방식에 대한 연구 및 발굴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액침냉각 상용화 임박한국공조엔지니어링은 지난 10월 개최된 HARFKO 2022에서 데이터센터 Immersion Cooling(액침
1970년 설립된 카오리는 2021년기준 한화 약 960억원 매출을 기록한 기업이다. △금속가공 △열전달 부품 △수소 △에너지통합 등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가스켓 판형열교환기 △브레이징 판형열교환기 △서버 액침냉각 △수소발전기 △메탄올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 등을 주요제품으로 보유하고 있다. 모든 산업에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센터산업은 서버·랙 온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위한 새로운 냉각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카오리는 △공간 및 냉각관리 △전력비용관리 △확장가능 모듈형 데이터센터 지향 등에 전문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액침냉각을 위해 CDU(Coolant Distribution Units)와 수조탱크의 설계, 제작 및 설치와 더불어 열교환부품 선택과 온도조절 로직프로그래밍, 액침냉각용 제조사 추천 등을 제안한다. 100kW 이상 랙밀도 대응카오리의 열관리부서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전력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액침냉각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액침냉각은 날로 증가하는 데이터센터 서버들의 발열이슈에 대한 해답으로 인식되고 있다. 시장에서 최고의 성능으로 평가받는 카오리의 전용 브레이징 판형열교환
열관리분야 글로벌 리더 버티브(Vertiv)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분석, 지속적인 서비스를 결합해 고객의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며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따라 성장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또한 클라우드에서부터 네트워크 엣지까지 확장되는 전력, 냉각, IT 인프라 솔루션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사용해 데이터센터, 통신 네트워크, 상업 및 산업시설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버티브는 액침냉각(liquid immersion cooling) 전환을 단순화하고 가속화하는 광범위한 솔루션을 통해 액침냉각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스마트전자시스템센터(ES2: Center for Energy-Smart Electronic Systems) 파트너대학과 협력해 액침냉각 등 데이터센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R&D에 적극 나서 시스템설계 및 구축을 위한 모범사례를 개발했다. 특히 액침냉각시스템 구성 요소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그린 그리드(Green Grid) 및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pen Compute Project)에 적극 참여했으며 데이터센터용 단상 액침냉각분야 선도기업인 GR
Industrial Clean Room(ICR), Dry Room(DR), Bio-Clean Room(BCR) 등 특화된 룸 설계분야 선두기업 원방테크는 신사업으로 공조가 필요한 IDC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신규 사업인 이머전쿨링시장에 진출했다. 원방테크의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는 4차 산업혁명시대 ICT 신사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써 D.N.A(Data, Network, AI) 및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기반 서비스 구현을 위한 데이터의 저장·처리·유통하고 있어 역할이 나날이 중대해지고 있다”라며 “CPU/GPU의 발열량 증가로 고발열 서버가 급격히 증가될 것으로 전망돼 100MW 이상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Rack당 최대 100kW까지 처리는 물론 유럽 기준 PUE가 최대 1.02까지 구현이 가능하며 냉각 유지비를 최대 95%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이머전쿨링사업을 주목했다. 글로벌 1위 기업인 스페인에 본사를 둔 Submer사와 협력해 국내 이머전쿨링시장에 진출했다. Single phase 쿨링 공급 원방테크가 선택한 이머전쿨링시스템은 Submer사의 Singl
슈퍼마이크로는 1993년 미국 산호세에서 설립됐으며 전 세계 시장에 서버 및 스토리지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를 포함하는 랙단위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며 Liquid Cooling 및 Eco-Solution이 강점이다. Resource-Saving Architecture를 통해 환경을 톱고 고객에게 높은 TCO 절감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Immersion Cooling은 불소화합물, 탄소수소화합물 등 산업용 열전달 냉각체에 서버발열을 해소하는 방식으로 불소화합물은 안정성, 불활성 등, 탄소수소화합물은 경제성, 일반성 등의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 최대 포트폴리오슈퍼마이크로는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10년간 쌓아온 경험과 글로벌 고객기반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13년 Green 500(NEC)에서 PUE 1.05 이하가 가능한 Sigle-Phase Immersion Cooling 서버설계를 통해 서버제조사 중 최초로 X86시스템 1위를 수상했다. 국내 실적으로는 삼성반도체 EDA가 있으며 불소화합물을 냉각제로 활용했다. 적은 CPU코어수로 동등한 컴퓨팅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라이선스 비
1984년 설립된 삼화에이스(대표 김학근)는 공조기, 항온항습기, 칠드빔시스템, 클린룸시스템,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성장해왔다.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분야와 저소음, 에너지절약기술을 접목한 공조기 전문기업으로 전문성과 기술적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에너지절감형 공조기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공조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분야에서는 국내 30곳 이상의 사업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 쿨링인프라와 관련해 총 3회의 국가 R&D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200kW급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을 검증할 수 있는 test mock-up 설비를 보유해 많은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다. 고효율·고집적 DC 트렌드 대응삼화에이스는 고효율·고집적 부하처리를 요구하는 데이터센터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In-Row Cooling, Immersion Cooling 등에 대한 적용방안을 개발, 국내 현장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냉각은 직팽식 냉동시스템부터 고효율·고집적 부하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삼화에이스는 이러한 데이터센터 냉각트렌드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1-Phase Immersion Cool
3M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2020년 328억달러 매출을 기록했다. △Technology △Manufacturing △Global Capabilities △Brand 등 4개 사업그룹에서 9만명 이상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12만9,620개 특허를 보유하고 ‘다우존스 산업지수’ 30대 기업에 포함됐다. 특히 전 세계 전기전자설비제조 고객들에게 향상된 소재와 자동화, 화학, 디스플레이, 전자, 수송안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센터와 관련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용액, 열전도 용액, 화재방지 용액, 광인터커넥트, 2축 구리케이블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MS·Alibaba 성능확인3M이 제공하는 Immersion Cooling솔루션은 그동안 데이터센터업계가 마주했던 다양한 도전요소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우선 지리적·환경적 장벽과 미래 전력수급전망에 대한 대비책, 한계에 도달한 공랭식 냉각방식의 효과적인 대안 등 전략적 대응방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퍼포먼스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안정적인 오버클러킹이 가능하며 서버 지연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하드웨어 신뢰성 향상으
조진균 한밭대 교수는 ‘데이터센터 냉각기술: 비상시 안전성 vs 에너지효율’을 발표를 통해 데이터센터 건설 시 고려해야 할 안정성·에너지효율 간 비용효율성에 대해 설명했다. 데이터센터는 산업 디지털화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약 50%가 증가했다. 운영환경의 안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에 따라 IT전력밀도와 이에 대응해야 하는 냉각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이 고려돼야 한다. 특히 2019년 기준 서울시 에너지다소비건물 324개소 중 14개소가, 상위 30개소 중 9개소가 데이터센터로 조사됐다. 1위는 서울대학교이지만 2위인 KT 목동 IDC1의 단위면적당 에너지소비량은 18배 높은 수치로 나왔다. 정전 발생 후 공조설비 정지데이터센터 건설에서 안정성이냐, 에너지절감이냐를 선택해야 한다. 안정성이 높은 데이터센터는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되지만 에너지절감성이 높다면 운영비가 줄어든다. 하지만 사고로 인해 데이터센터가 한번 멈춘다면 단기적인 비용절감보다 더 큰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데이터센터의 장애발생 원인 중 정전이 35.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조설비의 고장은 2.3%로 낮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정전발생 시 UPS
데이터센터는 ICT장비를 건물·공간에 집적시키고 IT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비를 통합·관리해 24시간 365일 무중단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로 정의된다. 데이터센터는 초연결 지능사회의 IT서비스 제공 및 이용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 우리 생활에서 발생되는 수많은 데이터의 저장·처리·유통을 담당하는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하이퍼스케일과 엣지컴퓨팅을 위한 엣지(마이크로) 데이터센터로 이분화될 전망이다. 송준화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 사무국장은 ‘한국 데이터센터 시장동향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대해 발표를 통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현황 및 잠재력을 설명했다. 신규물량 폭발적 증가 예상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Co-location)는 2020년 21개에서 2015년 26개, 2019년 31개, 2022년 36개로 집계되고 있다. 현재 신규건설이 계획되고 있는 데이터센터는 약 30개소로 알려지고 있으며 가산디지털단지 내에서만 5개의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특히 2025년까지 데이터센터시장 신규진입에 따른 전력소비량은 1,087MW로 수도권 과밀화현상은 더욱 심해질 전망이다. 송준화 사무국장은 “2026년까지 약 30개의
박찬영 한전 부장은 ‘국내 전력정책 현황 및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전망’을 발표하며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과 데이터센터 수요분산을 위한 한전의 노력을 설명했다. 국내에는 2022년 6월 기준 전국 146개(1,742MW) 데이터센터가 운영 중이며 이중 수도권이 86호(59%), 1,220MW(7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한전의 신규 대용량 데이터센터 고객접수가 늘고 있으며 우수한 인프라로 인한 수도권 입지편중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18년 한전의 신규 대용량 고객 총량 2,116MW 중 데이터센터 비중은 2%(40MW)에 불과했으나 2022년 3,737MW의 36%(1,344MW)를 차지하며 누적합계 1만5,106MW 중 데이터센터는 25%(3,789MW)를 기록하고 있다.2022년 6월기준 한전에 접수된 데이터센터 전기사용 예정은 전체고객 466호(3만2,263MW) 중 수도권이 426호(2만8,465MW)로 90%(88%)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데이터센터 전력사용량이 불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수도권 전력생산량에 비해 수요가 매우 큰 상황이다. 국가 전력망 효율 하락 우려데이터센터의 수도권 집중화 문제점은 송변전 계통보강
박배균 한일엠이씨 본부장은 ‘고밀도 서버랙 냉각방식 설계사례’ 발표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IT전력 증가에 따른 냉각방식 설계안을 공유했다. 데이터센터 랙밀도 상승은 IT서버의 주요부품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발전트렌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CPU TDP(열설계전력)은 2009년 130W(W5590(4C/8T))에서 2019년 400W(XEON Platinum 9282(56C/112T))으로, GPU TDP는 2009년 188W(Tesla C1060)에서 2019년 400W(HGX3)로 상승했다. 엔비디아에서 2023 출시예정인 지포스 RTX 4090Ti는 600W 이상 전력을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AI·가상화폐 서버 안정적 열관리랙밀도는 앞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기존 데이터센터는 단순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이용하기 위한 Share 개념이 많이 요구됐다면 현재는 단순한 정보저장을 넘어 딥러닝, 머신러닝, 인공지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해석 등 기술발전에 따라 고밀도 서버가 설치되는 데이터센터가 자연스럽게 증가할 예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고밀도 랙이라고
기후위기로 인한 영향력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들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온실가스 저감 분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미래산업의 기반시설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센터(DC: DataCenter) 역시 막대한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대책마련을 고심 중이다. 유럽 주요국가들을 필두로 데이터센터에 대한 전력수요관리와 환경제재가 강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데이터센터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쿨링솔루션 개선에 적극적이다. 특히 IT장비 자체를 냉매에 넣어 냉각하는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이와 관련해 한국설비기술협회(회장 김철영) 데이터센터기술위원회(위원장 연창근)는 11월1일 The RAUM 컨벤션에서 ‘데이터센터 신 냉각기술’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해 초고밀도 컴퓨팅시스템을 냉각할 수 있는 액침냉각 기술에 대한 정보교류의 장을 열었다. 이번 기획기사에서는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동향 및 해외사례를 살펴본다. DC 전력량 해소 ‘시급’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는 가운데 모든 산업에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
올해 냉동공조산업계의 숙원이었던 글로벌 수준의 성능 및 인증체계 구축은 물론 사실상 국제표준으로 통용되는 미국 AHRI에 부합하는 시험연구기관이 개원해 주목받았다. 냉동공조산업 고도화 및 수출산업의 첨병 역할을 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부설 한국공기과학시험연구원이 지난 10월 개원했다. 특히 개원과 함께 미국냉동공조협회(AHRI)와 AHRI 시험소 지정 업무협약까지 체결하며 국내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AHRI인증 시험소 지정은 중국 GMPI(General Machinery Product Inspection Institute)에 이어 아시아에서 2번째다. 우리나라 냉난방공조산업은 연 12조원을 넘는 생산과 60억불 수출의 지속으로 세계 4위 냉난방공조 산업국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지만 시험설비 기반 부족에 따른 제품 개발 및 판로개척 애로사항,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에 적합한 시험능력 부재에 따른 고비용과 장기 해외시험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공기과학시험연구원 개원은 의미하는 바가 매우 크다. 특히 친환경 대체냉매 적용 콜드체인시스템 시험·평가 인프라도 구축될 예정인 만큼 냉동공조산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