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특별기고] 강원대 플랫폼, 지역특화 GR사업모델 개발

광역 GR사업 총괄역량 확보…지역문제 해결형 모델확산 도모
건물생애주기 경제적·비경제적 GR효과 정량분석 추진

강원대 그린리모델링(GR) 지역거점 플랫폼은 병영생활관 GR 등 ‘지역특화 GR사업모델 개발’을 주요과제로 설정하고 △도시재생뉴딜사업과의 연속성 △지역 리질리언스(Resilience) 강화 △공공건축물 기능연속성 계획을 고려한 GR △지역역량 강화를 통한 사업확산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거점 플랫폼이라는 사업특성상 넓은 권역을 총괄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데 강원대는 권역내에서 기본 연구역량의 우수성, 기존 사업경험 등 측면에서 GR 지역거점 플랫폼 선도기관으로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최적의 기관이다.

실질사용량 기반 성능평가 필요
현재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인증과 GR지원은 설계자료를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건축물 라이프사이클 에너지소비 절감과 온실가스배출량 절감을 보장하지 못한다.

건축물 에너지소비는 설계, 준공 및 준공 직후단계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외란요소(기상, 재실자 특성 등)의 영향을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건축물 사용양상의 변화 및 설비노후화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즉 현재 GR의 필수 요소인 고단열, 고기밀, 고성능 설비의 도입은 건축물 라이프사이클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충분조건이 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2050년 탄소중립 등을 향한 주요과제로서 GR을 추진한다면 건축물 에너지성능에 대한 정기적, 지속적인 인증이 중요하다.

한국형 에너지스타와 같은 건축물 에너지성능 라벨링제도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설계치의 표시제도에 그쳐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라벨링 의무화에 더해 실질 사용량에 근거한 라벨링제도로의 이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실행을 위해 필요한 것이 건축물에 대한 지속적인 성능검증 과정인 커미셔닝 프로세스이며 이를 위한 지원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체감형 GR효과 홍보
공공건축물 GR은 비용-편익에 대해 지역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 쉽지 않다. 공공건축물의 경우 민간건축물과는 달리 에너지비용 지불주체와 사용주체가 상이하다. 이로 인해 절감에 의한 혜택을 실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공건축물에서 민간건축물로 GR확산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업사례 축적을 통한 방법론 제시와 비용-편익에 대한 정량적 홍보가 중요하다.

강원대 GR지역거점 플랫폼은 직접적인 에너지절약 편익에 대한 홍보는 물론 간접적인 비에너지효과(non-energy benefits) 홍보를 통해 지속적인 GR인지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건축물의 경우 한 번의 대규모 리노베이션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권역 내 지역특성의 변화에 맞춘 유연한 단계별 GR이 유효할 수 있다. 이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는 이유인 지역소멸과도 밀접히 연계된다.

강원대 플랫폼은 향후 GR 요소기술의 계층화를 통해 지역특화된 단계별 GR에 관한 우수 방법론을 검토하고 제시할 계획이다.
<은희창 강원권 그린리모델링사업단장(강원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