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면서 정부는 ‘재난’이라고까지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분위기 속에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건설현장의 비산먼지는 다른 분야와 달리 체감도가 높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산업 중 건설부문의 배출량은 1.61%에 불과하지만 이는 건설사 사업장 내 직접배출의 경우고 실제 전력사용에 의한 간접배출과 임대건설장비에 따른 기타배출을 포함하면 35~40%에 이른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현장의 환경관리 필요성을 알리고 건설사들의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공유하고 있는 (사)한국건설환경협회의 안정모 회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 협회를 소개하면
협회는 1995년 1군 건설회사 환경담당자를 중심으로 ‘건설환경관리협의회’로 발족했다가 2011년 현재명칭으로 환경부 산하에 사단법인 등록됐다.
현재 정회원으로 50여개 건설회사가 속해 있으며 준회원·특별회원으로 건설환경관련회사와 유관기관 10여곳이 등록돼 전체 200여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협회는 건설환경 관련법령과 관련정책의 조사·개선, 친환경 녹색건설기술 개발·보급, 국내외 환경·제도정보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그간 주요활동으로 건설환경관리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건설사간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활동을 지속해 왔다.
또한 매년 건설현장의 환경관리 우수사례를 전파함으로써 자극제로 활용하기 위한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23개 발표작에 국회의장상, 환경노동위원장상, 국토교통부장관상, 환경부장관상 등을 수여했다.
■ 회원사 규모차이가 큰데
그렇다. 현재 대기업, 중소기업 등 다양한 규모의 회원사가 있어 원하는 것들이 조금씩 다르다. 이에 따라 회원사마다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협회가 되고자 한다.
대기업은 법규개정과 실질적인 현장업무 관련정보를 원하고 있고 중소기업은 전체적인 정책·제도변화에 따른 대기업의 대응노하우 등을 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ISO인증은 건설사마다 받고 있다. 그런데 규격이 바뀌면 이에 따라 심사를 다시 받아야 하는데 조직이 크면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답답해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회원들이 좀더 밀착해서 일상적으로 정보교류가 가능하도록 SNS를 활용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착시킬 계획이다.
■ 건설환경관리 인력이 부족한데
협회는 중장기과제로 건설사가 건설현장의 환경관리자를 도입·지정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 사회가 요구하는 환경관리 수준이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를 전문적으로 전담하는 사람이 없어 여러사람이 나눠맡고 있으며 전담인력이 있더라도 비산먼지관리, 억제시설관리, 폐기물처리, 폐기물분담금업무, 서류작업 등을 1~2명이 처리하다보니 힘이 부치는 상황이다.
그러나 건설사에 인력확충 의무를 부여할 경우 인건비에 따른 공사비 증가가 우려돼 현재 환경관리비의 일부를 환경관리 인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