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를 타에너지로 변환·활용하는 기술, 즉 전력과 비전력 부문간 연계로 공급과 소비부문이 서로 연계되는 융합시스템을 섹터커플링(Sector Coupling)이라고 한다. P2X(Power to X: 그린수소생산(P2G), 열생산(P2H&Boiler), 모빌리티 이용(P2M)기술과 재전력화(X to Power)기술 등이 해당한다. 국내에서 올해 섹터커플링 과제가 본격 시작됐다. 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섹터커플링 과제를 기획한 김성수 신재생융합PD를 만나봤다. ■ 왜 섹터커플링이 중요한가최종 에너지소비의 전력화, 전력생산의 탈탄소화, 분산화, 디지털화 등 전력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전통전력망(공급유연성)에서 재생에너지 저탄소 분산 전력망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전력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분산자원의 계통수용성 확보, 사이버보안 대응, 소비자 시장참여 확대, 전력계통 신뢰도 및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발전량 예측, 예비력 운영체계 구축, Regulation, 관성, 유연성자원확보, DR활용 등이 필요하며 입찰시장개선 (실시간)가격신호, 보조서비스 시장 및 소비자 시장참여 확대 및 유연화시스템(P2X-X2P),
탄소중립이란 배출원이 배출한 만큼을 흡수원이나 다시 흡수하도록 해 실질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은 ‘ZERO(0)’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비율을 2026년까지 법정상한인 25%로 단계적으로 상향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국내 순배출량 ‘0’ 달성을 의미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미래생존을 위한 마지막 기회’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심의, 확정했다. 제주도는 제주도를 탄소없는 섬으로 만들기 위해 2012년 ‘CFI(Carbon Free Island) 2030’ 계획을 수립하고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정책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목표에 도달하기도 전부터 수요와 공급 불일치, 즉 전기소비량보다 생산량이 더 많아지게 되자 결국 제주도는 재생에너지설비의 가동을 강제로 중단하는 출력제한(Curtailment)을 시행하고 있다. 출력제한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 섹터커플링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중 열에너지 중심의 전환·저장·활용시스템을 구축하는 P2H 정책과제가 제주에너지공사 컨소시움이 총괄한다. 이번 과제 수주에 적극 지원한 윤형석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장을 만났다. ■ 탄소중립을
제주에너지공사(JECO)는 제주의 풍력자원을 공공적으로 관리하고 민간사업자 중심의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에 따라 설립돼 주민수용성 확보 및 공익사업 추진을 통한 도민 에너지복지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주도 내 신재생에너지설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출력제한이 발생함에 따라 해결방안으로 ‘P2H’가 주목받음에 따라 제주에너지공사는 제주도 에너지공기업으로써 출력제한 해소방안 마련을 위해 P2H과제 수주에 적극 나섰다. P2H과제를 총괄할 강병찬 제주에너지공사 지역에너지연구센터장을 만났다. ■ P2H 과제를 주관하게 된 배경은제주는 2012년도부터 ‘탄소 없는 섬, 제주(CFI: 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풍력, 태양광 중심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로 제주 전력수요를 담당할 계획이다. CFI 실현을 위해 이행기관이 필요했으며 JECO가 그 중심에 있다. JECO는 육상풍력, 해상풍력, 태양광발전시설을 추진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설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출력제한이 발생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발전시설만 지속 공급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제주도의 에너지공기업으로서 출력제한을 해소하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에너지기술을 개발하고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국내유일 에너지전문 국제공인시험기관(인정번호 KT203호)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 에너지효율기자재, 신재생에너지이용설비 등 23개 시험규격을 인정받고 있다. 기존 연구 축열기술 접목국내 신재생에너지발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및 계통 불안정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열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저장 및 활용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력사용 중 약 30%는 결국 냉난방을 위한 열에너지로 변환돼 사용되기 때문에 출력제한 시 열에너지로 미리 변환해 저장 후 필요한 부하처에 공급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때 열에너지저장을 위한 축열조 운용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기존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됐으나 출력제한 발생 시 잉여전력을 이용한 축열기술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기술연구원은 그동안 연구경험을 이용한 축열기술을 접목해 출력제한에 따른 잉여 전기에너지를 히트펌프 및 전기히터 등을 이용해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기 위한 P2H 기반 고효율 열생산 및 저
제주대는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1952년 개교한 이래 끊임없는 혁신과 도전으로 글로컬(glocal) 고등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제주대 산학협력단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산업발전 및 기술개발을 위한 우수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식〮기술개발〮보급〮확산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공기열원, 수열원, 온배수폐열 등 다양한 미활용에너지를 활용한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연구역량이 높고 관련 다수의 특허를 출원〮등록했다. 연구를 바탕으로 △온배수열 및 지하수 활용 기반, 제주도 열원 생산기술-공급-소비최적화, 열분배 기술 △제주도 시설농가 및 타운하우스 대상 에너지 활용 설비 적용 실적 보유 및 신재생에너지 융합시스템 보급, 검증데이터 보유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적용에 따른 경제성 및 시장분석, 열거래 방안 강구 등 이번 P2H과제를 위한 열에너지 및 에너지모니터링 선행연구 실적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현병택 제주대 교수는 “제주지역 풍력발전량 제어 비중이 2020년도 기준으로 출력대비 3.2%로 아직 심각한 상태는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급격히 보급되고 있는 태양광설비를 고려할 때 곧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라며 “제주에너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989년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생산기술 개발 및 실용화 지원을 통해 글로벌 중소·중견기업을 육성함으로써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개의 연구소(뿌리기술연구소, 융합기술연구소, 청정기술연구소)와 9본부(서남본부, 동남본부, 대경본부, 울산본부, 강원본부, 전북본부, 제주본부, 기획조정본부, 산업기술전략본부)로 구성돼 있다. 제주본부는 미래를 위한 고부가가치 청정생태자원 기술의 싱크탱크로서 Carbon Free Island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산업 기반 마련에 힘쓰고 지역자립형 생산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제주지역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 및 지역산업구조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축열기술 핵심기술력 보유P2H의 핵심기술 중 하나는 잉여전력을 열에너지로 변환해 저장하는 것이다. 생산기술연구원은 고효율 열생산 및 저장기술에 대한 연구와 고밀도 축열 시스템 등을 활용하기 위해 제주지역 열에너지 수요처에 적합한 열공급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했다. 생산기술연구원의 관계자는 “우리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고밀도 축열시스템과 활용방안에 대한 기술을 P2H사업에 접목해 제주지역의 현안문제인
수열원활용 기술 및 특화기술을 바탕으로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한 인터텍은 기계설비 제조업과 빅데이터 솔루션을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열에너지), 환경, 빅데이터 전문기업으로 성장했다. 특히 2020년 ‘그린뉴딜 유망기업 100’에 선정되며 수열원 활용 및 천공을 통한 열해석 프로그램개발에 30억원 규모를 투자하고 있다. P2H 과제에서 ‘저탄소 열에너지 생산·공급시스템 및 고효율 열교환기 개발’을 맡은 인터텍은 이번 사업을 통해 제주에서 기후위기와 경제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제주뉴딜’을 목표로 재생에너지 확대, 섹터커플링 연계로 에너지전환을 넘어 삶의 전환에 앞장서고 있다. DR참여 비즈니스모델 구축인터텍은 제주도 내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열에너지를 적용한 제주도 내 실증사이트와 수요처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제주도는 육지와 다른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지하수열을 활용하기 위한 천공과 관로매설 등 업무수행 시 실증경험이 중요하다. 인터텍은 P2H 관련 지식재산권과 제주도 기술규제 대응, 수열원 활용 관로 매설과 토목공사, 모듈형 기계실 및 열교환기 장비 일체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 타사대비 제주도 열원시장의 경쟁력 우위를 갖고 있다. 또한 제주도의 사회
에너지·기상·환경 전문 솔루션 기업 에코브레인은 에너지와 기상, 환경을 비롯한 모든 사업에서 기상정보 영향을 분석하고 고객이 원하는 최적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발전량 정보를 예측해 발전단지 운영을 지원하고 대기확산 모델링으로 영향평가를 수행하는 등 기상정보를 통해 다양한 분야와 종류의 예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기상·환경 그리고 새로운 기후변화 비즈니스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최적 플랫폼 단기간 구축 집중P2H를 연계한 플러스DR 플랫폼 개발을 담당하는 에코브레인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초과하는 전력을 열에너지로 변환, 저장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플러스DR시장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만들어 현재는 미비한 시장활성화를 이끌고 현재 출력제한으로 버려지고 있는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량을 줄이는데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의 실증데이터를 활용해 한국전력거래소 본사 및 제주본부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예측시스템 구축 주관 개발사로 참여했던 경험과 다양한 운영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시스템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 활용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단기간에 설계·구축 완료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 에코브레인의 관계자는 “P2H 운영플랫폼은 한국전력거래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회장 강성희)는 냉난방공조산업(에어컨, 냉난방기, 히트펌프 및 냉동기 등) 진흥 및 발전을 위해 설립됐으며 산업조사 및 정책건의, 신규시장 개척, 국제교류, 전문인 양성, 국내외 전시운영, 시험, 인증, 표준 지원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현재 국내 KS표준의 냉동공조분야(TC86) 표준협력개발기구(COSD)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25종의 냉동공조분야 단체표준을 제정하고 미국 AHRI 표준협력협약을 체결했다. 냉동공조산업협회의 관계자는 “냉난방공조산업에서 재생에너지 활용은 미래 방향성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발전 등)의 출력제한으로 생기는 잉여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해 지역냉난방 등에 활용할 수 있는 P2H 기술개발에 이바지하고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표준화·정책제도 수립냉동공조산업협회는 히트펌프와 플러스DR 플랫폼 관련 표준화 및 정책제도를 수립하고 P2H 멀티소스·설비 관련 안전규격과 운영지침 개발 및 보급확대를 위한 제도조사와 해결방안 수립을 통해 냉동공조산업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 관련기술 수준 현황 △신재생 활용
세계적 냉난방공조 전문 전시회인 MCE 2022(2022 Mostra Convegno Expocomfort)가 지난 6월28일부터 7월1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 피에라밀라노(Fieramilano)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으로 4년만에 개최됐지만 명성에 비해 규모나 내용측면에서 다소 실망스럽다는 평가가 나온다. 칠벤타(Chillventa), ISH(International trade fair especially for Sanitation and Heating technology), 중국 제냉전 등과 함께 세계 4대 냉난방공조 기술 및 신재생에너지 전시회로 꼽히는 MCE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냉난방, 배관, 위생, 피팅분야 전문 전시회로 유럽 최대규모의 기계설비 박람회다. 에너지효율화, 신재생에너지 등과 관련한 세계적 트렌드, 신기술을 살펴볼 수 있으며 바이어와 생산자의 교류의 장으로서 매년 전 세계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MCE의 관계자는 “MCE는 HVAC&R,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성 업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비즈니스 쇼케이스”라며 “상업, 산업 및 주거지역의 스마트빌딩에서 쾌적한 생활을 위한 플랜트 및 시스템의 생산자, 설계자, 설치자
월드이엔씨(대표 김경영)는 흡수식 냉온수기 전문기업으로 1999년 LG전자의 흡수식 냉온수기의 고온재생기분야가 분사한 기업이다. 국내 최초로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를 개발했으며 △흡수식 냉온수기 △흡수식 냉동기 △중온수 냉동기 △스팀냉동기 등을 공급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의 에너지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발전배온수를 활용한 흡수식 히트펌프시스템을 적용했으며 냉수, 고온수 생산을 통해 에너지절감, 생산량 증대에 기여했다. 흡수식 HP기반 발전배온수 활용 증대논산계룡축협 자연순환센터(이하 논산자연순환센터)는 축분 및 음식물 쓰레기를 활용해 생산된 바이오가스로 전기를 생산하고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면서 발생한 부산물(자연비료)을 지역사회에 공급한다. 자연순환센터는 크게 △발전시설 △전처리동 △소화조동 △퇴·액비화동 등 축분자원화 및 에너시생산시스템으로 구성돼있다. 자연순환센터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는 하루 약 9,000Nm³로 이는 당초 계획대비 2배 수준이다. 이를 통해 생산되는 전력은 1만4,000kWh로 발전에 사용하고도 바이오가스가 일부 남아 소각을 통해 처리하고 있는 상황으로 논산자연순환센터는 가스엔진발전시설을 추가 구축할 계
지엔씨에너지(대표 안병철)는 세계 최고의 친환경에너지기업을 목표로 친환경 바이오가스발전기, 가스터빈발전기 등 기술력 향상에 지속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열관련 국내 최대실적을 보유한 지엔원에너지를 인수해 친환경 기술개발에 안정적 기초를 마련했다. 2000년 즈음 해외 바이오가스발전설비가 국내에 설치됐으나 자재수급 등 안정적인 운영에 애로사항이 있어 수십억원에 달하는 발전설비가 가동되지 못하고 방치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2년부터 한국기계연구원을 주축으로 매립가스 발전설비 국산화 연구가 진행됐다. 지엔씨에너지는 친환경에너지기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립가스 발전설비 국산화 연구에 참여해 현재 국산화, 안정화 단계를 달성했다. 이를 통해 바이오가스발전소 직접설계, 제작, 설치, 운영 등 전과정에 이르는 민간투자사업을 진행해 시장에서 신뢰를 얻고 있다. 현재까지 △인천시 △청주시 △동두천시 △김해시(2개소) △순천시 △여수시 △서산시 △속초시 △화성시 등에 바이오가스발전소를 설치해 가스생산량이 감소한 2개소를 제외한 9개소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연구단계부터 설치된 설비의 경우 2006년 연구를 시작한 이래 10년 이상 안정적으로 운전되
국내 대표 목재펠릿, 축분펠릿, 미이용목재칩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보일러 및 연소기 전문기업 규원테크(대표 김규원)는 세계 최고수준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기술연구소 연구원이 전 직원의 30% 이상에 달할 정도로 기술개발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2017년 정부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을 20%를 달성하고자 ‘신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축분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 및 발전비중 확대의 필요성이 대두됐으며 돈분은 바이오가스, 우분은 축분펠릿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규원테크의 관계자는 “축분의 퇴·액비화 등 기존 처리과정에서 악취, 수질 등 환경영향이 발생하고 있다”라며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축분펠릿 생산과 발전사업추진으로 축분의 적정처리 및 신산업육성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축산농가 E자립모델 구현 박차규원테크는 지난해 △경북도 △한국전력 △켑코es 등과 함께 ‘축분펠릿 활용 농업에너지 전환 공동연구’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1월 축분펠릿을 활용한 농업에너지 전환실증 시험설비를 1만9,834m²(6,000평) 규모의 청송 ‘그린썸
국민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국내 축산업계의 사육두수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축분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 퇴·액비화 정화 등의 처리방식은 이미 한계에 다다랐으며 정부는 에너지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축분처리방식을 마련하기 위해 ‘태양열(광), 지열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과제의 연구책임자인 윤영만 한경대 교수를 만나 축분 에너지화의 의미와 가치, 활용확대방안에 대해 들었다. ■ 농축산부문 에너지소비구조는농축산부문 에너지소비량은 2016년 기준 국가 전체 소비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산업부문 에너지소비량대비 약 2.6%로 에너지소비량 측면에서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에너지원 소비구조는 석유류의 경우 2001년 약 85.9%에서 2016년 약 59.5%로 감소한 반면 전력은 2001년 약 11.7%에서 2016년 약 38%로 크게 증가하는 등 농축산부문 에너지원 소비구조는 석유중심에서 전력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농축산부문 에너지소비용도를 살펴보면 시설재배, 가축사육시설 등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에너지가 약 40.1%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농축산부문 에너지 소비구조는 전기화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20
경북도는 축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한육우 사육량이 전국 1위이며 젖소 3위, 돼지 3위, 닭 4위 등 다른 가축의 사육두수 또한 상위권에 위치해있다. 또한 축분 발생량은 연간 808만톤으로 이는 전국 축분 발생량의 약 14% 수준으로 토양부영양화,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축분 처리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많은 양의 축분을 경제적,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펠릿화해 농가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정아 경북도 축산정책과 과장을 만나 축분펠릿의 특장점, 경북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현황에 대해 들었다. ■ 경북도 축산정책과는경북도 축산정책과는 경북도의 농·축산정책을 총괄하는 농축산유통국 내 축산정책을 담당하고 있으며 축산정책, 축산경영, 친환경축산, 자원관리, 축산신산업 등 5개 팀으로 구성돼있다. 특히 축산업 체질개선 및 선진 축산경영 실현에 앞장서고 있으며 가축분뇨 자원화관리 등 지속가능한 산업기반 조성에 적극 기여하고 있다. ■ 경북도 축분 발생현황은경북도는 축산업이 발달된 지역으로 축분발생량은 전국 3위이며 축분펠릿에 적합한 우분발생량은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환경부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화사업을 지속 추진해오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재생에너지TF를 신설해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를 비롯해 수열, 수상태양광, 조력 등 환경부가 담당하는 재생에너지분야 사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예산사업 및 법·제도 개선사항 등을 체계적으로 발굴할 방침으로 재생에너지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매스 관련 사업추진을 수행하고 있는 이형우 재생에너지TF 사무관을 만나 탄소중립 달성과정 중 유기성 폐자원의 역할과 이번 시범사업의 의미 등을 들었다. ■ 재생에너지TF를 소개한다면 환경부 재생에너지TF는 2050 탄소중립이 주요 국정과제로 주목받음에 따라 환경부에서 기존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구성됐다. 최근에는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 유기성 폐자원으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시설’ 시범사업 대상지로 서울시, 순천시, 구미시, 청주시 등을 선정했으며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유기성 폐자원의 기존 처리방식은현재까지 대부분의 음식물쓰레
정부는 지난해 10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확정하며 탄소중립에 대한 적극적인 이행의지를 밝혔다. 에너지, 산업, 건물 등 탄소다배출부문을 비롯해 농축수산부문도 탄소배출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으며 정부는 2050년 농축수산부문 탄소배출목표를 1,540만tCO₂eq로 확정했다. 특히 2030 NDC의 경우 감축률을 기존 21.6%에서 27.1%로 상향했으며 효과적인 감축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농축산업의 경우 가축과 작물의 생육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난방을 통해 주로 탄소가 배출되고 있다. 특히 축산업은 난방과 함께 가축의 생리작용에 따라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가축과 작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난방은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비교적 쉽게 탄소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나 생리작용으로 인한 축분 탄소배출은 사육두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난제로 남아있다. 2019년 기준 하루 15만3,220톤의 축분이 쏟아지고 있다. 우분 1톤당 온실가스 발생량은 0.13CO₂톤으로 이를 환산하면 하루에 1만9,918CO₂톤, 연간 727만289톤의 온실가스가 축분으로 인해 발생한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상 농축수산부문 탄
2020년 2021년 증감률 경동나비엔 매출 873,409 1,102,947 26.3% 영업이익 67,099 64,296 -4.2% 당기순이익 41,637 80,658 93.7% 귀뚜라미 매출 281,349 324,979 15.5% 영업이익 11,454 11,721 2.3% 당기순이익 6,520 13,585 108.4% 린나이 매출 302,596 314,623 4.0% 영업이익 2,154 9,451 338.8% 당기순이익 2,517 8,435 235.1% 대성쎌틱에너시스 매출 104,256 132,939 27.5% 영업이익 2,562 3,068 19.8% 당기순이익 1,638 1,770 8.1% ▲ 2020·2021년 가정용 보일러업계 실적현황(단위: 백만원). 국내 가정용보일러기업들은 안정적인 국내시장 성과와 함께 해외시장에서의 성장을 통해 전체적으로 성장세를 기록했다. 철광석, 알루미늄, 구리 등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많이 생산되는 원자재의경우 보일러의 주요 원재료로 러시아 침공사태의 장기화가 보일러업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철광석 생산국으로 지난 2월 하락세에 접어들던 철광석 가격은 다시 급등해 보일러업계 이익에 영향을
2020년 2021년 증감률 부-스타 매출 100,596 98,227 -2.4% 영업이익 5,883 -14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5,455 2,264 -58.5% 한국미우라 매출 94,189 87,786 -6.8% 영업이익 7,474 9,162 22.6% 당기순이익 6,209 7,428 19.6% 대열보일러 매출 43,067 51,296 19.1% 영업이익 1,442 -3,718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1,442 2,004 39.0% 한신비텍 매출 61,173 40,063 -34.5% 영업이익 2,056 736 -64.2% 당기순이익 1,685 654 -61.2% 청우지엔티 매출 14,435 10,812 -25.1% 영업이익 4,976 3,988 -19.9% 당기순이익 3,997 3,539 -11.5% 흥국공업 매출 10,801 8,300 -23.2% 영업이익 1,481 629 -53.3% 당기순이익 1,325 487 -63.2% 한국코로나 매출 10,149 8,516 -16.1% 영업이익 175 78 -55.4% 당기순이익 270 52 -80.7% 힉스 매출 3,833 4,225 10.2% 영업이익 -460 276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291 363 흑자전환 수
2020년 2021년 증감률 지엔원에너지 매출 30,369 25,134 -17.2% 영업이익 1,131 -1,120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3,606 -930 적자지속 지지케이 매출 8,465 7,396 -12.6% 영업이익 36 1 -97.2% 당기순이익 367 863 135.1% 지앤지테크놀러지 매출 3,169 3,729 17.7% 영업이익 197 270 37.1% 당기순이익 184 184 0.0% 유천써모텍 매출 13,011 14,784 13.6% 영업이익 194 177 -8.8% 당기순이익 161 147 -8.7% 제이앤지 매출 12,628 14,615 15.7% 영업이익 485 271 -44.1% 당기순이익 380 189 -50.3% 대성히트에너지시스 매출 28,213 33,200 17.7% 영업이익 2,066 1,570 -24.0% 당기순이익 1,940 2,507 29.2% 티이엔 매출 8,991 8,920 -0.8% 영업이익 1,074 388 -63.9% 당기순이익 390 212 -45.6% 지오테크 매출 5,001 7,879 57.5% 영업이익 154 231 50.0% 당기순이익 130 219 68.5% 혁신이앤씨 매출 5,553 5,45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