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헌 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는 △하나존 대표 △휴다임 에너지사업본부장 △수성엔지니어링 에너지환경사업본부장 △세협기계 에너지환경사업본부장 등을 거쳐 2019년부터 안양대 에너지환경공학과에서 에너지분야 용역과 연구 인력양성을 하는 등 산·학에서의 경험을 두루 갖추고 있다. 특히 하수열, 유출지하수 등 양질에 에너지원임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인정받지 못해 수열에너지로 활용되지 않는 수열원에 대한 확대 중요성을 전파하는 등 수열에너지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김시헌 교수를 만나 네덜란드 수열에너지 활용특성 및 국내 적용 가능성에 대해 들었다. ■ 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는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는 △창의적 기획관리 △능동적 변화대응 △합리적 문제해결 △건실한 업무수행 등 역량을 갖춘 환경에너지분야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집중적인 세부 전문분야 교육을 통해 전문가로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현장중심의 교육을 통해 진취적인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 네덜란드 방문 시 주목한 점은2009년부터 하수, 해수, 유출지하수 등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한 냉난방시스템 설치, 운영과 함께 연구를 해오면서 물환경이 우수한 네덜란드의 여러 도
CJ제일제당은 식품제조전문기업으로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에 진출하며 K-푸드를 전파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식품사업과 관련해 △미국 △멕시코 △호주 △독일 △러시아 △일본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다양한 해외시장에 진출했다. CJ제일제당의 2020년 기준 글로벌 매출은 전체 매출 중 60%를 차지할 정도로 해외시장에서의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CJ제일제당은 인류 공동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을 위한 UN의 SDGs달성을 지지하고 있다. UN SDGs에서 설정한 17개 목표 이행을 위해 전 밸류체인에서 핵심전략과 연계한 사업 및 프로젝트를 추진해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050년 탄소중립 및 제로웨이스트 실현’을 선언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 중장기 목표와 전략 등을 담은 로드맵을 수립한 바 있다. 민경철 CJ제일제당 엔지니어링프로젝트팀 책임을 만나 CJ제일제당의 탄소중립 달성 노력과 이를 위한 전략 등을 들었다. ■ 해외시장 진출이 활발한데CJ제일제당은 해외시장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최근 ‘글로벌 수출’ 첫 해외 제조기지인 베트남 키즈나공장을 시작으로
장한기술은 1987년 설립 이후 지역난방지역 공동주택에 팽창탱크, 콤팩트유니트, 부스터펌프 등을 공급해 에너지소비 절감을 유도하고 있으며 대형 오피스, 공항, 쇼핑몰 등 상업용 건물에 빙축열, 수축열과 같은 축냉설비를 설치해 비용효율적인 건물운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고 물, 에너지, 환경 등과 관련된 신기술을 개발하는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설계, 제작, 설치,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 대한 역량을 바탕으로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열(PVT)와 연료전지, 수열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건물부문 신재생에너지 적용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해외에서 유망한 기술을 국내에 공급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해외시장 진출도 지속 시도하고 있으며 동남아지역 워터파크, 리조트, 주택 등에 PVT시스템을 공급키도 했다. 유원대 장한기술 부사장을 만나 장한기술의 신재생에너지사업 방향과 네덜란드 방문을 통해 추진할 사업에 대해 들었다. ■ 네덜란드 방문목적은 냉난방(HVAC)에너지가 건물 전체 에너지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 수준이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저에너지 친환경계획 컨설팅그룹 네드는 건축물 설계초기단계부터 높은 수준의 저에너지 친환경계획으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ZEB)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며 국내 건축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네드는 설계에 그치지 않고 운영단계에서도 건물에 적용된 요소들이 실질적인 에너지소비 저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모니터링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신축건물뿐만 아니라 기축건물의 단열, 창호, 기계설비 등 성능을 개선해 에너지소비,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쾌적한 생활환경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그린리모델링(GR)을 수행하며 유지관리비용 절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네드는 △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 2단지 제로에너지아파트 기술제안 △경기도청 신청사 신축공사 기술제안 및 실시설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신축공사 기술제안 및 실시설계 등 국내 대표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계획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 한국에너지공단 등과 함께 ZEB 정책연구에도 참여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함정훈 네드 실장을 만나 건물부문 탄소중립 방안과 한계점, 네덜란드의 탄소중립 노력에 대한 평가를 들었다. ■ 네덜란드 방문 목적은 네드의 친환경계획 전략파트는 현상 및
IF Technology는 지열에너지시스템 전문자문기업으로 유럽 내 지열에너지 기술고도화를 리딩하고 있다. 토목, 기계, 우물관정, 전기 등 다양한 분야 약 90명의 엔지니어가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베를린 △영국 △미국 △일본 △중국 △인도 △러시아 △덴마크 △스페인 등 약 3,000여개 프로젝트를 네덜란드를 비롯해 전 세계에 걸쳐 수행해오고 있다. IF Technology의 사업분야는 △보어홀 계간축열시스템(BTES) △대수층 계간축열시스템(ATES) △심부지열 △수열에너지 등이다. 바스 호스차흐크(Bas Godschalk) IF Technology 해외비즈니스매니저를 만나 ATES의 특장점 및 한국 적용간으성에 대해 들었다. ■ ATES란네덜란드는 ATES를 적용하기 위한 적합한 기후와 지역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IF Technology의 기술은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ATES는 계절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겨울철 5~10℃의 냉열을 저장하고 여름철 13~17℃로 건물에 냉방을 공급한다. 여름철 건물에서 회수된 온열은 다시 저장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밀폐형 시스템인 BTES와 달리 ATES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BT
Deltares는 물, 지하, 기간시설분야 응용연구를 위한 연구기관으로 석박사 등 800명의 전문연구인력으로 구성됐다. 안전, 물, 에너지, 환경 등에 초점을 맞춘 정부의 정책수립과 기간시설을 위한 연구 및 컨설팅 프로젝트를 전 세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와도 안전, 수질, 환경 등과 관련해 협업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연구를 통해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최고의 컨설턴트가 목표인 이보 포트호프(Ivo Pothof) Deltares 산업유체역학전문가를 만나 건물부문 에너지효율 제고방안에 대해 들었다. ■ Deltares를 소개한다면 Deltares는 연구경험, 차별화된 소프트웨어 데이터플랫폼, 툴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정부와 기업 등과 밀접한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 정부와 에너지관련 대학·기업 등이 참여해 건물부문 에너지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워밍업(Warming Up)이라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Deltares는 한국과의 협업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함께 4대강 실시간 물온도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안동댐 식재와 관련해 댐관리에 대한 자문을 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한국 해양연구원과는
Witteveen+Bos는 에너지전환, 기후적응, 홍수, 건강한 도시, 순환경제, 인프라 등 분야에 독보적인 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400명이 근무하고 있다. 주요고객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으로 협업을 통해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설립당시인 1946년은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해로 Witteveen+Bos는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도시를 재건하는 사업에 적극 참여했다. 이를 통해 도시개발에 대한 노하우를 쌓았으며 현재는 네덜란드에서만 10개지사, 세계적으로 14개의 현지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 지사를 통해 아시아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부산EDC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ATES 적용을 검토한 바 있다. Witteveen+Bos는 10년만에 네덜란드에서 개최되는 Floriade Expo 2022(플로리아데 엑스포 2022) 종료 후 조성되는 거주지역 개발계획을 수립했다. Saleh Mohammadi(살레 모하메디) 시니어 컨설턴트를 만나 Floriade Expo 종료 후 조성될 도시의 특성과 적용될 에너지시스템에 대해 들었다. ■ Witteveen+Bos의 강점은에너지전환시대에
Eteck은 열에너지 공급전문기업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냉난방을 지속가능한 에너지로 생산해 가정과 건물에 공급하고 있다. 주요고객으로는 지자체, 부동산개발업자, 주택임대업자 등으로 Eteck은 지역난방을 위한 스마트 열그리드시스템 구축을 대행하고 있다. Eteck의 스마트 열그리드 공급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는 계약을 통해 열에너지서비스를 간단한게 활용할 수 있다. 신축뿐만 아니라 가스보일러 중앙공급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 건물에 대해서도 신재생열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10년만에 네덜란드에서 개최된 Floriade Expo 2022에 스마트 열그리드시스템 구축을 수행했다. Eteck이 구축한 스마트 열그리드는 Floriade Expo가 종료되고 조성되는 도시의 약 3만m²에 달하는 상업용 건물과 약 250개 주거건물에서 필요한 냉난방을 35년간 공급하게 된다. 바트 블라운드라드(Bart blaauwendraad) 프로젝트관리자를 만나 Eteck의 비전 및 이번에 구축한 스마트 열그리드시스템에 대해 들었다. ■ Floriade 프로젝트의 스마트 열그리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행사가 종료되고 구축되는 주거단지 조성사업 설
Edge Technologies는 웰빙, 지속가능성, 디자인, 기술 등 4가지 개념을 기반으로 건축환경을 선도하고 있는 부동산개발기업이다.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부동산개발에 탄소중립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100만m²에 달하는 건물을 건축했다. 또한 40여개의 글로벌 어워드에서 수상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베니 드 브리스(Bennie de Vries) Edge 프로젝트디렉터를 만나 Edge의 지속가능한 건물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성과 Edge Amsterdam West에 대해 들었다. ■ Edge Amsterdam West는Edge가 자랑하는 Amsterdam West는 1970년대 지어져 50년가량 된 옥타곤 형식의 조합건물 ‘스텔라 웨스트’를 지속가능성을 겸비한 건물로 탈바꿈한 사례다. 스텔라 웨스트 리노베이션에 Edge는 △아트리움 △라이트 샤프트 △사무공간 증축 △스마트빌딩기술 도입 △내·외부 파사드 적용 △에너지플러스빌딩 △BREEAM ‘Outstanding’·WELL ‘Platinum’ 인증획득 △기존 건축자재 재사용 등의 콘셉트로 접근했으며 2019년 착공해 2021년에 완공했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Eneco는 200만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한 에너지전문기업으로 천연가스, 전기 및 열 등을 생산, 공급했으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00%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등의 고객에 공급하고 있다. 2035년까지 전력뿐만 아니라 열공급에 대한 탄소중립을 목표로 ‘One Planet Plan’을 추진하는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에너지소비로 인한 탄소배출 저감에 앞장서고 있다. 로날드 딕스탈(Ronald Dikstaal) Eneco 열에너지부문 개발담당자를 만나 Eneco의 에너지전환 노력에 대해 들었다. ■ One Planet Plan이란Eneco는 에너지전환에 기여함으로써 미래 세대를 위한 지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One Planet Plan은 급진적 전기화, 천연가스의 단계적 폐지, 지속가능한 열 가속화 등 3가지 비전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급진적 전기화는 산업, 건설환경의 대규모 전기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풍력 및 태양에너지를 통해 생산되는 신재생 전력만을 통해 운영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Eneco는 전기차, 오피스 등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전력뿐만 아니라 Eneco의 고객을 대상으로 탄소중
엠글라스(대표 문정환)는 2020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건축 단열필름 및 차량용 틴팅필름을 연구개발하고 유통 및 시공하는 전문기업이다. 엠글라스는 태양열에너지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열차단필름의 일종인 일사조절 차폐필름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다. 건축물 유리로 유입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유발하는 냉방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제품으로 열차단 필름은 창유리에 부착해 건축물의 태양열취득에 대해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창유리를 적용한 상업용 오피스건물 및 주거용 아파트·타운하우스·주택 등의 모든 생활공간에 열차단필름 설치가 가능하며 제품이 설치된 건물은 여름철 에너지효율을 높여 냉방부하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엠글라스의 열차단필름은 KS L 2016(창유리용 필름) 규격서를 기준으로 하는 태양열취득계수(SHGC) 주요 성능데이터 중 열적외선 장파장 영역에 대해 2,500nm까지 적외선 차단율 99%를 확보했다. 실제 태양열을 반사할 수 있는 VLR(Visible Light Reflection: 가시광선 반사율), VLT(Visible Light Transmittance: 가시광선 투과율)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금속 원재료를 적용함으로써 SHGC
멀티필름코리아(대표 배정혜)는 건축물에 유입되는 빛과 열을 밸런싱하고 제어하는 전문기업이다. 구조를 보강해 외부시야를 확보하면서 빛·열을 차단하는 플리팅 기법을 활용한 투명 블라인드형 열차단 필름을 국내 최초로 공급하고 있다. 멀티필름이 공급하는 제품브랜드인 ‘데어슈츠(DERSCHUTZ)’는 ‘the Protection’이라는 뜻의 독일어로 실내온도 상승, 직달일사에 의한 눈·피부건강 위협, 외부시선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직사광선에 따른 눈부심 및 쾌적한 조도환경 저해 등으로부터 재실자를 보호하고 냉난방부하 저감을 통한 에너지절감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해 자연을 보호한다는 의미가 있다. 최대한 맑은 창을 유지하면서 가시광 및 적·자외선이 실내에서 에너지화되기 전에 유리투과가 가능한 에너지형태로 외부로 돌려보낸다. 최대 88% 태양열에너지를 외부로 반사하는 방식으로 차단하며 최대 75% 냉방에너지 절감, 43% 난방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필름이다. 반사형 일사조절장치로서 단파복사에너지가 열형태의 장파복사에너지로 변환되기 전 거울처럼 반사해 건물 밖으로 배출하는 원리다. 태양에너지는 외부에서 차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여러 여건상 외부차양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실내
한국중소벤처무역협회(KOSTA, 공동회장 송재희·정난권)는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의 혁신성장과 수출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8년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경제단체 1호로 설립됐다.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애로 해소에 주력하고 있는 KOSTA는 최근 탄소중립 이슈에 대응해 건물에너지 절감기술기업 육성을 통해 하이테크, 고부가가치 산업에 혁신 중소벤처기업을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냉난방부하 저감을 위한 태양에너지 차단 유망기술을 확보한 열차단필름 중소기업의 성능검증을 지원하기 위해 협회건축물을 시험공간으로 제공키도 했다. 이남희 KOSTA 전무를 만나 협회의 역할과 건축물 에너지효율향상 중소기업 육성의 필요성에 대해 들었다. ■ KOSTA의 역할은KOSTA는 중소기업을 판로확보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은 주된 애로사항인 △자금 △판매 △인력 등 크게 3가지 분야를 중점으로 이뤄진다. KOSTA는 이중 판매분야를 총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수출을 중점지원하는 기관이다. ■ 열차단필름 시험공간을 제공했는데건물에너지절감은 매우 중요한 이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수단을 활용해 왔지만 KOSTA가
한국태양에너지학회(회장 김현구)는 태양에너지를 연구개발하는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모여 1977년 창립한 이후 45년된 역사깊은 학술단체다. 국제표준인 ISO에서 SHGC측정을 다루는 TC163 WG17에도 김홍욱 태양에너지학회의 기획부회장이 참여해 이광호 고려대 교수, 채영태 가천대 교수와 함께 글로벌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김홍욱 부회장은 태양에너지학회 활동과 더불어 건물에너지 컨설팅기업 에이블에너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ISO TC163 WG17과 WG22 등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 건축환경 석사, 베를린공대 박사를 졸업했으며 독일기술자협회 정회원으로 소속된 글로벌 전문가다. 김홍욱 부회장을 만나 국내·외 표준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해 들었다. ■ SHGC의 중요성은에너지절약형 건축물 구현을 위한 기술 중 건축부문 에너지저감 전략으로 건물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창면적비 조정, 차양, 고성능 단열재, 고효율 창호 등 기술로 건물외피부하를 최소화해 효율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중 고효율 창호는 단열뿐만 아니라 창유리를 통한 냉방부하 증가를 막기 위한 SHGC 성능 향상이 중요한 요소다. ■ 국내 SHGC관련 제도는국내 인증기관들은
국내 SHGC 관련제도는 정립돼가는 단계로 걸음마 수준이지만 글로벌 SHGC 기준정립 역시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우리나라가 SHGC 국제표준 제정을 주도하고 있다. 2017년 ISO 19467-1(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Determination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Using Solar Simulator: 창호 및 문의 열성능-솔라시뮬레이터를 활용한 SHGC 측정)이 처음으로 제정됐으며 지난해 말 ISO 19467-2(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and doors-Determination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using solar simulator Part2: Centre of glazing: 창호 및 문의 열성능-솔라시뮬레이터를 활용한 SHGC 측정 파트2: 대형창호시스템의 중앙부)가 출판됐다. SHGC 국제표준 제정에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이광호 고려대 교수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광호 교수는 2011년 ISO에서 SHGC 측정에 관한 워킹그룹인 ISO TC163 WG17 설
최근 에너지다소비형 건물을 포함해 공공건물, 상업용, 주거용 등에서 동계 난방에너지뿐만 아니라 하계 냉방에너지 수요와 소비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비용대비 에너지절약 효과가 가장 큰 부문으로 정부에서는 건물에너지 설계기준 강화 및 각종 인증제도 의무화를 통해 에너지소비를 절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건물부문에서 에너지손실·취득이 가장 많아 중요하게 고려되는 창호의 성능기준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건물에너지설계기준의 강화 및 창세트 에너지효율등급 운영 등을 통해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있다. 건물에너지에 관련되는 창호성능은 크게 2가지 요소로 나눈다. 온도차에 의한 손실열량을 나타내는 열관류율(U-value)과 태양에너지의 광학적 투과특성에 따른 일사획득량을 나타내는 일사획득계수(SHGC: Solar Heat Gain Coefficient)다. 현재 창호의 열관류율값을 결정하는 이론적 계산방법 및 실험방법과 측정장치는 정립돼 운영되고 있으나 SHGC의 경우 비교적 최근에 측정방법이 마련돼 폭넓은 논의가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김홍욱 한국태양에너지학회 기획부회장은 “현재 SHGC관련 의무적 인증제도는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 많은 우리나라 연구자들
에이블에너지(대표 김홍욱)는 건물에너지 컨설팅기업으로 2017년 창립이후 지금까지 건물에너지절감과 관련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일본 ETO의 독점판매권을 기반으로 건물에너지 모니터링에 필요한 측정장비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린리모델링(GR) 현장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SHGC 측정장비 컨설팅 및 SHGC 저감기술 컨설팅, 한국·독일 공동연구과제 수행 등을 통해 고객들의 니즈에 맞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복층유리 루버삽입기술 ‘차별성’에이블에너지는 SHGC와 관련해 독일 레트로솔라(RETRO SOLAR)의 차양 및 블라인드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반사루버 블라인드는 실내로 들어오는 열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라인드를 닫힌 상태로 유지할 경우 시각적 요소가 전달되지 않아 외부조망이 불가능하다. 또한 하단 루버에 의해 반사된 태양열이 실내로 유입돼 열부하저감 효과를 상쇄하게 된다. 레트로솔라의 레트로플렉스(RETRO FlexⓇ)는 포물선 모양의 슬랫에 작게 쪼갠 거울을 붙이는 방식의 마이크로프리즘(Microprism) 거울을 적용해 기존 블라인드의 단점을 해소했다. 루버의 앞면은 세밀하면서 미세한 구조를 구현해 시각적 요소를 전달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산업의 급격한 성장이 이뤄지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모든 산업은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센터(DC: DataCenter)는 4차 산업혁명시대 ICT산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D.N.A(Data, Network, AI) 및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기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저장·처리·유통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 5월18~20일 세텍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에서는 데이터센터 산업동향 및 탄소중립 기여방안을 모색하는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데이터센터 산업동향국내 데이터센터 수는 △2012년 114개 △2018년 155개 △2019년 158개 △2020년 156개로 매년 증가세를 유지하며 2021년 기준 총 159개가 구축·운영 중이다. 이중 112개는 정부·공공, 지사 등 비수익용센터이며 47개는 상업용(Co-location) 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센터는 지리적 여건, 주변인프라의 우수성 등의 영향을 받아 주로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민간 데이터센터의 경우 서울에 43.3%, 경기도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너지연)이 주관하는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에너지공유 커뮤니티 구축기술개발 연구단(단장 김종규)은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의 저탄소 에너지고효율 건축기술 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김종규 에너지연 연구단장을 만나 사업현황 및 기대효과에 대해 들었다. ■ 에너지연의 역할은에너지연은 이번 R&D의 주관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하 융기원), GS건설, 카이스트, 연세대 등 산·학·연과 함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단은 건축물의 저탄소 에너지효율화 기술과 에너지공유 플랫폼 기술개발을 통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활성화 및 에너지공유 커뮤니티를 구현하며 이를 기반으로 탄소중립 커뮤니티를 실현하고자 한다. 에너지연은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등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열에너지설비 운영기술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스마트빌리지의 에너지분야를 총괄해 설계에서부터 구축 및 운영에 대해 K-water를 지원하고 있다. 전력분야는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의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주차장 및 회랑의 태양광(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부산 에코델타시티(EDC)의 에너지공유 커뮤니티 실현을 위한 에너지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을 목적으로 2019년부터 ‘저탄소 에너지 고효율 건축기술 개발사업(R&D)’을 총사업비 약 374억원 규모로 진행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에너지효율화 기술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단일건물이 아닌 커뮤니티 단위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술들을 실증하고 있다. 김태오 국토부 녹색건축과장을 만나 스마트빌리지의 특성과 향후 스마트시티의 에너지자립화 방안에 대해 들었다. ■ 스마트빌리지에서 녹색건축과의 역할은국토부 녹색건축과는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신축, 기축건축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녹색건축물 활성화 정책과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관련정책뿐만 아니라 녹색건축 활성화 기반마련을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가 R&D를 기획·추진하고 있다. 연구 실증단지인 부산 EDC 내 스마트빌리지는 56세대 규모의 단독주택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입주민들이 실제로 거주하면서 미래형 에너지 생산・공유시스템을 체험하게 된다. 참여 연구기관들은 입주민들의 거주행태에 따라 생성되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