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설비공학회(회장 강용태)는 2023년도 차기회장으로 최준영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박사를, 김동우 대림대 교수를 선출직 부회장으로 선출했다. 설비공학회는 10월13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51회 대의원회를 개최하고 차기회장 및 선출직 부회장을 선출했다. 이날 행사는 △인사말 △회무보고 △사업보고 △지회사업보고 △감사보고 △안건결의 △ 회장승계 △차기회장·선출직 부회장·감사 선출 등 순으로 진행됐다. 강용태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길었던 코로나19 기간을 끝내고 현장에서 만나 활발한 활동을 개시할 수 있게 됐다”라며 “설비공학회가 기계설비총연합회 회장단체로 등극하는 등 올해는 설비공학회에게 의미있는 한해였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역점사업으로 지회활성화가 강조됐는데 이에 따라 대구·경북지회가 많은 성과를 이룩하고 설비저널의 e-book 발행을 실시했으며 영문저널의 SCI 등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라며 “지난 하계학술대회에서는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한 기계설비업계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제51회 대의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설비공학회의 회원수는 9,554명으로 올해에만 225명의 정회원이 추가됐다. 빠른 시일 내 회원수 1만명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22년 우수기업 회원사는 총 75개사로 이중 △계룡건설산업 △그렉스 △스피폭스 △신성이엔지 등 4개사가 우수기업으로 추가됐다. 이와 함께 특급 회원사 35개사 중 △대보건설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 등 2개사, 1급 회원사 122개사 중 △금성풍력 △삼성EHS전략연구소 △아마쎌코리아 △에스앤브이코리아 △코리스이엔티 등 5개사가 추가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11회 아시아냉동공조회의(The 11st Asian Conference on Ref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ACRA 2024)’ 개최를 위한 국제학술활동기금 대여가 승인됐다. 2023년부터 설비공학회 회장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정재동 세종대 교수는 회장승계식에서 “오늘 대의원회를 참석하기 전 1년 전 어떤 의지를 가지고 차기회장에 출마했었는지 당시의 출마소견서를 다시 한번 읽어보았다”라며 “학회 내실화, 학술활동 강화, 회원관리 등에 의지를 표명했으며 올 한해 차기회장으로서 이러한 공약을 충실히 이행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에도 회장으로서 학회 내실화, 학술활동 강화, 회원관리라는 공약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약속드리며 회장승계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구체적인 액션플랜은 주변의 다양한 의견을 참고해 최선에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대한설비공학회가 올해에 이어 기계설비단체총연합회의 회장단체로서 설비업계의 발전을 위해 조화로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최준영 차기회장 당선인은 “우리학회는 여러 선배들과 대의원의 노력을 통해 큰 발전을 이뤘으며 최근 기계설비법 제정 및 코로나19로 인한 전반적인 경제여건과 맞물려 설비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라며 “그동안 학회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설비공학회의 자랑스러운 성취와 발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차기회장으로서 현재 회장단과 함께 다가올 50년을 위해 세계적 학술단체로서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 강화, 사업확대 및 고도화, 비대면시대를 위한 회원서비스 강화 및 홍보확대 등의 중점업무를 추진할 것”이라며 “설비공학회가 설비생태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민과 많은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우 선출직 부회장 당선인은 “20년간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설비공학회는 단합, 학술활동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제도정비, 기술발전 등에 영향을 미치는 훌륭한 학회”라며 “설비공학회의 일원으로 부문위원장, 사업이사, 조직위원장 등으로 활동했으며 앞으로 차기회장을 도와 회원증대, 영문저널 SCI 등재, 기술제도화 등에 노력을 지속해 대의원들의 지지에 보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준영 KTL 박사는 2023년 설비공학회 차기회장으로 활동한 후 2024년 본 회장으로 취임해 설비공학회를 이끌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선임감사에는 이동락 융도엔지니어링 대표가, 감사에는 조금남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선출됐다. 이날 진행된 대의원회에서는 차기회장, 부회장 선출과 함께 △2022년도 가결산(안) △2023년도 사업계획(안) △2023년도 예산(안) △2022년도 명예회원 추대(안) 등의 안건이 심의됐다. 2023년도 사업계획에 따르면 기존 평창에서 진행됐던 하계학술대회는 3년만에 용평에서 진행키로 결정됐으며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집합제한이 완화되면서 다양한 학술행사는 대면행사 중심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2022년도 명예회원으로 △변운섭 우원엠앤이 대표 △이동락 융도엔지니어링 대표 △이수연 한일엠이씨 대표 △이용우 대진텍 대표 △이용화 유한대 교수 △조춘식 삼인이에스 대표 등(가나다순) 6명이 추대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10조7,437억원 규모의 ‘2023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편성했지만 열에너지부문은 대부분 감액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분야 사업계획을 주로 담고 있는 에너지및자원산업특별회계,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주목할 만한 사업으로 △전력효율향상 △에너지효율관리체계고도화기반조성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에특)(R&D)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R&D) △하천수냉난방및재생열하이브리드시스템기술개발(R&D) △태양열융복합산업공정열이용기술개발(R&D) △재생에너지잉여전력부문간연계(섹터커플링)기술개발(R&D) △신재생에너지표준화및인증고도화지원(R&D) 등이 눈에 띈다. ‘전력효율향상’사업의 2023년 예산은 518억200만원으로 편성됐다. 2022년 414억5,700만원대비 103억원 이상 증액됐다. 하지만 주간 냉방피크를 심야시간대로 이전하는 축냉식 냉방설비 설치지원을 통해 특정시간대에 집중되는 전력수요를 분산하고 전력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축냉설비지원은 전년과 동일한 31억7,900만원으로 편성됐다.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냉방설비의 신·증설 시 설치 및 설계보조금을 지원해 전력수요 분산으로 에너지의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가스냉방지원은 전년보다 10억1,300만원 감소한 91억1,800만원으로 책정됐다. 지역냉방설비의 신·증설 시 설치 및 설계보조금을 지원해 하절기 버려지는 잉여열을 냉방에너지원으로 활용함으로써 국가에너지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지역냉방지원은 2억6,900만원 감소한 24억700만원으로 편성됐다.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은 2022년 3,214억3,500만원에서 7억4,435만원 줄어든 2,470억원으로 편성됐다. 세부적으로는 △주택지원 489억3,900만원 △건물지원 611억7,400만원 △융복합지원 1,345억8,200만원 △사후관리 9억500만원 △원스톱서비스지원플랫폼 14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주택, 건물, 지역 등에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비를 지원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및 관련산업 육성기반을 조성하는 이번 사업은 주택분야에서 태양열, 지열, 연료전지 등에 138억3,000만원이 편성됐다. △태양열 53억5,500만원 △지열 65억원 △연료전지 5억400만원 등이다. 건물분야에서는 △BIPV 77억5,700만원 △태양열 38억7,200만원 △지열 27억2,300만원 △연료전지 78억6,000만원 △기타 신재생에너지원 3억7,900만원 △시범사업 102억5,400만원 등이 편성됐다. 융복합분야의 비태양광부문 예산은 534억6,000만원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지속 추진을 통해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20% 달성을 추진하고 신규 시장창출로 민간투자 유도 및 관련산업 육성과 함께 보급효과가 높은 대상에 중점 보급해 지속적인 내수시장 창출 및 산업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하천수냉난방및재생열하이브리드시스템기술개발(R&D)’은 33억원으로 전년대비 51.3% 줄었다. 대형건물이나 하천에 인접한 산업시설에 하천수를 활용한 열에너지원 공급을 위해 대용량 히트펌프, 수열 활용 냉난방 운영시스템 등 핵심설비에 대한 기술개발을 통해 수열에너지 보급 확대 및 국산 설비시장 창출을 지원한다. 2023년 사업은 수열회수 시스템 실증시험, 무급유 히트펌프 제품 제작 및 실증, 축열식 하이브리드시스템 성능분석, 검증보완 및 환경영향 해석 등을 위해 사업비가 집행될 예정이며 사업완료 후 고층빌딩, 병원 등 대용량 에너지가 필요한 건물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태양열융복합산업공정열이용기술개발(R&D)’은 가스, 유류 등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공정열(중·고온)을 태양열, 히트펌프 등의 재생에너지 융합시스템으로 가온해 공급하는 기술개발 및 실증을 지원한다. 2023년 예산은 14억원으로 전년대비 30% 줄었으며 온수공급용 실증설비 제작 및 구축, 스마트 O&M 및 서비스 플랫폼 설계, 태양열 핵심기자재 신뢰성 향상 기술개발 등을 위해 사용될 계획이다. 태양열산업과 관련된 기업체 주관 과제수행을 통해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공정열을 대체하기 위한 실증연구가 추진된다. ‘재생에너지잉여전력부문간연계(섹터커플링)기술개발(R&D)’의 2023년 예산은 56억6,300만원으로 전년대비 5.6% 감소했다. 이번 예산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열에너지로 저장(P2Heat), 전환 및 전기차 배터리 기반(P2EVs) 플러스 DR시스템 개발 및 실증을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플러스DR 신규자원 기술개발 및 실증 총괄 △재생에너지 출력제한(VRE Curtailment) 대응 P2Heat 기술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이용 효율화를 위한 전기차 스마트 충전시스템 △집단e 연계 전기보일러 구동 전력-열 변환 및 저장 기술 등이 포함된다. 향후 출력제한이 발생하는 곳에서 실증 운영해 농수산업 또는 숙박업종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P2H 설비데이터 및 운용기술을 습득하고 스마트 전기차 충전서비스 실증을 통해 플러스DR제도 실증데이터 수집 및 개선, 유연한 전력수요를 제공할 수 있는 중대형급 전기보일러 기술 국산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효율관리체계고도화기반조성’은 효율기자재 및 고효율인증기자재 관리체계 고도화를 위해 중장기 효율목표를 수립·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체계적인 기술개발 촉진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2022년 6억9,100만원에서 2023년 9억6,600만원으로 증액 편성됐다. 효율기자재부문은 전년대비 27.1%, 고효율인증기자재부문은 100% 증액됐다. 이를 통해 제도의 신뢰성 제고,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통한 국내시장 견인 및 수출경쟁력 강화 등이 기대된다. 시행주체인 한국에너지공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효율기자재 주요품목의 효율측정방법 개선 및 중장기 효율목표 수립을 실시하고 단계적으로 연구품목을 확대하며 잠재 에너지절감 성과가 큰 산업용 기기를 발굴, 단계적으로 고효율인증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에특)(R&D)’은 △에너지효율향상, 에너지효율혁신기술개발, 수요관리기반기술개발 △수소환원 제철공정 △Net-Zero 수요관리 △RE100전주기공정지원기술개발및실증 등으로 구성됐으며 2022년 2,201억9,400만원에서 2023년 2,371억7,700만원으로 증액편성됐다. 이중 에너지효율혁신기술개발은 산업·건물·수송 등의 수요부문 에너지사용량 절감 및 효율적 사용을 위한 에너지기기와 공정의 고효율화, 성능개선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수요부문 기기, 공정 고도화 및 효율화 기술개발 신규발굴 확대 및 계속과제를 위해 전년대비 315억8,750만원이 증액됐다. 수요관리기반기술개발은 커뮤니티 단위 에너지수요관리 공통기반 강화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에너지네트워크 솔루션‧표준모델 개발, 에너지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및 R&D 인프라 조성을 위해 전년대비 37억5,800만원 증액됐다. 이를 통해 에너지다소비기기와 공정의 효율향상 및 에너지사용 최적화 관리시스템 등 기술개발로 소비부문(산업, 건물, 수송)의 에너지수요관리를 강화, 최종 에너지사용량 절감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수요관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표준화및인증고도화지원(R&D)’은 2022년 30억5,000만원에서 2023년 38억3,100만원으로 증액됐다. △혁신제품 표준화 및 인증지원 12억3,800만원 △융합제품 표준화 및 인증지원 6억5,000만원 △부품표준화 및 인증지원 8억7,300만원 △시스템설비 표준화 및 인증지원 7억원 △국제표준화 및 국제인증대응 2억5,000만원 △기획평가관리비 1억2,000만원 등이 산출됐다. 신재생에너지 고품질 혁신제품, 융복합제품, 부품, 시스템설비 등에 대한 KS표준 제·개정안 개발, 국제표준화, 성능평가시험설비 구축 등을 지원해 초기시장 창출 및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한다. 산업부의 ‘2023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은 국회제출 후 상임위·예결위 심의를 거쳐 본회의 의결을 통해 12월 초에 확정될 예정이다.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회장 성재용 서울과기대 교수)의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학술발표대회는 △수열에너지이용 에너지안보 및 탄소중립 실현(김시헌 안양대 교수) △수열에너지의 국내외 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김영준 한국수자원공사 박사) 등 초청강연에 이어 총 2세션으로 총 27편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이주원 주한네덜란드대사관 선임상무관을 좌장으로 한 네덜란드의 선진 수열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돼 더욱 의미를 더했다. 김시헌 추계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가스 등 에너지가격 급등과 식량 및 원자재 공급망 불안으로 전 세계 많은 국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한국도 모든 분야에서 물가가 상승하고 가스수입가격이 70% 급등하는 등 무역수지 적자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021년 기준으로 에너지의 93%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은 에너지이용에 대한 부담은 대폭 늘어나고 있어 만약 외부로부터 에너지공급이 끊기는 상황인 에너지안보측면을 고려하면 심각한 상황”이라며 “지열·수열에너지학회는 석탄, 가스 등의 화석연료 사용억제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에너지안보 구축 및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인사말을 대신했다. 트렐레마지수 개선, 수열 역할 기대 김시헌 안양대 교수는 ‘수열에너지 이용 에너지안보 및 탄소중립 실현’을 주제로 초청강연을 진행했다. 김 교수는 “세계에너지총회가 매년 세계 각국의 에너지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기위해 에너지안보, 에너지형평성, 에너지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등 3가지 요소를 고려한 에너지트릴레마지수(Energy Trilemma Index)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한국은 전 세계 128개국 중 32위로 OECD국가 중 최하위”라며 “다만 한국 에너지정책 기조는 에너지안보, 에너지형평성, 에너지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등 3가지 요소를 고려해 바뀌고 있으며 모든 정책 실현에 수열에너지, 미활용에너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건축물과 관련 건축물 신축 시,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설계사나 건축주는 건축허가 시, 지열과 태양광과 함께 고가의 연료전지를 활용해 의무비율을 맞추고 건축물이 완공되면 고가의 연료전지를 사용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이 발생시키는 하수, 지하(유출)수, 또는 인근에 하천 등의 물 환경이 좋다면 수열을 이용해 실제 에너지사용량을 충당해야 한다. 하이퍼 그린데이터센터의 필수요소인 데이터 전문 인력과 첨단통신기술, 양질의 전력 등 3가지 모두 최적화된 나라가 한국이기 때문에 많은 지역에서 검토되고 있다. 모든 데이터센터는 필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달성이 의무화돼 있어 RE100 달성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에도 수열에너지는 많은 역할이 기대할 수 있다. 김시헌 교수는 특히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RHO)제도 도입이 법제도 개선의 최종목표라고 강조했다. RHO는 일정 규모 이상의 신축 건축물 또는 집단에너지 등 열공급사업자를 대상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신재생열에너지를 의무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도로 2012년 신재생열에너지 적용 대상 및 의무비율 단계별 확대 초기 계획이 수립됐지만 현재까지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물, 재생E 포함 방향 선정 시급 김영준 한국수자원공사 물에너지연구소 소장은 ‘수열에너지의 국내외 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에 대해 초청강연을 진행했다. 수열에너지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신재생에너지법) 및 동법 시행령에서 정의되고 있다. 2000년대 후반부터 하천수, 하수, 해수 등 모든 미활용열을 재생에너지에 포함시키기 위한 산·학·연의 노력이 있었다. 2014년 해수의 표층수를 범위로 해서 수열에너지가 재생에너지의 하나로 포함됐지만 해수의 표층수는 사용에 제한적이라는 지적과 함께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천수도 재생에너지로 포함돼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2019년 10월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개정으로 하천수까지 범위가 확대됐다. 일본의 경우에는 재생에너지를 분류하는 체계가 비화석에너지원, 재생가능에너지원으로 분류한 이후 재생가능에너지원 중에서 보급, 확대의 필요성이 있으며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에너지원을 신에너지원으로 분류해 지원하고 있다. 수열에너지는 신에너지원으로 분류해 국가적으로 지원, 장려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에도 EU Directive 2009/28/EU에 근거해서 지표면의 표층수(surface water)를 수열에너지로 별도 분류해 재생에너지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표층수인 수열에너지를 지열에너지의 일부로 포함해 관리하고 있다. 김영준 소장은 “해수와 하천수를 제외한 물의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타 재생에너지와의 연계성을 충분히 고려해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라며 “국내 신재생에너지법에서의 물의 열과 관련된 사항을 검토하고 해외 사례를 검토한 후 향후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소장은 특히 “수열에너지의 범위를 넓혀서 해수, 유출수 등을 모두 포함시킬 것인가, IEA 기준을 토대로 재생에너지 포함을 위한 명확한 논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라며 “재생에너지와는 별개의 지원 사업(에너지이용합리화 사업등) 활용도 검토해야 하며 다양한 조건에서의 실험 등을 통한 실측데이터도 축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출지하수, 탄소중립 실현 옥수개발은 ‘유출지하수 이용 냉난방 및 인공함양시스템 제안’에 대해 주제발표했다. 수열에너지의 대부분은 양질에 에너지임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현장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버려지고 있는 유출지하수의 열을 냉난방에 이용하고 다시 자연으로 환원(인공함양)해 지하수 안정화 및 지반침하 싱크홀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해 주목받았다. 서울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지하철망과 지하 시설이 가장 발달했다. 지하철 시설물에 의한 지하유출수 발생량은 지하철 역사를 기준으로 다양한 곳에서 많은 양이 발생하고 있다. 싱크홀이 많이 발생한 송파구에서는 많은 건축물의 지하에서 발생한 유출수를 건물의 냉난방열원으로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유출 지하수량은 지하철, 건축물, 전력구, 통신구 등에서 하루에 약 19만5,649톤이 발생한다. 연간 발생량을 환산하면 7,141만1,885톤에 이르는 막대한 양이다. 여기에 통계에 잡히지 않고 하천이나 하수도로 버려지는 양도 상당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중 66.39%에 달하는 하루 약 12만9,892톤이 열이 아닌 하천 유지용수, 도로 청소, 조경용수, 수경시설 인공함양, 건물 용수로 단순 이용되고 버려지고 있다. 연간 발생하는 유출 지하수의 이론적 부존량을 환산하면 2만9,718Mcal/h이며, 다시 기술적 잠재량 중 난방에 활용이 가능한 부존량을 산출하면 2만2,288Mcal/h로 24평 아파트 6,100가구를 난방할 수 있다. 냉방에 필요한 부존량은 1만3,783RT로 상업시설 27만166㎡의 냉방이 가능하다. 하수처리수의 부존량과는 차이가 있지만 건물의 인근 또는 지하에서 유출되는 생하수와 함께 가장 가까이 있는 유용한 에너지다. 에너지비용 중 에너지 생산에 드는 비용도 중요하지만 이동에 따른 열 손실로 발생하는 비용도 중요하다. 건물 바로 밑에서 나오는 유출지하수를 열손실없이 바로 냉난방에 이용하고 인공함양함으로써 자연으로 되돌릴 수 있는 1석3조의 에너지다. 옥수개발의 관계자는 “유출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의 녹색건축 설계기준과 서울시 녹색건축 설계기준에 신재생에너지의 비율 적용에 대체에너지 적용과 함께 유출지하수 이용을 추가해야 한다”라며 “서울시의 서울특별시 신재생에너지시설의 에너지생산량산정지침에도 역시 유출지하수 이용을 추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보다도 수열에너지의 범위를 제한하지 말고 모든 물의 열을 이용하는 것을 추진해야 한다”라며 “수열에너지의 범위를 온배수와 하천수로 국한하지 않고 모든 물의 열을 이용하는 것은 같은 기술이므로 모든 물에 적용해 수열에너지를 더욱 활성화하면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많은 부분을 해결해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열, 친환경정책 최적 에너지원 이태구 이젠엔지니어링 소장은 하남교산지구의 유리한 환경을 토대로 수열에너지 적용성 및 사업성을 검토해 타당성을 확인한 '공공주택지구 수열에너지 냉난방시스템 적용 검토'한 주제를 발표했다. 광역원수는 한강물을 정수 처리 과정을 통해 상수로 활용되기 위한 수원이며 광역원수 수열에너지 냉·난방시스템은 이 원수를 이용해 건물의 냉난방에 이용하는 것이다. 수열에너지는 기존 냉난방 설비에 비해 우수한 열효율을 보유하고 있어 경제적·환경적 효과 등의 장점이 많은 신재생에너지이다.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이 추진되는 사업대상지에는 광역원수 관망이 관통하고 있어 수열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최상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의무화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등 친환경적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 하남교산 지구를 관통하는 광역원수 관망은 크게 3그룹으로 구성돼 있으며 총 공급유량은 250만톤/일이다. 이를 수열에너지로 환산하면 약 14만RT이다. 이중 확보 가능한 수열에너지는 9만4,000RT이다. 하남 교산 공공주택지구의 최대로 가능한 수열 적용 범위 및 수열네트워크를 구성해 수열에너지 적용 비용을 산정해 지역열원과 비교한 결과 1차 에너지사용량은 약 48% 수준의 우수한 열효율을 보유하고 있었다. 운전비는 약 23% 수준으로 운전비 절감량이 매우 높아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정책에 대한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효율 설비 및 에너지자립률 20% 이상이 요구된다. 수열원은 지역열원에 비해 에너지사용량이 48% 수준으로 에너지자립률에 매우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친환경정책 반영 시 총 공사비는 지역열원보다 훨씬 저렴해진다. 이태구 소장은 “수열에너지는 고효율열원이면서 친환경정책에 최적화된 신재생에너지로 판단된다”라며 “수열에너지는 온실가스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어 탄소배출권 정책에도 대응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라고 강조했다. 수열원HP, 성능평가 기술기준 개발 서정식 냉동공조인증센터 본부장은 ‘수열원 열펌프 성능평가 기술기준 동향 소개’ 주제발표를 통해 수열원 히트펌프의 성능평가에 관한 기술기준에 대해서 소개했다. 수열원은 지열원, 해수열원과 같이 간접 열원방식으로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에너지를 대상으로 수열원에너지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히트펌프에 대한 기술기준을 중심으로 성능지표 및 표준, 시험조건, 방법론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히트펌프 성능지표 및 표준 분석은 KSB8292, KS B 6270, ISO 13256-2 등 기존 시험방법론을 활용했다. 인증시험의 시간 단축을 위해 제품시험의 중복성 등 고려해 진행했으며 해외수출 등을 고려한 성능지표의 범용성도 검토한 것이 눈에 띈다. 히트펌프에 대한 표준은 성능 확인 형태의 단순한 성능지표에서 계절 또는 기간성능에 대한 지표로 전환 중인 실정이다. 서정식 본부장은 “수열원 히트펌프의 기기적인 성능평가는 기존 시험표준 활용 및 시험조건을 반영했다”라며 “저온영역의 시험조건 구현 및 조건 반영에 대한 검토(필요성, 효과, 제도적인 측면 등), 국제표준 및 부합성을 고려한 활용성(시험의 중복성 등), ISO 13256-2, KS B 6720 표준활용, 저온조건을 반영해 수열원히트펌프의 성능평가 기술기준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열E 클러스터, 강원도 신성장동력 함광준 강원도 데이터산업과 수자원산업총괄팀장은 ‘수열에너지 활용 친환경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강원도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소양강댐 냉수를 수열에너지로 냉난방에 사용하는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춘천시 동면 지내리 907번지 일원 25만평의 면적에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친환경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데이터산업 융합밸리, 스마트 첨단농업단지, 물-에너지 특화단지, 스마트 생태주거단지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소양강댐 평수위는 해발 180m로 심층수의 차가운 냉수는 연간 7℃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차가운 냉수 24만톤/일(1만6,500RT)을 데이터센터의 냉방시스템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 최대 규모인 롯데월드타워 사용량의 5배가 넘는 규모로 수열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방에 적용할 경우 약 83%의 냉방전력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함광준 팀장은 “하천수를 활용한 수열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에 포함시키고자 노력했으며 2019년 10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을 개정해 하천수를 수열에너지 범위에 포함시켰다”라며 “2021년 3월에는 국토부 투자선도지구로 지정, 승인돼 사업이 본 궤도에 올라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 중에 있으며 2022년 설계 및 행정절차를 완료한 후 2023년 상반기에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내에는 하이퍼스케일 친환경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6~8기가 집적될 예정이며 데이터센터와 연관된 협력기업 및 데이터·IT기업 300개 이상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7,000명 이상의 고품질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집적단지의 전체 전력 사용량은 연간 약 784GWh/yr로 냉방에너지로 수열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전력 절감량은 215GWh/yr다. 탄소배출량은 9만9,000톤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소나무 30년생 1,500만그루를 식재하는 효과와 같다. 함 팀장은 “이번 사업은 지역의 고유자원(소양강댐 냉수)을 활용한 새로운 지역발전의 신성장 모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산업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 수열원 지리적 효용성 담보 조항문 한국산업단지공단 전문위원은 ‘서울시 수열에너지 잠재량과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발표했다. 서울시는 난방에 사용되는 열의 약 90%를 주택에서 소비하며 냉방에 사용되는 열의 약 80~98%는 업무용에서 소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열에너지 적용 시 주택의 난방수요, 상업건물의 냉난방 수요에 초점을 둬야 한다. 수열에너지는 열 이용 후 배출되는 유량과 오염물질 변동은 거의 없으나 배출수 수온에 의한 수질인자 변동에 따른 환경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하천수나 수돗물은 수온 변동을 최소화하도록 영향 범위 내에서 적정 유량을 사용해야 하며 수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시 이용하고자 하는 수열원의 수온, 유량, 수열원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수열에너지시스템은 수요처와 수열원이 지리적으로 가까워야 효용성이 담보되며 거리가 멀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기존 설비의 열공급 온도와 히트펌프 열공급 온도가 서로 달라 설비간 융합이 불가한 경우도 나타나며 히트펌프 전용 냉난방 공간도 확보해야 한다. 히트펌프는 보일러로 재순환되는 관로에 열교환을 통해 기존 설비의 보조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설비로부터 냉난방이 공급되지 않는 지하공간이나 미화원 생활공간 등 냉난방 사각지대의 냉난방에너지로 활용할 수있다. 국외에서는 히트펌프로 생산한 열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인정하고 있으며 히트펌프 보급도 활발하다. 조항문 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재생에너지로 인정받는 수열원은 표층수와 해수에 한정되지만 히트펌프로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은 모든 수열원이 동일하다”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수열에너지가 신재생에너지로서 보조금 등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수열원의 인정범위를 확대해 하수, 유출지하수, 수돗물 등은 물론 히트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냉방용 호수 심층수도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원 인정범위에 대한 법적 개선이 요구되나 서울시에서 수열에너지 확대를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은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항목의 심의기준’ 온실가스부문에 다양한 수열원을 포함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현행 심의기준은 건물 신축 시 신재생에너지를 20% 설치해야 하며 신재생에너지로 최소 14%를 만족하면 상수열, 하수열, 집단에너지 등으로 나머지 비율 6% 대체가 가능하다. 조 전문위원은 “수열에너지원을 상·하수열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열원으로 하는 히트펌프를 사용해 얻어지는 에너지’로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면 개별 건물의 수열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9월30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에너지위기 대응과 저소비구조로 전환을 위한 에너지절약 및 효율화 대책’을 상정, 논의했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에너지위기 상황에도 심각성에 비해 국민의 위기의식은 미약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지만 에너지다소비 산업구조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에너지효율성이 주요국대비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산업과 가정 등 모든 부문의 에너지소비는 증가추세에 있다. 2022년 상반기 기준 산업용 3.1%, 주택용 7.6%, 일반용 1.5% 등 전년대비 전력소비가 증가했다. 이날 회의의 주요안건은 △효율혁신 투자강화 △전 국민 에너지절약문화 정착 △요금의 가격기능 단계적 정상화 및 에너지복지 확대 등이며 이를 통해 위기에 흔들림없는 튼튼한 에너지안보를 확립할 계획이다. E소비 효율제고 적극 촉진효율혁신 투자강화는 △민간 에너지절약 인센티브 확대 △효율혁신 기반 확충 △산업효율구조 개선기술 확보 등으로 달성할 방침이다. 민간의 에너지효율혁신 투자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효율혁신을 위한 기반 확충, 효율향상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기업이 2023년 1월1일~12월31일까지 취득한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자산에 대해 가속상각을 적용한다. 기준내용연수의 ±75%(중소·중견기업), ±50% 이내(대기업)를 적용할 방침이다. 효율향상 핵심기술을 신성장·원천기술 및 사업화시설에 검토하는 것을 검토한다. 검토대상은 산업용 고효율 유체기계, 고효율 전동기 소재·설계·공정기술, 보존전압강하기술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효율혁신을 위한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에너지진단 실효성 제고 및 사각지대 해소를 추진한다. 에너지진단 개선안에 대한 이행의무를 부여하고 미이행 시 과태료 부과 등을 통해 에너지진단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한다. 에너지 의무진단 대상이 아닌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에너지진단 비용 보조를 검토한다. 또한 중소사업장의 에너지진단 개선안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에너지절약시설 설치 융자사업의 우선 지원을 추진한다. 산업효율구조의 획기적 개선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1,000RT급 대용량 히트펌프 산업용히트펌프(2023~2027년, 약 230억원) △보일러·공업로 등 전기화를 위한 소재·설계·제어기술(2023~2027년, 약 195억원) △200kW 이하 중형급 산업용 고효율 전동기기술(2023~2026년, 약 192억원) 등이다. 요금 가격기능 정상화 추진요금의 가격기능 정상화를 위해 △연료비 증가분 일부 반영(전기) △수급관리 필요수준 조정(가스) 등이 추진된다. 전기요금에 대해 연료비 증가분을 반영하되 4분기는 물가상황과 서민생활을 고려해 적정수준으로 조정하고 특히 300kW 대용량 사용자는 부담능력과 소비효율화 효과를 감안해 추가조정한다. 또한 물가·민생여건을 감안하되 내년부터는 원가요인을 반영해 요금의 단계적 정상화를 추진할 방침이며 볼요불급한 특례·할인제도 정비로 요금제를 합리화한다. 이번 요금인상으로 인한 에너지 취약계층의 요금부담 증가가 완화되도록 복지할인을 확대하고 뿌리기업 등에는 에너지효율화를 지원한다. 10월 민수용 가스요금은 물가영향을 고려해 안정적 천연가스 수급을 위해 시급하게 반영이 필요한 수준만큼 소폭 인상한다. 2023년부터는 인상요인을 단계적으로 반영하는 한편 역대 최대수준인 미수금을 정상단가에 반영해 점진적으로 회수한다. 특히 향후 요금인상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LPG혼소·소요감축프로그램 등 가스 수요관리를 지속 추진한다. 전 국민 에너지절약 동참 유도전 국민 에너지절약문화 정착은 △공공부문의 강도 높은 에너지절약 △민간부문 자발적 절약 확산 △국민참여형 홍보·교육 강화 등으로 추진된다. 올해 겨울 에너지사용량 10% 절감을 목표로 대대적인 절약운동을 전개해 에너지소비관련 국민의식 변화를 통한 절약문화를 정착한다. 공공부문의 에너지절약을 선도하기 위해 겨울철 에너지절감 5대 실천강령을 시행한다. 이에 따라 난방온도를 17℃로 제한하고 전력피크 시간대 난방기를 순차운휴해야 된다. 온풍기, 전기히터 등 개인 난방기 사용을 금지하며 기념탑, 분수대, 교량 등 공공기관에 설치된 경관조명을 소등하고 업무시간의 1/3 이상, 비업무시간과 전력피크 시간대에는 1/2 이상 실내조명을 소등해야 한다. 에너지공기업의 효율향상 지원을 겨울철에 집중한다. 한전의 경우 공공기관 건축물 고효율기기 교체, 마트 식품냉장고 문달기 등을 지원하며 가스공사는 산업건물용 고효율 가스보일러 교체, 취약계층 열효율 개선사업 등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난방공사는 노후·고장설비 교체, 노후 공동주택 효율개선 등에 지원을 집중한다. 범국민 ‘에너지 다이어트 서포터즈’를 중심으로 정부·지자체·경제단체·산업계·에너지공기업 등이 참여해 범국민 에너지절약 캠페인을 전개한다. 에너지다소비기업에 대해서는 자발적 효율혁신 협약(KEEP 30)을 체결하고 목표이행실적을 평가해 우수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에너지다소비건물 효율혁신 프로젝트를 전국 대도시로 확대한다. 지자체와 협업해 쇼핑몰 등 대형건물의 에너지소비실태를 점검하고 효율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오는 11월 부산과 ‘에너지효율혁신 협력 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국민참여형 홍보·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SNS 등 뉴미디어를 통한 홍보에 집중하고 전기·가스요금 청구서 등 고지서를 활용해 전국 2,400만세대에 절약 메시지를 전파한다. 이창양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현재 전 세계는 심각한 에너지위기 상황에 직면해 주요 제조 강국조차 큰 폭의 무역적자와 함께 마이너스 성장을 겪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에너지요금 대폭 인상, 에너지소비 절약과 재정투입 등 다각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위기는 우리 경제에도 큰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높은 만큼 막대한 무역적자가 발생하고 있고 지난 정부의 탈원전정책으로 연료비 리스크에 취약해진 가운데 요금인상 억제와 글로벌 에너지가격 급등으로 에너지공기업의 재무상황이 극도로 악화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위기가 장기화될 우려가 있어 경제·산업전반을 저소비·고효율구조로 전환해야 하며 수요효율화를 유도하고 공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에 따른 안정적 공급기반 훼손을 막기 위해서는 요금의 가격기능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라며 “에너지공기업의 고강도 비용절감과 함께 연료비 증가 일부를 요금에 반영하고 사용자는 소비효율화 효과 등을 고려해 추가 조정하되 에너지 취약계층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에너지복지를 적극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적인 이상고온과 기상이변으로 인한 탄소중립 달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열에너지에 대한 역할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박상진)은 9월21일 국회박물관에서 ‘탄소중립 달성의 열쇠, 열에너지’를 주제로 ‘2022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을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후원으로 기계연과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이 공동주최했으며 박상진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환영사 △축사 △기조연설(손정락 산업통상자원부 R&D전략기획단 MD) △세션 1: 히트펌프기술 글로벌 동향(스테판 렌즈 IEA HPT TCPs 의장, 오세기 LG전자 부사장) △세션 2: 열에너지 글로벌 로드맵(브라이언 매시슨 EU 열에너지 로드맵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윤석호 기계연구원 열에너지솔루션연구실 실장) △패널토의 등 순으로 진행됐다. 박상진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세계적인 화두인 탄소중립을 다른 각도에서 짚어보고자 ‘탄소중립 달성의 열쇠, 열에너지’라는 주제로 글로벌 기계기술포럼을 개최했으며 최근 가을 태풍이 많은 피해를 야기하는 등 기후위기가 점점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모든 나라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탄소중립 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저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 에너지사용량 중 절반이 산업현장, 생활에서 열에너지로 소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1/3의 에너지가 열에너지형태로 소비되고 있다”라며 “탄소중립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열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기계연은 열에너지분야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해 우리나라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환영사를 통해 “기후변화 또는 바이러스, 에너지전쟁, 원자재공급 등 복합적인 위기상황들이 먼 미래의 과제가 아니라 우리가 당면한 현안들이며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인류 전체에 재앙으로 번질 수 있다”라며 “현재까지의 방식을 고수하기 보다 시대를 변혁할 정도의 해법을 마련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의 주제인 ‘탄소중립 달성의 열쇠, 열에너지’라는 주제는 인류에게 매우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고 다양한 성취가 창출되길 기대하고 있다”라며 “다양한 연구자들이 그린 비전과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탄소중립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법적근거가 탄소중립 기본법이 있다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지원하고 확산할 수 있는 법적근거는 기후변화 대응기술 촉진법”이라며 “우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핵심적인 요소기술들이 있으며 어느 하나만 발전되기보다 전반적으로 요소기술들이 발전하고 진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서로가 힘을 모으고 전 세계 연구자들이 힘을 모았을 때 근본적 전환을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번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이 좋은 논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오늘 포럼에서 논의된 탄소중립과 관련된 비전이 우리 국민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에게 영향을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우리 기술 중에서도 기계분야는 우리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오늘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의 주제는 열로 우리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계를 활용해왔으나 문제점이 지속 발견되고 있다”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린에너지를 확산하고 있으며 함께 살아가야 할 지구를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에 대해 기계분야의 역할이 굉장히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계공학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진다면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오늘 토의된 내용이 우리 미래를 열어가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은 축사를 통해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은 그동안 4차 산업혁명, 국방, 미세먼지, 로봇, 수소에 이르기까지 급변하고 있는 기계기술분야, 연관분야의 시대적 아젠다를 선제적으로 다뤄왔다”라며 “탄소중립을 제대로 이루기 위해서는 열에너지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고 완성도를 높여가는 것이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지금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우리 다음 세대에게 건강한 지구를 물려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탄소중립으로 오늘 포럼의 주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덧붙였다. 열E분야 탄소중립 달성 핵심 ‘기술’기조연설에는 손정락 산업부 R&D전략기획단 MD는 ‘열에너지 탄소중립 기술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우리나라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약 93%로 대부분 석탄, 석유, LNG 등 화석연료다. 또한 최종 에너지소비구조를 살펴보면 열에너지는 12%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는 지역난방에 국한된 수치다. 가열목적으로 활용되는 에너지를 모두 더하면 최종 에너지소비 중 약 27%가 열에너지로 추정된다. 산업부는 최종 에너지소비의 약 27%를 차지하는 열에너지의 탈탄소화 기술개발을 통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400℃급 고온 히트펌프, 저온 신재생열에너지 활용, 섹터커플링 등의 기술확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손정락 MD는 “온실가스 감축의 관건은 기술로 2030년까지는 현재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에는 새로운 혁신기술이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며 “열에너지 탈탄소화에 따라 총 1억8,430만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분야 적용 히트펌프기술 개발 필요스테판 렌즈(Stephan Renz) IEA 히트펌프 기술협력프로그램 의장은 ‘탄소중립을 위한 히트펌프 기술개발 국제협력 현황’을 주제로 글로벌 히트펌프 동향과 연구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IEA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건물부문 에너지믹스 중 전력은 2010년대비 2025년에 2배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대부분의 에너지수요가 전기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건물 냉난방을 히트펌프 등 전기화 기기가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건물부문 탄소배출 저감은 히트펌프에 사용되는 전력 또한 CO₂ 배출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건물부문뿐만 아니라 산업부문에서도 히트펌프는 탄소중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현재부터 2025년까지 매달 500MW에 달하는 히트펌프가 설치돼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난방, 급탕 등과 함께 냉방의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30~40년 후에는 냉방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력소비량이 2배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히트펌프의 냉방효율 개선이 시급해졌다. 스테판 렌즈 의장은 “IEA의 히트펌프 기술협력프로그램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히트펌프의 역할에 주목해 세계 각국의 기술자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는 섹터커플링, 에너지효율, 산업용, 냉각제습 등 다양한 히트펌프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적용특성 반영 히트펌프 다양화오세기 LG전자 부사장은 ‘냉난방공조산업에서의 히트펌프기술과 온실가스 저감’을 주제로 히트펌프기술의 진보와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소개했다. 세계 주요국들은 2050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주거용 설비로 히트펌프를 주목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파격적인 보조금 정책으로 히트펌프를 확산하고 있으며 유럽의 난방시장에서도 히트펌프 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 많은 국가들은 2025년부터 가스·기름보일러의 신규설치를 금지할 방침으로 프랑스는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다. 주요국 주거부문 히트펌프 확산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밀집주거형태가 특징인 우리나라에서는 히트펌프 적용이 한계가 있다. 히트펌프는 기존 보일러대비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 설비 설치면적이 크기 때문이다. 오세기 부사장은 “히트펌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압력비 히트펌프기술을 확보해야 하며 계절적 특성을 고려해 한랭지에서도 난방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범위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산업부문에서도 히트펌프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열원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히트펌프가 개발돼야 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전기화통한 탄소중립 중요성 강조브라이언 메시슨(Brian Vad Mathiesen) 유럽 열에너지 로드맵 프로젝트 코디네이터는 ‘스마트 에너지시스템-100% 재생에너지 및 탈탄소화를 위한 다각적 분석’ 발표를 통해 에너지전환을 위한 EU와 덴마크사례 기반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미래 에너지시스템은 에너지효율향상과 재생에너지 이용이 핵심이다. 재생에너지로의 다양한 전환방식이 있으며 일부는 경제성도 보장할 수 있다. 스마트 에너지시스템은 유연하고 경제적인 에너지저장옵션을 사용해 각 구역과 인프라 전반에 걸친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요측면의 에너지효율은 유연한 수요 및 저장시스템과 결합되고 재생에너지와의 통합을 통해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전력망과 수요 외 타분야에서도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냉난방, 산업 및 수송부문 에너지전환에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브라이언 메시슨 코디네이터는 “건물부문 에너지구조는 소비와 공급간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2050년까지 주상복합건물에 대한 열수요를 2020년대비 40% 감축해야 한다”라며 “산업부문에서는 수소사용을 촉진하고 대규모 히트펌프 및 직접 전기사용을 통한 산업의 전기화가 이뤄져야 하며 2030년까지 산업 내 재생에너지저장 점유율을 최소 50%로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열E소비 유연화…열네트워크 주목윤석호 기계연 열에너지솔루션연구실 실장은 ‘한국기계연구원 열에너지 탄소중립 기술개발 현황 및 전략’을 주제로 기계연에서 진행해온 열에너지설비 효율향상, 열생산의 전기화 및 미활용 열에너지 활용기술을 소개했다.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순배출량을 제로(0)를 달성해야 하며 이에 따라 화석연료 사용량을 혁신적으로 절감해야 한다. 국내 최종 에너지소비 중 약 27%가 열에너지로 추정되며 이는 열에너지를 생산, 수송, 저장, 소비하는 전 과정에서 소비되는 화석연료를 줄여야만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기적으로는 열에너지설비의 효율을 향상시켜 소비를 줄이는 방법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맞춰 열에너지 생산설비를 전기화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생산, 소비와 함께 폐열과 미활용 열에너지의 이용률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 윤석호 실장은 “열에너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열네트워크가 있으며 열수요처에 열을 공급하고 폐열, 신재생열에너지 등이 네트워크와 연계하기 위해서는 히트펌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전기를 통해 열을 생산하는 방법도 있지만 열 그 자체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며 태양열, 지열, 수열 등 자연상태의 열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도 적절히 개발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열E부문 탄소중립방안 다양화 필요모든 발표가 종료된 후 이어진 패널토론에는 김민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를 비롯해 △손정락 산업부 MD △오세기 LG전자 부사장 △윤석호 기계연 실장 △스테판 렌즈 의장 등이 참여했다. 김민수 교수는 “석탄화력발전, 원자력발전 등은 발생열을 활용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처럼 우리는 에너지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열을 전기로 전기를 열로 전환해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를 열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히트펌프가 강조되고 있다”라며 “또한 기존 연소를 통해 공급하는 열을 대체하기 위해 고온 히트펌프 등이 개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노력을 통해 열에너지 공급에 화석연료 활용이 점차 줄어들 전망이며 앞으로는 열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소비량 자체를 감축하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정락 MD는 “현재 다양한 탄소중립 이슈가 등장하고 있으며 에너지의 탈탄소화는 효율향상, 전기화, 수소화 등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산업부는 원전을 제외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사항이 에너지효율 향상이다”고 밝혔다. 이어 “효율향상과 함께 전기화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은 히트펌프 등 열에너지기술”이라고 덧붙였다. 오세기 부사장은 “국가별 다양한 주거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구밀도가 높아 고밀도 주거환경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히트펌프를 적용하기 불리한 환경”이라며 “전제조건을 우리나라 주거문화를 두고 주요국들에서 히트펌프 확산을 전개하는 방식을 면밀히 분석해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히트펌프 보급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키갈리개정의정서의 국내 시행을 위해 앞으로 특정물질 규제대상에 수소불화탄소(HFCs)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HFCs를 국내 법률상 감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이학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오존층 보호를 위한 특정물질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원안대로 통과됐다. 이번 개정안은 몬트리올의정서의 개정서인 키갈리의정서의 국내 시행을 위한 관련 입법으로 오존층파괴물질인 ‘특정물질’의 정의를 지구온난화 물질인 수소불화탄소(HFCs)까지 확대해 국제협약에 따른 규제물질 감축을 이행하기위한 것이다. 규제대상에 포함된 수소불화탄소(HFCs)는 불소 및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유기화합물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유기불소화합물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합물은 HFC-134a(CF3CFH2)이며 주로 자동차에어컨과 냉동기의 냉매로 사용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탄소보다 수백배에서 수천배로 크며 전 세계적인 규제가 시급한 상황이다. 주요내용을 보면 우선 법률 명칭이 변경됐다. 오존층파괴물질 외에 지구온난화물질인 수소불화탄소(HFCs)를 특정물질에 포함하고 특정물질의 제조 및 수출입·파괴·판매 등을 총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오존층 보호를 위한 특정물질의 제조규제 등에 관한 법률’을 ‘오존층 보호 등을 위한 특정물질의 관리에 관한 법률’로 변경됐다. 특정물질 정의(안 제2조제1호 및 제5호)도 특정물질을 제1종과 제2종으로 구분해 기존 오존층파괴물질은 제1종으로, 수소불화탄소(HFCs)를 제2종으로 구분했다. 제2종 특정물질의 생산량·소비량 산정치 산식에 사용되는 용어에지구온난화지수(GWP)를 추가했다. 키갈리개정서에 따라 특정물질 제조 시 부산물로 생성돼 부산물로 배출되는 제2종 특정물질 파괴 노력(안 제12조제2항)한다는 항목도 신설했다. 부담금 산정기준의 세부 사항(안 제24조의4)은 제2종 특정물질에 대한 별도 계산식 신설 필요성을 고려해 기존 부담금 산정기준의 세부적인 사항에 해당하는 계산식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했다. 부담금의 징수방법(안 제24조의5)은 납부기한 다음 날에 부담금을 납부할 경우에 대한 1일분의 가산금을 산출할 수 없는 현행 규정을 개선하고 체납된 부담금의 가산율 한도를 ‘부담금관리기본법’에 맞게 체납된 부담금의 100분의 3으로 인하, 조정했다. 부담금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특정물질의 종류별 킬로그램(kg)당 부담금에 해당 특정물질을 제조·판매하거나 수입하는 수량을 곱한 금액으로 정했다. 부담금의 계산식은 각 특정물질이 갖는 오존파괴지수(ODP)와 지구온난화지수(GWP)에 △특정물질과 대체물질의 수급상황 △특정물질과 대체물질의 가격상황 △그밖에 대체물질과 그 이용기술의 개발 상황 등을 고려해 대통령령으로 정하기로 했다. 과태료 상한액(안 제32조)은 과태료금액 지침(2019년 2월, 법제처)에 따른 위반행위 유형별 기준금액을 고려해 과태료 상한액을 현실화했다. 과태료 상한액은 △제조·수입업자 등에 대한 검사·수거의 거부·방해·기피 시 500만원 이하 △제조업자 지위 승계 미신고 또는 거짓신고 시 500만원 이하 △제조업 허가의 경미한 사항 변경신고 300만원 이하 △제조업의 휴업·재개업·폐업신고 300만원 이하 △특정물질 제조수량 신고(1kg 미만) 300만원 이하 등으로 규정됐다. 한편 미국 환경보호청(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2020년 미국 혁신 및 제조법(American Innovation and Manufacturing Act of 2020, AIM)’의 일환으로 수소불화탄소(HFCs)의 생산과 소비를 줄이기 위한 신규 규칙을 2020년 12월27일 제정한 바 있다. 이번 규칙은 미국 환경보호청이 허용한 할당 및 거래 프로그램을 사용해 수소불화탄소(HFCs)와 같은 오염 물질의 생산과 소비를 대폭 줄이도록 지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15년 동안 미국에서 수소불화탄소의 생산과 수입을 85%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M 규칙에 규제물질로 등재된 HFCs는 18종으로 지구온난화 영향이 탄소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삼성전자가 초저전력 반도체·제품 개발 등 혁신기술을 통해 기후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신 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고 경영의 패러다임을 ‘친환경경영’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부터 스마트폰, TV, 가전까지 전자산업의 전 영역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25.8TWh, 2021년)을 사용하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제조기업이다. 전력수요가 큰 만큼 재생에너지수급이 쉽지 않으며 국내 재생에너지공급 여건도 불리한 상황이지만 인류의 당면과제인 환경위기 해결에 이바지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향한 ‘도전’에 나선다. 삼성전자의 친환경경영 패러다임 전환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통한 글로벌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요소다. 삼성전자는 공정가스 저감, 폐전자제품 수거 및 재활용, 수자원 보존, 오염물질 최소화 등 환경경영 과제에 2030년까지 총 7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이는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제외한 수치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후위기 극복과 순환경제 구축은 기업, 정부, 시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우리 시대 최대의 도전”이라며 “삼성전자는 혁신기술과 제품을 통해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가속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계 최대 ICT 제조사 탄소중립 도전 삼성전자는 2050년 직·간접(Scope1·2) 탄소 순배출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Scope1는 제품생산과정과 사업장 연료사용으로 발생하는 탄소를 의미하며 Scope2는 사업장 사용 전력·스팀 등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뜻한다. 2030년 DX부문부터 탄소중립을 우선 달성하고 DS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을 기본 목표로 최대한 조기 달성을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2021년 기준 1,700여만톤의 탄소를 배출했다. 삼성전자가 탄소중립을 달성하면 그만큼의 탄소 배출을 줄인다는 의미다. 이는 소나무 20억그루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30년생 1그루 8.6kg/년), 자동차 800만대 운행 중단 효과(대당 2.1톤/년)와 맞먹는다. RE100 이니셔티브 가입 삼성전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직접 배출(Scope1)을 줄이기 위해 혁신기술을 적용한 탄소배출 저감시설에 집중 투자한다. 현재 삼성전자가 직접 배출하는 탄소는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가스와 LNG 등 연료 사용에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공정가스 처리효율을 대폭 개선할 신기술을 개발하고 처리시설을 라인에 확충할 계획이다. LNG보일러 사용을 줄이기 위해 폐열 활용을 확대하고 전기열원 도입 등도 검토한다. 전력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간접배출(Scope2)을 줄이기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RE100에 가입했으며 2050년까지 사용 전력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키로 했다. 재생에너지 전환 방식으로는 재생에너지인증서(REC) 구매, 녹색요금제(Green Pricing), 재생에너지공급계약(PPA), 재생에너지 직접 발전(Direct Generation) 등이 있다. 삼성전자는 우선 5년 이내 모든 해외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추진한다. 서남아와 베트남은 2022년, 중남미 2025년, 동남아·CIS·아프리카는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완료한다. 이미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한 미국, 중국, 유럽의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직접 체결하는 재생에너지공급계약(PPA)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DX부문은 국내외 모두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라인을 계속 증설하고 있어 전력사용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한 핵심 반도체사업장이 자리 잡은 한국은 재생에너지공급 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크다. 이같은 어려움과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탄소 감축이라는 전 지구적인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삼성전자는 단순히 에너지구매자로서의 기업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동종 업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초절전 제품·자원재활용 삼성전자는 혁신적인 초저전력기술 개발을 통해 제품 사용단계에서 전력사용을 줄이고 원료부터 폐기까지 제품 전 생애에 걸쳐 자원순환을 극대화해 지구환경을 살리는 데 이바지할 계획이다. 특히 제품 사용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제품의 에너지효율 제고에 기술적 역량을 집중키로 했다. 삼성전자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탄소배출 저감에 동참하는 활동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는 초저전력기술 확보를 통해 2025년 데이터센터와 모바일기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의 전력소비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반도체의 공정 미세화와 저전력 설계기술 발전은 각종 IT제품과 데이터센터 등의 사용전력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적은 원자재로도 동일 성능의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제품측면에서는 스마트폰,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PC, 모니터 등 7대 전자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소비량을 2019년 동일 성능 모델대비 평균 30% 개선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고효율 부품(압축기·열교환기·반도체)을 적용하고 AI 절약모드 도입 등 제품의 작동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술을 개발해 이런 목표를 달성할 방침이다. 또한 2027년까지 모든 업무용 차량(1,500여대)을 100%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한다. 향후 기타 간접배출(Scope3) 중장기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공급망, 자원순환, 물류 등에서 다양한 감축 과제를 지속 발굴할 예정이며 협력사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이행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삼성EHS전략연구소가 준비한 탄소 감축성과 인증체제에 참여해 성과를 정확히 측정하며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탄소감축인증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인 점검을 받기로 했다. 제품 전 생애주기 자원순환 극대화 삼성전자는 원료부터 폐기·재활용까지 전자제품의 모든 주기에 걸쳐 자원순환성을 높이는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재활용소재로 전자제품을 만들고 다 쓴 제품을 수거해 자원을 추출한 뒤 다시 이를 제품의 재료로 사용하는 ‘자원순환 체제’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삼성전자는 자원순환 극대화를 위해 소재 재활용기술과 제품 적용을 연구하는 조직인 ‘순환경제연구소’를 설립했다. 이 연구소는 재활용 소재 개발, 폐기물 자원 추출 연구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제품의 모든 소재를 재활용 소재로 대체하는 것을 추진하는 조직이다. 삼성전자는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 레진 적용을 대폭 확대한다.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부품의 50%, 205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 레진 적용을 추진한다. 갤럭시 Z 폴드4에 적용된 폐어망 등 해양 폐기물을 재활용한 플라스틱의 적용 제품도 확대해 나간다. 폐배터리의 경우 2030년까지 삼성전자가 수거한 모든 폐배터리에서 광물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환경을 위협하는 폐전자제품(e-Wast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제품 수거체계를 현재 50여개국에서 2030년 삼성전자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나라인 180여개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렇게 해서 2009년 이후 2030년까지 누적으로 업계 최대인 1,000만톤, 2050년 누적 2,500만톤의 폐전자제품을 수거할 계획이다. 중고 스마트폰을 회수하고 이를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는 업사이클링 프로그램도 적극 추진한다. 수자원 재활용 최대화…물소비 최소화 삼성전자는 사업장의 자원순환성 강화를 위해 수자원 순환 활용 극대화에 나선다. 특히 반도체 국내 사업장에서는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추진한다. 반도체 라인 증설로 반도체 사업장의 하루 취수 필요량은 2030년 현재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용수 재이용을 최대한 늘려 이를 2021년 수준으로 동결키로 했다. DX부문도 수처리시설 고도화로 용수 재이용을 확대하는 한편 2030년까지 글로벌 수자원 발굴 프로젝트와 수질 개선, 하천 복원사업 등을 통해 물을 쓴 만큼 100% 사회에 다시 돌려줄 예정이다. 삼성전자 DS부문은 배출하는 대기와 수질의 오염물질을 최소화한다. 반도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기 및 수질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신기술을 적용해 2040년부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자연상태로 처리해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또한 새로운 처리기술 개발과 적용을 통해 방류수는 하천 상류 수준의 깨끗한 물로, 배출 대기는 국가 목표 수준의 깨끗한 공기로 처리해 배출할 계획이다. 글로벌 환경안전 인증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발급하는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인증 획득(자원순환율 99.5% 이상)을 2025년 모든 글로벌 사업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초격차 기술력과 역량을 결집해 글로벌 환경 난제를 해결하는 데 공헌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탄소 포집·활용 기술, 글로벌 환경의 골칫거리가 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저감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한다. 탄소포집·활용기술 2030년 반도체 사업장 적용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저장하고 이를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개발·상용화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종합기술원 내 탄소포집연구소를 반도체업계 최초로 설립했다. 삼성전자는 탄소포집기술을 2030년 이후 반도체 제조시설에 적용한 뒤 전사와 협력사까지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탄소포집·활용기술 개발이 결실을 보게 된다면 반도체업계 공통의 탄소배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고 반도체산업의 친환경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대기를 오염시키는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2030년부터 지역사회에 이를 활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19년 1월 미세먼지연구소를 설립했으며 미세먼지 감지·분석·제거를 위한 다양한 신개념 필터와 공기정화시스템 원천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세척해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미세입자와 가스까지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세라믹 촉매 필터를 개발하고 이를 협력사·버스터미널·어린이집 등 지역사회에 적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유망 친환경 기술을 발굴하고 해당분야 스타트업을 육성, 지원하기 위한 투자도 진행한다. 기술혁신 커뮤니티와 함께 혁신기술 상용화 및 보급을 지원함으로써 글로벌 환경 난제 해결에 협력할 예정이다. 사내외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에서도 친환경 관련 과제를 적극 발굴해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탄소중립 목표를 포함한 환경전략의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해 구체적인 과제별 실행 로드맵을 수립했으며 대표이사가 주관하는 지속가능경영협의회와 사외이사로 이뤄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통해 이행 경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올해 전 지구는 기후위기를 직접 체험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러시아간 전쟁은 에너지가격 급상승을 가져와 에너지전환의 가속화를 앞당기고 있다. 기후위기를 늦출 수 있는 방안으로 전지구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수 있는 히트펌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가 9월1일 부산 BEXCO에서 개최한 ‘2022년도 정기세미나’에 150여명이 참석하며 히트펌프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민수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공동의장(서울대 교수)은 개회사를 통해 “인류가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데 공감을 하면서 전 세계가 탄소중립으로 하겠다고 나서고 있다”라며 “우리나라는 히트펌프에 대한 인식이 낮지만 유럽은 태양광, 풍력과 함께 신재생에너지이용 기기로서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기기로 히트펌프를 인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기열원이든 태양열을 이용하든,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든 탄소중립으로 가는 방향에서 히트펌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며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글로벌 정보를 공유하고 자 이번 세미나를 개최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임춘택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은 축사를 통해 “탄소중립 에너지기술 15대 분야 중 하나로 히트펌프를 인식했었다”라며 “재생에너지로서 에너지전환의 주력이 전력분야에 치중돼 있지만 열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분야 중 히트펌프가 산업, 건물, 수송 등 3개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며 “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디보다도 도시에 특히 아파트 보급률이 높기 때문에 개별가구를 중심으로 히트펌프시장 형성이나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아파트단지나 산업단지 등 대규모 단지를 대상으로 ‘규모의 경제’를 키워나간다면 히트펌프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는 히트펌프 인식 개선, 제도 개선 등 히트펌프 발전을 위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유럽, 히트펌프 전환 가속화 첫 발표에 나선 이길봉 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글로벌 히트펌프 기술-정책 트렌드’에 대해 발표했다. IEA의 Net Zero by 2050 자료에 따르면 탄소중립으로 가기위해서는 에너지시스템의 전기화가 핵심이다. 이를 위해 2040년까지 발전부문에서의 zero emission를 달성해야 하며 수송뿐만 아니라 건물, 산업부분에서 히트펌프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EU 재생에너지지침은 폐열을 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어 열부문 재생에너지비중을 2030년까지 매년 1.3%p씩 확대해 재생에너지 달성목표치의 40%까지 재생열에너지가 감당토록 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냉난방 공급자가 최종소비자에게 에너지성능 및 재생에너지성능, 재생에너지비중 정보를 제공토록 하고 있으며 대규모 바이오매스, 태양열, 지열로부터의 냉난방 공급을 수용하기 위해 회원국의 지역난방 인프라 개발해야 한다. 이길봉 박사는 “2020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재생열에너지 보급 정책이 새롭게 제시돼 화석연료 금지, 가스 또는 석유 보일러의 신규 설치를 금지함으로써 재생열에너지 보급을 유도하고 있다”라며 “유럽 주요 3개국인 독일은 RHO를, 영국은 RHI를, 프랑스는 태양열과 지열에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는 히트펌프 의무화와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독일이 2009년 도입한 RHO(Renewable Heat Obligation)제도는 건축물 열에너지 사용량의 일정비율을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공급토록 의무화한 제도로 50m² 이상 신축 주거용, 비주거용 건물에 적용된다. 2011년 영국이 도입한 RHI(Renewable Heat Incentive)제도는 화석연료 등을 통한 열 생산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재생에너지 열 생산방식에 대해 장기적(20년) 재정 지원을 통해 생산비용 차액을 보조해주는 제도이지만 화석보일러대비 히트펌프의 높은 초기투자비비용을 극복 못해 2022년 3월31일 종료됐다. 이 박사는 “현재 유럽 내 에너지가격 변동으로 히트펌프가 가스보일러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했다”라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분쟁으로 촉발된 러시아산 가스수급 불안정으로 EU의 에너지보안이 위협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EU는 올해 3월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히프펌프 설치 확대 계획인 ‘REPower EU Plan’을 수립하고 2026년까지 약 2,000만대, 2030년까지 6,000만대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설치율을 높이기위해 장비생산을 늘리고 자금조달이 용이토록 지원할 계획이다. 영국은 히트펌프 보급률이 낮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때문에 선호도가 높아지고 짐에 따라 보일러 대체 보조금(Boiler upgrade grant)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화석연료 보일러를 히트펌프와 같은 저탄소기술로 전환 시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45kW 이하 공기열원, 지열, 수열 등 열원과 상관없이 히트펌프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9만대의 히트펌프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건물부문 열수요, 히트펌프 담당 남유진 부산대학교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한 히트펌프의 역할과 최신 활용 기술’을 통해 “코로나19로 역성장에 빠졌던 세계건설시장이 본격적인 회복세에 진입함에 따라 신규발주 확대 및 글로벌 공급망 회복에 따른 기자재 인력수급이 원활해지고 기존 현장의 정상화 움직임 확대될 것”이라며 “전세계적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 전략을 실시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7년 기준 건물 건설 및 운영은 전 세계 최종 에너지 사용량의 36%,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9%를 차지하며 건물 및 건설부문은 에너지 배출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가별 Net zero Emission Building을 위해 개인 및 공공건축물의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의무화 정책이 2050년까지 계획돼 실시될 예정이다. 특히 건축부문의 재생에너지사용은 36%에서 77%로 증가할 것이며 건물에너지소비의 최대 3/4을 재생에너지로 공급이 가능하며 전 세계적으로 Transforming Energy Scenarip에 따라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용 및 보급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유진 교수는 “건물부문의 전력수요는 전력수요의 강력한 성장과 난방의 전기화 증가로 기기효율 개선에도 불구하고 2050년까지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건물부문에 적용되는 신재생에너지는 바이오매스, 태양패널, 지열시스템, 히트펌프 등으로 구성되며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사용량 증가할 것이며 히트펌프는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부문의 열수요의 27%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역별 히트펌프시장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이 연평균성장률 16.24%로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지역은 연평균 성장률 9.91%로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히트펌프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1,02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히트펌프시장은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남 교수는 “탄소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흐름과 더불어 정부의 친환경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고효율 친환경 난방설비인 히트펌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며 “2020년 공공건물 제로에너지빌딩 의무설치 비율과 2025년 민간건물 제로에너지의무화에 따라 시범적으로 공동주택에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 및 급탕 활용이 실증되고 있다”고 밝혔다. 남 교수는 이어 “히트펌프는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시스템과의 적합성 여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부터 각 장비의 특성을 파악하고 부속기기간 연계성을 통한 시스템관리가 이뤄지는 것이 에너지를 절감하고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핵심기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히트펌프 활용 최신기술은 △태양열 연계 히트펌프시스템 △태양광열-지열원 히트펌프시스템 △태양광열-공기열원 히트펌프시스템 등이 있으며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히트펌프 제어시스템도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차세대 VRF히트펌프 개발 이공훈 기계연구원 박사는 ‘건물용 차세대 히트펌프 개발 동향’ 주제발표를 통해 “글로벌 냉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대체 냉매 및 고효율 냉난방기기 핵심 기술·통합 운영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라며 “냉매 개발·혼합 기술, 냉매 안전성 평가 기술. 냉매 물성 측정·평가 기술, 대체 냉매 적용시스템 기술 등 냉매 개발에 필요한 기술 개발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EU의 ‘Fit For 55’는 탄소중립의 중간과정으로 2030년까지 최소 55%의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위해 고효율시스템과 화석연료대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계획이다. 이공훈 박사는 “유럽 각국은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위해 히트펌프와 같은 신재생 난방시스템이 발달했으며 기존 화석연료보일러를 저탄소 난방시스템으로 교체하고 있다”라며 “여러 유럽국가들이 히트펌프 설치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단기적으로 히트펌프가 주거용으로 CO₂배출 절감을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 인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0년 전세계 난방수요의 7%를 히트펌프가 담당하고 있으며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으로 3% 감소했으나 유럽(7.4%)과 미국(9.4%)은 증가추세다. 지속 성장하고 있는 유럽의 히트펌프시장은 공기열원(Air-to-Air)과 수열원(Air-to-Water) 비중이 크며 2030년경 공기열원 히트펌프시장은 6~7배 증가할 것으로 EHPA는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VRF시장은 2020년대비 2021년 15.5% 증가했으며 중국, 일본, 한국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중국은 특히 지난 1년간 20.7% 증가했으며 미국시장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와 유럽은 성숙된 시장으로, 미국, 중동, 인도, 아프리카는 상대적으로 신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히트펌프기술은 △고효율 냉매압축기 △고효율 컴팩트 열교환기 △히트펌프 제어기술 △Low GWP 냉매 적용이 핵심이며 VRF 히트펌프기술은 △Heat Recovery VRFs △저온성능 △인텔리전스 △IAQ △디자인 △안전성 △Low GWP 냉매 등이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공훈 박사는 “글로벌 냉매규제에 따른 대체냉매시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몬트리올의정서(1987년)는 ODP규제(CFC 계열 냉매)를, 교토의정서(1997년)는 HCFC계열 냉매 규제를, 파리협약(2015년)과 키갈리협약(2016년)은 HFC계열 냉매의 포괄적 규제를 시작했다. 기계연구원은 이공훈 박사를 총괄연구자로 차세대 대체냉매 및 고효율 냉난방기기 핵심 기술·통합 운영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친환경 냉매(GWP 10 이하, A2L 이하) 개발 및 성능평가 인프라 구축, 대체냉매 안정성 평가기술 개발, 대체냉매 적용 VRF 히트펌프시스템 최적화 기술 개발 등이 세부개발목표다. P2H, 신재생 잉여전력 해결방안 허재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는 ‘탄소중립 핵심기술, P2H에서 히트펌프의 역할’에 대해 주제발표했다. 재생에너지 기반 섹터커플링 개념은 독일 에너지전환 정책에서 처음 제시됐으며 전력을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해 사용 및 저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가변성이 있는 재생에너지전력을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해 사용, 저장하고 발전, 난방, 수송부문을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P2H로 섹터커플링 기술 중 하나다. 허재혁 박사는 “최종에너지기준 열에너지는 55.1%, 원료사용분을 제외하면 열에너지사용은 74%에 달하며 산업(에너지), 주거 및 상업, 수송용 소비는 각각 38.6%, 17.3%, 18.8%에 해당한다”라며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의 열에너지사용비율은 각각 60%, 50% 이상이며 업무용 건물에 공급되는 전력의 1/3은 열에너지로 변환돼 이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대형 화력발전소에서 분산형 재생에너지발전소로 전환 중이며 2020년 제주지역 변동성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점유율은 18%에 이른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유연성 문제가 발생하는 3단계에 해당돼 계통안정운영을 위해 출력제한(Curtailment)을 시행 중이다. 실제로 제주는 2015년부터 출력제어가 발생해 2019년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2020년 7월 약 13.7GWh 출력제어가 발생했다. 이는 제주 전체 신재생발전량의 4.14%에 해당한다. 제주도는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주에너지공사를 주관으로 에너지기술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인터텍, 냉동공조산업협회 등 기관이 참여해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이용한 P2H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과제는 △공기열원, 수열 등 2종 이상 열원을 이용해 높은 효율로 재생에너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다양한 소비처에 공급-관리하는 ‘친환경 멀티소스 열원하이브리드 기술’ △출력제한에 따른 잉여 전기에너지를 히트펌프 및 전기히터 등을 이용해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기술인 ‘P2H 기반 고효율 열생산 및 저장기술’ △재생에너지 초과전력을 열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고밀도 축열시스템에 저장후 소비처 열수요 변동부하에 효과적으로 분배·공급하는 양방향 열에너지 네트워크기술인 ‘P2H 기반 열에너지 공급 및 소비네트워크 기술’ △제주지역 신재생 출력제어 발생 시 이를 플러스DR플랫폼을 통한 운영으로 수요증대를 통해 출력제어량을 감소시키는 ‘축력제한 대응 P2H플랫폼 및 표준화 기술’ 등을 개발한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P2H 기반 고효율 열생산 및 저장기술 개발 세부과제를 맡아 연차별로 축열식 하이브리드시스템 기본설계(1차년도), 축열식 하이브리드시스템 최적화 설계(2차년도), 축열식 하이브리드시스템 구축 및 성능분석기술 개발(3차년도), 축열식 하이브리드시슽템 실증 운용 및 성능분석(4차년도)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실증사이트로 △제주종합경기장 △도련, 삼양농가시설온실 △외도실내수영장 △서부기술농업센터 △한화리조트 △제주의료원 등을 선장했다. 허재혁 박사는 “신재생 잉여전력 해결방안은 다양하며 즉각적 해결방법보다는 여유를 갖고 장기적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한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에 따른 섹터커플링기술 도입은 필수”라며 “P2H시스템은 플러스DR 등 수요반응제도 확립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으며 기존 축냉시스템제도 및 규정을 활용해 무분별한 도입을 방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허 박사는 이어 “추후 육지에 발생할 수 있는 출력제한에 대비해 대용량 히트펌프 국산화기술 배양이 필요하다”라며 “P2M, P2G대비 기술적이나 경제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흡수식 HP 확대, 폐열회수단가 인상 필요 류진상 월드에너지 대표는 ‘흡수식 히트펌프 시장동향과 설치사례’에 대해 발표했다. 흡수식 히트펌프는 흡수식냉동기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해 폐열을 회수하는 기기로 온수, 증기, 연소열 등으로 구동돼 구동열이 생산되는 온수에 그대로 전달돼 운전비용이 낮은 것이 특장이다. 또한 흡수식냉동기와 같이 진공상태에서 운전되므로 흡수식냉동기와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흡수식 히트펌프는 1종과 2종, 1종-2단으로 구분된다. 월드에너지는 다양한 흡수식 히트펌프를 수출해 왔다. 지난 1994년 핀란드에 수출한 흡수식 히트펌프는 배기가스 폐열을 회수하는 장비로 기존 열공급설비인 4MW 보일러를 대체해 120℃ 온수를 생산, 지역난방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금호화학(2016, 2018년)이 대표적인 현장이며 △ASL Rimini(이탈리아, 2018년) △Klaipeda시 지역난방용(리투아니아 2020년) △부천공공하수처리 등에 공급했다. 부천공공하수처리장에 흡수식 히트펌프가 설치돼 연간 2만2,101Gcal(소각영 12만1,987Gcal의 18%) 하수열을 회수해 하수열 판매금액은 연간 3억8,000만원(Mcal당 17원기준 추정, 연운전시간 7,000시간, 일 19.2시간)이다. 흡수식 히트펌프 투자 비용 총 25억원(흡수식 히트펌프 구매가 8억원, 하수펌프와 배관공사비용 17억원)으로 투자회수기간은 6.6년이 소요된다. 류진상 대표는 “국내 시장은 전기와 가스 등 에너지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나 전기가격(특히 산업용)이 낮으며 에너지다소비기업인 화학이나 열공급회사는 보수적 성향으로 매우 소극적인 시장이면서 에너지관련 기초기술도 부족하다”라며 “반면 유럽은 연 6.3%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가스가격 상승, 탄소제로 바이오매스 보일러의 사용 증가 등으로 국내 시장과는 다른 양상”이라고 지적했다. 류 대표는 “흡수식 히트펌프 확대를 위해 현재의 폐열회수단가인 Mcal당 8~25원은 너무 낮은 만큼 경제성을 반영한 폐열회수단가인 약 Mcal당 5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라며 “배기가스 수증기열 회수를 유럽수준인 30℃ 이하로 내려 수증기열을 회수, 백연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수열회수도 12~29℃온도 수준으로 회수가 필요하다”라며 “대용량 열회수가 필요한 지역난방현장에서는 흡수식 히트펌프가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냉난방설비 렌탈서비스 도입 강한기 이젠엔지니어링 대표는 ‘지열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팜 에너지 절감 사례’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인 히트펌프 시스템 렌탈 서비스를 제안했다. 강한기 대표는 “탄소중립 2050, 탈석탄, LNG가격 인상 등으로 에너지사용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고효율 냉난방시스템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스마트팜 작물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탄소배출량 증가와 난방에너지 사용량 증가”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ESG경영이 기업가치의 핵심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라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홍수, 가뭄, 태풍 등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어 사회적 비용도 증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농업은 소득 정체 및 농가인구 감소, 투자위축 등에 따른 성장률 정체로 위기를 맞고 있으며 스마트팜은 에너지비용을 절감시켜 농가소득을 향상시켜 투자를 촉진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겨울철 하우스 재배 작물 증대로 난방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어 고가의 에너지비용으로 인해 수익성이 감소되고 있다. 농가는 에너지비용 절감을 위해 비닐하우스에 많은 지열시스템을 설치했으나 실제 효율이 우수하게 돌아가는 시스템이 많지 않아 농가들이 지열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높아 선뜻 투자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젠엔지니어링의 개방형 지열시스템은 기존 지열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했으며 추가 기술개발을 통해 성능 및 효율을 개선했으며 신개념 시스템 렌탈 방식을 도입해 농가의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했다. 이젠엔지니어링은 스마트팜에 냉난방시스템(지열 히트펌프+수축열) 및 모니터링을 구축해 시험 결과 난방에너지 소비량을 60% 이상 절감해 농가수익을 증대했으며 동시에 이산화탄소 저감, 과실 생산량 증가, 시스템 원격 제어를 통한 운영 부담 감소 등 상당한 효과를 거뒀다. 강한기 대표는 “에너지 및 운전비 절약형 개선 냉난방시스템을 제안했으며 농장주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설비도 재활용했다”라며 “개선 시스템의 운전비 및 에너지절감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예측됐으며 농장주의 설비투자비 부담으로으로 인해 대응 전략으로 냉난방설비 렌탈서비스를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냉난방설비 렌탈서비스는 일반적인 판매방식이나 농어촌 지원사업과 다른 전략으로 제품에 대한 선투자하고 에너지절감비용으로 회수하는 방식이다. 시스템에 대한 성능보증과 유지보수 및 운전비 절감이 가능한 신개념 지열시스템 수의계약인 것이다. 강 대표는 “향후 신재생열에너지 결합 냉난방시스템은 다열원 히트펌프와 축열 냉난방시스템을 결합해야 한다”라며 “작물 및 부하특성을 파악해 시스템설계 및 시공이 필요하며 농가부담 최소화를 위해 최대시스템 설치가 아닌 최적시스템 설치, 하나의 열원이 아닌 하이브리드 열원을 통한 최대효율 및 최소 운전비 시스템 제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water, 수열E실증 현장 확보 앞장 조용 한국수자원공사 박사는 ‘수열에너지 확산보급을 위한 수열 냉난방 히트펌프 개발 및 실증’을 통해 “국내 14개 하천 수열원 잠재량 활용 시 표준원정 약 20기 대체 효과가 있다”며 적극적인 수열원 활용을 주장했다. 하천수는 하천의 지표면에 흐르는 물 또는 저장돼 있는 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하천수를 취수해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은 관로수의 경우 하천수의 성격이 그대로 유지된 하천수로 보고 잇다. 이미 프랑스, 캐나다, 네덜란드, 스위스 등에서는 에서는 수열원을 이용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6년부터 수자원공사도 총 13개소에서 673RT의 수열에너지를 활용 중이다. 또한 롯데월드타워 3,000RT(전체 부하의 10%), 한강홍수통제소, 부산 EDC 스마트빌리지 등에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다. 수열에너지의 하천수 활용방안은 직접취수, 관정취수, 수중 열교환 등이 있으며 대용량시스템에는 직접취수 방법이 적합하다. 하천수 활용에 기존 관로인프라 이용 시 경제성 확보도 용이하다. 하천수의 수열잠재량은 14개 하천 잠재량 활용시 표준원전 약 20기 대체 효과가 있지만 △동절기 난방 시 동파 △수충력 사고 △하천수 유입 이물질 등은 수열에너지활용을 위해 극복해야 할 기술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수열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2020년부터 LG전자, 에너지기술연구원, 냉동공조인증센터, 기계연구원, 장한기술, 한양대 등이 참여하는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술 개발 및 실증’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과제에서는 △안정적 성능 확보를 위한 하천수 취수 및 열교환 기술 △친환경 냉매이용 수열원 히트펌프 성능 개선 기술 △축열식 하이브리드 냉난방 시스템 최적설계-성능예측-운영 기술 △대용량 히트펌프 시험평가 기반 구축 및 기술표준·인증 등을 추진한다. 현재 K-water 한강유역본부를 수열시스템 실증사이트로 선정하고 500RT급 수열원 히트펌프설비를 설치해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1,000RT급 수열원 히트펌프 유니트 성능평가설비 설계도 진행하고 있다. 조용 박사는 “터보압축기, 자기베어링 및 갭센서 관련 핵심기술 확보 및 향상을 통한 수열전용 친환경 대용량 히트펌프를 개발하고 있다”라며 “대국민 수용성 확대 및 홍보를 위해 홍보관을 구축해 수열에너지의 랜드마크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 박사는 특히 “수열히트펌프 KS인증 표준 및 시공기준을 위한 실증테이터를 제시해 기존 냉난방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K-water는 실증사이트 확장방안으로 △비영리 의료법인 시설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는 삼성서울병원 △열원설비 노후에 따른 개·대체 계획을 갖고 있는 무역센터(코엑스) △공간 복합개발 및 통합역사가 구축될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업무, 숙박, 문화, 판매시설 등 신축이 진행될 현대GBC 등에 수열에너지 공급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주한네덜란드대사관이 지난 2일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킨텍스(KINTEX)에서 ‘한국‧네덜란드 ATES 컨퍼런스’를 개최해 네덜란드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ATES(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기술 및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국내 지질현황 및 산업지형을 고려한 도입가능성을 점검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주한네덜란드대사관이 주최하고 칸kharn이 주관해 ‘한국 수열·지열시스템 산업동향 및 네덜란드 ATES 기술현황(Korean hydrothermal system business status & the Netherlands ATES technologies)’을 주제로 개최됐다. 프로그램은 △ZEB 정책 및 인증시스템(서윤규 한국에너지공단 박사) △네덜란드의 주택 및 탈탄소화 정책(레지나 오스팅 네덜란드 내무부 도시계획주거환경과장) △한국의 지역냉난방용 수열히트펌프시스템 사례(김민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한국 지질·수자원 특성에 따른 ATES 적용가능성(심병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국내 지열시스템과 ATES(이유수 신성엔지니어링 책임연구원) △한국의 ZEB·수열·ATES 미션(바스 호스찰크 IF Technology 국제사업매니저) △건축환경에서의 에너지전환(살레 모하메디 Witteveen+Bos 에너지엔지니어) 등으로 구성됐다. 요아나 도너바르트(Joanne Doornewaard)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대사는 개회사에서 “네덜란드는 나라이름 자체가 ‘저지대’를 뜻하는 것처럼 국토의 1/3이 해수면보다 낮아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하다”라며 “지난달 집중호우를 경험한 한국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므로 탄소배출량의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물에서 화석연료 소비를 줄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사관과 네덜란드 기업청은 지난 4년간 건물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수열 및 ATES기술을 통해 한국과 네덜란드를 연결하고자 노력해왔다”라며 “이러한 노력은 부산EDC에서 시작돼 강물과 지하수를 열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높였지만 코로나19로 프로젝트를 완결짓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도너바르트 대사는 또한 “그러나 지난 6월 한국 대표단이 네덜란드를 방문해 세계적인 ZEB 현장을 둘러 본 이후 마침내 네덜란드 전문가들이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게 됐다”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한국과 네덜란드가 협력의 기회를 찾고 혁신을 통해 도전적인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수열E, ZEB인증 반영…산업활성화 기대”서윤규 에너지공단 건물에너지실 박사는 ‘ZEB정책 및 인증시스템’ 발표를 통해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 따른 ZEB의 법적 정의는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이라며 “ZEB Ready, nZEB, NZEB, 플러스에너지빌딩 등 ZEB의 정의는 각국의 기술 및 경제적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ZEB는 패시브기술로 에너지부하를 줄이며 액티브기술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자립률을 높이는 형태로 추진한다. 우리나라는 국가 NDC 상향을 통해 2018년 국가 전체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기존 26.3% 감축목표를 40%로 상향함에 따라 건축물의 경우도 기존 19.5%에서 32.8%로 감축목표가 상향됐다. 이는 2030년까지 1,710만톤 감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가 NDC 달성과 에너지‧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한 번 지으면 최소 30년 이상 유지되는 건축물 특성 상 초기에 건물에너지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건축물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 추진전략을 마련한 바 있다. 2020년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통해 500㎡ 이상 공공 신축건축물의 ZEB의무화를 기존 2025년에서 2023년으로 앞당겼으며 2020년 12월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도시단위의 신축건물 ZEB의무화, 지자체 건물의 ZEB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한 2021년 12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녹색건축 활성화방안 발표를 통해 공공 ZEB의무를 2025년 4등급, 2030년 3등급으로 강화하고 민간 의무화와 관련해 최소 ZEB인정기준을 마련했다. 이어 2021년 12월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를 통해 2023년 30세대 이상 공공 공동주택에 ZEB 5등급 의무를, 2024년 30세대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 ZEB 의무화를 적용하며 2050년 공공건축물 ZEB 1등급 의무화를 추진한다. 서윤규 박사는 “우리나라는 2017년 세계 최초로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1+++ 이상, BEMS 또는 원격검침전자식 계량기 설치, 에너지자립률 20~100% 달성 등을 조건으로 하는 정부주도의 ZEB인증제를 개발했다”라며 “ZEB인증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해 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제도로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건물에너지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한국부동산원,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환경건축연구원, 에너지공단 등이 인증기관으로 활동한다”고 밝혔다. ZEB인증은 2017~2019년 도입 초기에는 10~35건으로 실적이 미미했지만 2020년 ZEB인증의무화를 기점으로 2020년 예비인증 493건으로 10배 이상 증가했고 2021년 1,015건으로 106% 증가했다. 본인증의 경우에도 2020년 14건에서 2021년 87건으로 급증했으며 의무화가 자리잡으면서 향후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ZEB인증 우수사례로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는 국내 최초로 ZEB 본인증을 획득했으며 약 8만㎡ 대형건축물이 ZEB인증을 획득한 사례다. 또한 세종 로렌하우스는 ZEB타운형 시범사업으로 본인증을 취득한 사례로 ZEB 2등급을 획득해 80% 이상 높은 수준의 자립률을 달성했다는 의미가 있다. 서윤규 박사는 “특히 세미나 직전인 8월30일 ZEB인증의 신재생에너지 평가항목에 하천수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기술을 포함토록 제도를 개선했다”라며 “이에 따라 빠르면 오는 10월부터 수열에너지가 적용된 사업장은 수열을 활용한 에너지절감효과를 인증제도에 반영할 수 있게 돼 수열에너지 보급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천연가스 난방 퇴출 추진”레지나 오스팅(Regina Oosting) 네덜란드 내무부 도시계획주거환경과장은 ‘네덜란드의 주택 및 탈탄소화 정책(Policy on housing and decarbonization in the Netherlands)’ 발표에서 “네덜란드는 주거용 건축물 800만동, 공공‧상업용 건축물 80만동 등 총 880만동의 건축물이 있으며 800만동의 주거건물 중 460만동은 소유주 실거주, 230만동은 사회주택, 110만동은 민간임대주택 등으로 개인소유가 가장 많고 주택공사가 많은 비중을 소유하고 있다”라며 “약 160만동의 건축물이 1940년대 이전에 건축됐으며 2030년까지 주거용건축물 90만동이 신축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네덜란드는 건물부문의 에너지사용량이 EU평균 40%에 비해 낮은 28%로 이중 69%는 난방, 31% 전력에 사용된다. CO₂ 배출량 역시 EU평균 36%에 비해 13%로 낮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건축환경의 지속가능성’을 국민주택건설의 6대 주요의제로 포함해 관리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주거용의 경우 냉방을 거의 하지 않으며 난방시스템은 천연가스와 보일러난방시스템이 주로 적용된다. 전체 세대의 88%가 개별난방이며 지역난방 및 기타는 12%에 그친다. 이에 따라 단열재, 히트펌프, 지속가능한 지역난방, 재생에너지적용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는 △지역기반 △개별가구 △다중이용시설 △에너지원 및 인프라 △건설산업 등 대상별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천연가스 퇴출, 국가 단열프로그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 난방네트워크 및 에너지원, 친환경시스템 혁신 강화, 지속가능건축 기준마련, 지속가능한 전력 등을 추진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자체는 핵심적인 조정자이자 결정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자체는 지구단위 접근, 지역별 에너지전략, 난방전환 목표설정 등을 담당하며 정부는 재정지원 및 정보공유, 규제개선 등을 제공한다. 2021년 각 지자체는 난방전환 목표에 대한 초안을 작성했다. 경제적이고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해 모든 주체가 협력해 에너지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어떤 방식으로 언제, 어떻게 전환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PAW(Programma Aardgasvrije Wijken: 천연가스 없는 지역 프로그램)는 천연가스 퇴출을 위해 지구별 500여개의 건축물로 구성된 64개 시범지구를 선정했다. 정부는 재정지원, 정보공유, 규제개선 등을 통해 지자체를 지원하며 이후 단계에서 지역별 난방전환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레지나 오스팅 과장은 “EU 그린딜(Green Deal)은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량을 55% 감축할 계획”이라며 “주거정책은 EU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기 때문에 지난 6월 이를 위한 EPBD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스마트멀티그리드 E패러다임 변화”김민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지역냉난방용 수열히트펌프시스템 사례’ 발표에서 “최근 발전유연성 확대, 에너지저장, 섹터커플링, 소비유연화 등 도시에너지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라며 “신재생에너지의 수용률 증대를 위해 현재 전력계통에서 스마트 멀티그리드로 에너지시스템이 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에너지체계 변화를 미리 볼 수 있는 사례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여주 푸르메 소셜팜 △부산EDC 스마트빌리지 등이 있다.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을 융복합해 전기 및 열에너지를 100% 자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열원기기 통합기술, 복합열원 최적 운전제어기술 등이 개발됐다. 특히 봄부터 가을까지 잉여 열에너지를 저장해 동절기 난방 및 급탕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계간축열조 설계 및 연간 운전분석 기술, 계간축열조 구축 및 제어기술 개발이 이뤄졌다. 계간축열 시스템은 태양열기반 블록히팅 시스템이 핵심으로 1,600㎡ 태양열 집열기, 50RT 히트펌프 3대, 750kW급 PV, 10kW급 연료전지, 4,000㎥ 계간축열조, 200㎥ 심야축열조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된다. 여주 푸르메 소셜팜은 재생에너지 융복합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자립 스마트팜이다. 태양열, PVT(Photovoltic Thermal), BTES(Borehole Thermal Energy Storage), STES(Seasonal Thermal Energy Storage), NTES(Night Thermal Energy Storage), 지열시스템, 히트펌프 및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보조열원 등으로 시스템이 구성되며 3,900㎡ 온실에 △TTES 1,020㎥ △PVT 234㎡ △BTES 2만8,500㎥ △태양열 집열기 462㎡ △히트펌프 130RT 등이 적용됐다. 부산EDC 스마트빌리지는 56세대 단독주택과 2동의 오피스건물로 구성된다. △PV 및 BIPV 500.7kWh △중앙ESS 400kWh △P2H 시스템(냉난방축열조 257t, 온수축열조 82t) △V2G를 위한 전기차 스마트충전 △ESS충전 및 P2H 변환을 위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에너지데이터 활용을 위한 블록체인 △재생에너지 미니그리드 △가상발전소(VPP) △P2P 전기거래 △사용시간대별 요금체계 △에너지공유 커뮤니티 설계툴 개발 등이 적용됐거나 추진 중이다. “국내 지질환경, ATES 적용가능성 충분”심병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한국 지질·수자원 특성에 따른 ATES 적용가능성’ 발표를 통해 “ATES는 ‘대수층 축열에너지 활용 시스템’으로서 건축물의 냉난방, 급탕 등 열에너지 부하를 위한 냉‧온열 확보를 위한 시스템”이라며 “일정 거리 이상 간격이 떨어진 지하 대수층에 냉정과 온정을 두고 시기별로 필요한 열부하를 꺼내 쓰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부존특성을 살펴보면 충적층은 한강, 낙동강 등을 비롯한 대규모 하천 연안에 넓게 분포하며 면적은 전 국토면적의 약 27%인 2만7,390㎢에 달하고 대수층 두께는 2~30m, 산출량은 공당 일간 30~800㎥로 파악된다. 암반층은 암석 형성당시 생성된 1차 공극과 그후 지각변동에 의해 형성된 절리, 단층, 파쇄대 등으로 이뤄진 2차 공극의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지하수의 함양과 유출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개발 및 이용가능한 지하수 함양량을 말한다. 국가 지하수측정망 자료를 활용해 지하수위 강하곡선 분석법을 적용해 산정하며 2016년 기준으로 국가 지하수 측정망 412곳 중 402개 측정망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암반층은 402개, 충적층은 167개로 나타났다. 지질별 지하수 산출 특성을 살펴보면 영남지방 경상계 퇴적암 분포는 전반적으로 타지역대비 지하수 산출성이 양호하며 경기‧충청‧호남지역 결정질암 분포에서는 쥐라기 화강암의 하부 풍화대에서의 지하수 산출이 풍부한 편이다. 남한강 상류지역과 동해, 삼척 등 동해안 일부지역 등 석회암층 분포지역 역시 지하수 산출상태가 양호하며 제주도 다공질 현무암 분포지역도 지하수 부존과 산출이 매우 뛰어나다. 권역별 충적층 분포도 및 특징을 살펴보면 강, 하천주변의 충적층 지역의 대수층은 지하수가 풍부해 적정 취수정과 환수정을 개발해 지하수를 순환시켜 열에너지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해수변 지역의 자갈 모래층은 해안지역에 광범위하게 발달된 충적대수층을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쇄설성 퇴적층 및 분지지역은 지형적으로 분지형태 구조에서 대수층 발달이 용이한 만큼 쇄설성 퇴적층에서 공극이 많이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지하수관측망을 통한 지하수온을 살펴보면 암반층 평균 지하수 수온은 14.7℃, 충적층은 14.9℃다. 암반 측정공 521공에서 측정된 연간 지하수온 분포는 5~25.1℃이며 충적 측정공 255공에서 측정된 연간 지하수온은 4.3~26.8℃ 분포를 나타낸다. 심병완 책임연구원은 “충적층 분포가 국토의 27%로 광범위해 충적층 대수층 내 지하수를 ATES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수립돼있으며 ATES 적용을 위한 유용한 지하수 및 지질정보 GIS가 공개돼 최적지 검토에 유용하다”라며 “대부분의 충적층 대수층 지하수의 수온이 안정적이고 수위변동이 적어 ATES 적용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이어 “ATES는 제도적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활용분야에 포함돼 설치 시 정부지원이 가능하다”라며 “대규모 냉난방 부하가 장시간 지속되는 조건에서도 시스템 성능 및 효율유지에 유리하므로 다양한 목적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간 시범사업 기반 시장활성화 가능”이유수 신성엔지니어링 책임연구원은 ‘국내 지열시스템과 ATES’ 발표에서 “네덜란드에서 활용하는 BTES는 우리나라의 수직밀폐형과 동일하며 ATES는 다중관정형과 흡사한 개념”이라며 “한쪽 공에서는 물을 계속 끌어올리고 실내와 열교환해서 냉난방한 뒤 다시 다른 공으로 물을 주입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ATES에는 축열개념이 적용되며 물을 계속 주입하는 쪽은 지속적으로 온도가 올라가거나 떨어지게 될 것”이라며 “이 경우 반대 계절에 시스템을 역으로 운영해 온도변화가 일어난 곳에서 물을 끌어올려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계절별로 냉난방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공단에서 인증된 시스템으로서 수직밀폐형, 개방형, 에너지파일형, 다중관정형 등 4가지가 활용되고 있다. 이중 개방형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공에서 심정펌프가 설치돼 이를 실내로 보내 물을 쓰고 해당 공으로 물을 재주입한다. 설치관리법령에 따르면 지하수 취수 후 열교환한 후 지하수를 다시 동일한 지열우물공으로 투입하는 방식으로 정의돼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몇가지 변형된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하나의 공에서 물을 계속 취수해 다른 공에 재주입하면 지하수위 변화가 필연적으로 동반되므로 이를 감안한 설계가 필요하다. 수위저하에 대응해 다수의 공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지중에서 올라오는 이물질처리가 관건으로 스트레이너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지중온도변화에 대한 부분도 감안해야 한다. 지중에서 열을 얼마나 받아올 수 있느냐에 대한 문제로 지중에서 많은 열을 받아올 수 있다면 천공수량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냉방시작 시 지중온도는 올라가며 난방 시 지중온도가 하락한다. 냉난방 중 한쪽의 부하가 크다면 지중온도가 지속적으로 단방향을 향한다. 개방형 천공 시 고려사항으로는 지질상황이 있다. 국내 지중암반은 화강암이 많이 분포돼 있으며 암반에 돌입해 파쇄대를 만났을 경우 ATES를 활용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대체로 파쇄대에서는 물의 유입이 많으므로 지하수가 많이 유입돼 물을 지속적으로 뽑아 올려도 천공홀 내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경우가 많으며 물을 계속 주입해도 다시 지하수를 타고 흘러 사라지기 쉽다. 즉 작은 설치용량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다. 이유수 책임연구원은 “의무화 사업에 있어서는 규정된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지만 일반적인 민간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설치돼 사업이 가시화된다면 국내에서도 충분히 ATES, 계간축열에 대한 설치현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네 공동프로젝트 협력 희망”바스 호스찰크(Bas Godschalk) IF Technology 비즈니스 디벨로퍼는 ‘한국의 ZEB·수열·ATES 미션’ 발표를 통해 ATES의 특장점과 우리나라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분석한 내용을 공유했다. ATES는 대수층을 활용한 개방형 지열시스템의 일종으로 대형 업무시설, 쇼핑몰, 병원 등에 적합한 솔루션이다. 계간축열을 활용하는 시스템으로서 냉정은 5~10℃, 온정은 13~17℃ 온도분포를 갖고 있으며 깊이는 40~250m로 유량은 25~250㎥/h 범위다. 에너지 및 탄소를 80% 이상 절감하는 솔루션으로 네덜란드에서 활발히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ATES는 다양한 열원과 융복합해 활용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ATES로 대부분의 냉난방부하를 담당할 수 있으며 일부 피크부하 시 결합된 열원으로 처리한다. 수자원이 풍부한 네덜란드는 수열에너지를 융복합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며 강, 운하, 호수, 폐수, 식수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약 3,000여개의 적용현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병원 △캠퍼스 △공항 △데이터센터 △쇼핑몰 △업무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에 활용되고 있다. 적용현장의 약 45%는 다중이용시설이며 공공건축물 14%, 병원 12%, 온실 11%, 산업시설 10%, 주거 5%, 데이터센터 2%, 목욕시설 1% 등 분포를 나타낸다. 바스 호스찰크 비즈니스 디벨로퍼는 “ZEB, 지열 및 수열시스템은 대한민국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대한민국 정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절감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가하고 있으며 탄소발자국 감소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열 및 수열솔루션은 1차에너지소비량의 획기적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다양한 건설현장에 대수층, 강, 적합한 기후 등 조건을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ATES의 적용을 위해서는 토양특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수층 특성과 토양축적 상태는 최대유량을 결정하며 천공직경 조정을 통해 미세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장별로 수량 및 지질조사와 시험천공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변화를 살펴야 한다. 또한 ATES는 축열개념이므로 축열과 방열을 항상 고려해야 하며 대수층 상태를 지속적으로 살펴야 한다. ATES를 기본 열원으로 사용하되 통합시스템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너지콘셉트에 따라 관정 수를 결정해야 한다. 특히 현장마다 고유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스마트한 설계가 요구되며 이는 대수층과 지하수 구성에 따라 최적화해야 함을 의미한다. 바스 호스찰크 비즈니스 디벨로퍼는 “잘 수행된 천공과 잘 개발된 관정은 50년 이상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드릴링 방법과 관정개발이 중요한 성공요인이 된다”라며 “돌이 많지 않은 경우 에어리프팅을 이용한 역회전 드릴링을 추천하며 첨가제사용을 최소화하고 시추공의 수위를 유지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네덜란드 기업들은 ATES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천공 및 관정구축 시 검토‧지원할 수 있다”라며 “가장 최선은 공동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인 만큼 앞으로 한국, 네덜란드 정부‧기업들과 다각도의 협력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ATES, 네덜란드보다 한국에 더 적합”살레 모하메디(Sale Mohammadi) Witteveen+Bos(이하 비트빈앤보스) 에너지엔지니어는 건축환경에서의 에너지전환‘ 발표를 통해 비트빈 앤 보스가 수행한 ATES 적용현장 사례에 대해 공유했다. 비트빈앤보스는 물, 인프라, 건축환경, 에너지 및 건설분야에서 독립적인 컨설팅서비스 및 설계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1946년 설립돼 현재 네덜란드 6개 지사, 그 밖에 세계 각지에 13개 지사를 두고 1,300여명의 임직원이 근무하는 기업이다. 비트빈앤보스는 네덜란드 원예박람회인 ‘플로리아데(Floriade) 2022’의 스마트열그리드 구축을 수행했다. 플로리아데는 10년마다 개최되는 원예박람회로 해당 지역은 박람회 후 주거지역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600동의 건축물과 약 4만2,000㎡에 이르는 공공건축물이 들어섰으며 대부분의 건축물이 그린파사드를 적용한 nZEB로 설계됐다. 또한 스마트열그리드는 인근 호수의 열에너지를 활용한 ATES와 연계됐다. 한국의 경우 부산EDC에서 ATES 적용을 위한 계획이 이뤄졌다. 비트빈앤보스는 프로젝트 현장의 지질‧수자원 현황과 건축물의 냉난방부하를 분석했으며 지하관정을 이용한 대수층의 지하수 추출 및 주입 등 냉난방을 제공하는 열에너지의 저장 및 회수기반의 에너지시스템을 설계했다. 비트빈앤보스는 영국의 열네트워크 조닝을 수행키도 했다. 28개 시범도시의 열네트워크 구역식별 및 지정방법론을 개발했으며 규제, 권한위임, 시장지원 등을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최저 비용으로 저탄소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개발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살레 모하메디 에너지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지표수를 이용할 경우 여름에 수온이 올라가고 겨울에 수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하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이 떨어진다”라며 “지하수는 지표수대비 외기와의 온도차가 커지는데 ATES는 계절별 수온과 외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효율이 높아 네덜란드와 달리 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에서 더욱 효용이 크다”고 강조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인증을 활성화하는 요인에 대해 설계자와 시공자가 대체로 유사하면서도 일부 요소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인식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박정로 케이스종합건축사사무소 연구소장, 최재규 동서울대 교수 등이 최근 발표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설계자와 시공자의 중요도 비교분석’ 논문에 따르면 설계자는 근소한 차이로 정책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은 반면 시공자는 정책보다는 기술에 대한 요소가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건물분야의 에너지소비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7년 ZEB인증이 시작된 이후 2020년 공공건물의 ZEB인증 획득이 의무화되면서 인증실적이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1년 인증기관을 기존 1곳에서 9곳으로 확대하는 등 늘고 있는 수요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ZEB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최재규 동서울대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ZEB 제도적, 정책적 측면에 집중됐으며 ZEB인증 활성화 측면이나 인증 실무주체인 설계자, 시공자의 시각에서 활성화방안을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라며 “이번 연구에서는 설계자와 시공자를 대상으로 ZEB인증 활성화를 위해 어떤 요소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중요도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봤다”고 밝혔다. ZEB인증실적을 살펴보면 예비인증의 경우 △2017년 10건 △2018년 26건 △2019년 35건 △2020년 493건 △2021년(9월 기준) 750건 등으로 나타났지만 본인증의 경우 △2018년 4건 △2019년 6건 △2020년 14건 △2021년(9월 기준) 42건 등으로 예비인증에서 본인증으로 이어지는 비율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ZEB인증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연구는 설계자 52명, 시공자 58명 등을 표본으로 설문을 받은 뒤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문항은 △정책 △기술 △교육 △인센티브 △홍보 등 5개를 상위문항으로 각 항목에 대해 세부문항이 구성됐다. 세부문항을 살펴보면 정책항목은 △에너지효율기준 강화 △세부추진 로드맵 마련 △ZEB 설계제도 정비 △운영기관의 인증기관 모니터링 △에너지전문가 양성 및 사무소등록제 시행 등으로 구성됐으며 기술항목은 △다양한 주거‧비주거 표준모델 개발 △ZEB설계 컨설팅 지원 △패시브‧액티브 요소기술 개발 △자재개발 △신재생에너지 활용 컨설팅 지원 △고효율 기계설비장치 개발 등이다. 교육항목은 △인증절차 및 평가기준 교육 △ZEB 개념교육 △단열 및 기밀관련 교육 △에너지 시뮬레이션 교육 △기계설비 장치 교육 △신재생에너지 설비시스템 교육 등으로, 인센티브항목은 △용적률‧높이기준 완화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 우선지원 △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 확대 △소득세‧법인세 공제 △인증수수료 지원 △취득세‧등록세 완화 등으로, 홍보항목은 △건축주‧발주처 대상 홍보 △건축사 대상 홍보 △시공사 대상 홍보 △대중매체 홍보 △교육기관 홍보 등으로 구성했다. 상위항목에 대한 전체 응답자 의견분석 결과 중요도는 △정책(22.5%) △기술(22.1%) △교육(19.8%) △인센티브(19.1%) △홍보(16.5%) 순으로 나타났다. 설계자‧시공자를 비교한 결과 설계자는 △정책(22.6%) △기술(21.2%) △교육(18.3%) △홍보(17.2%) 등으로 전체집단과 동일한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시공자의 경우 △기술(22.8%) △정책(22.5%) △인센티브(19.8%) △교육(19.1%) △홍보(15.8%) 등으로 근소한 차이로 실무적 측면의 활성화 항목인 기술적 부분과 인센티브 부분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정책항목의 경우 설계자는 에너지전문가 양성, 사무소 등록제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공자는 ZEB 설계제도 정비를 중시했으며 두 집단 모두 운영기관의 인증기관 모니터링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했다. 기술항목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다양한 주거‧비주거 표준모델 개발과 ZEB 설계컨설팅 지원을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항목 역시 단열‧기밀관련 교육, ZEB개념교육, 인증절차‧평가기준 교육 활성화가 중요하다는 데 같은 의견을 보였다. 인센티브항목에서는 두 집단 모두 용적률‧높이기준 완화가 중요하다고 꼽았으며 홍보에서는 건축주‧발주처 대상 홍보를 가장 중요한 활성화 요소로 선정했다. 최재규 교수는 “건물부문 에너지소비 절감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공공부문부터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는 ZEB인증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려면 실질적인 참여주체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실무자 관점에서 어떤 기술개발과 교육이 필요한지를 파악해 정부의 교육커리큘럼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인증활성화에 어떤 전문인력이 필요한지를 파악해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이상훈)은 8월18일 보정계수 개편 및 보정계수 재검토 주기 명시를 골자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지원 등에 관한 지침’ 개정을 공고했다. 신재생에너지 설비 지원 등에 관한 지침은 에너지공단 부설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장에게 위탁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침이다. 이번 지침 개정의 주요 사항은 신재생에너지원별 단위생산량, 보정계수 개편과 재검토 주기 마련 등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월별 보정계수 개편은 전력대비 관심이 적었던 신재생열에너지 중심으로 이뤄져 주목을 받고 있다. 개정된 지침에 따르면 태양열의 경우 △평판형: 1.78 △단일진공관형: 1.42 △이중진공관형: 1.42 △공기식무창형: 1.53 △공기식유창형: 2.87 등으로 기존 보정계수대비 상승했다. 태양광은 △고정식: 0.95 △추적식: 1.47 △BIPV: 6.12 등으로 제시됐으며 BIPV를 제외한 고정식, 추적식 태양광은 기존 보정계수대비 하락했다. 지열에너지의 경우 수직밀폐형과 개방형으로 구분되는데 수직밀폐형의 보정계수는 1.26으로 기존대비 15.6% 높게 설정됐으며 개방형은 변동되지 않았다. 연료전지는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등으로 구성됐으며 PEMFC이 경우 2.2로 기존대비 22.54% 하락했으며 신설된 SOFC 보정계수는 8.71로 제시됐다. 기존 해수만 포함돼있던 수열에너지는 하천수가 신설됐으며 해수, 하천수 모두 1.3으로 설정됐다. 연소를 통해 활용되던 목재펠릿은 0.32로 제시됐으며 기존 보정계수대비 –38.46% 감소했다. 보정계수는 신재생에너지원별 연간 에너지생산량을 보정해 신재생에너지원의 균형있는 보급과 기술개발 촉진, 산업활성화 등을 고려해 산정된다.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원별 설치규모 △단위 에너지생산량 △원별 보정계수 등을 모두 곱해 산정됨 보정계수가 높은 신재생에너지원은 보정계수가 낮은 신재생에너지원대비 작은 용량으로도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RPS)에 대응할 수 있어 보정계수는 신규 신재생에너지원의 경우 시장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별 단위 에너지생산량, 원별 보정계수의 정기적 재검토를 의무화하는 조항이 신설됐다. 개정된 지침 제52조 2항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센터장은 단위 에너지생산량 및 원별 보정계수를 2022년 8월1일을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마다 재검토하게 됐다. 다만 신재생에너지기술, 단가, 그 밖의 여건변화를 고려해 재검토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장, 기술개발 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균형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원간 융합과 구역복합 등을 만족하는 성과통합형 한국에너지공단의 주요사업인 융복합지원사업에 대한 운영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융복합지원사업은 태양광, 지열, 태양열, 연료전지 등 상호보완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원 설비를 특정 지역의 주택·공공·상업건물 등에 설치해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지자체 또는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기업과 모니터링기업, 감리기업, 민간 등이 합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설치비의 약 50%에 대해 정부지원이 이뤄지며 지자체에서도 약 20~30%가량 추가지원돼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발생하는 국민의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에너지공단은 지난 4월 2023년 융복합지원사업에 대해 수요를 조사하기 위한 모집공고를 냈으며 접수결과 전국에서 총 151개의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151개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금은 2,87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최근 이뤄진 에너지공단의 1차 평가 결과 105개 컨소시엄이 선정됐으며 누락된 46개 컨소시엄은 예비 컨소시엄으로 확정됐다. 2023년 융복합지원사업 수요조사 공고에 따르면 2023년 예산은 1,500억원 내외로 제시됐으며 컨소시엄별 사업규모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단순계산으로 105개 컨소시엄에 대한 정부지원금을 산출할 경우 1,99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업계는 1차 평가에서 제시한 1,500억원이라는 예산대비 과다하게 컨소시엄을 선정함으로써 2차 평가에서 많은 수의 컨소시엄이 탈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예산규모에 맞지 않은 컨소시엄 선정으로 사업에 혼란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탈락한 컨소시엄의 신청자들의 많은 민원이 사업결정권자가 아닌 신재생에너지업계를 향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업계의 관계자는 “현장평가로 진행되는 2차 평가 시 각 평가인력별 담당해야 할 컨소시엄이 과다해 면밀한 평가가 이뤄지기 어려우며 인력간 평가기준이 상이해 동일 조건에도 탈락하는 컨소시엄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현장평가 시 컨소시엄별 신청수요량에 따라 평가인원이 증감이 필요하나 수요량의 대소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인원을 배치하고 초과수요에 대해 획일화된 삭감방식으로 진행함으로써 신청자인 국민의 상실감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따라 실질적인 평가체계가 갖춰져야 하며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기업이 아닌 평가자가 직접 수요자에 대해 평가결과를 제공해 업계를 향한 민원을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에너지공단의 관계자는 “현재 진행하는 평가는 수요조사의 일환으로 2023년 예산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산편성 결과에 따라 사업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고지했으며 이에 대해 발생하는 민원은 수요조사의 취지를 명확히 전달하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1차 평가에서 많은 컨소시엄이 선정된 것은 151개 컨소시엄 신청이라는 이례적인 관심증가로 인한 것으로 에너지공단은 실효적으로 예산이 편성, 집행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융복합지원사업 탈락 시에도 주택지원사업 등 에너지공단에서 운영하는 타 지원사업을 참여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릴 수 있다”라며 “내년도 사업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는 절차인 만큼 지자체, 업계 등과 원활히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주택지원사업은 융복합지원사업과 비교했을 경우 자부담비율이 높기 때문에 융복합지원사업에 탈락한 신청자가 주택지원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농번기에 신청서류를 마련해야 하는 신청자가 많아 사업선정에 누락될 경우 다시 시도하기 주저한다”라며 “수요조사라는 사전적 의미만으로 판단할 경우에도 행정편의주의로 제도를 운영하는 정부는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니 만큼 수요조사결과에 따른 예산 증감대책이 마련되는 등 예산의 편성과 집행의 일관성 확보가 요구되며 관련업계는 일관된 제도의 운영을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가 중앙공조 신규 라인업을 공개하며 중앙공조와 개별공조를 결합한 통합공조솔루션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삼성전자는 8월25일 ‘삼성 통합공조솔루션’을 주제로 진행한 웨비나를 통해 중앙공조 신규 라인업을 공개하고 개별공조와 중앙공조의 장점을 결합해 최적운영, 에너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통합공조솔루션을 소개했다. 이날 웨비나는 △통합공조솔루션 도입배경 △통합공조솔루션 제품소개 △삼성 b.IoT 소개 등 순으로 진행됐으며 △황승환 삼성전자 중앙공조 PM 프로 △차지혜 삼성전자 B2B강사 △이건욱 삼성전자 b.IoT기획 프로 등이 발표자로 나서 삼성전자의 통합공조솔루션과 b.IoT에 대해 설명했다. 현재까지 건물 공조시스템은 중앙공조, 개별공조로 각각 구분해 적용해 왔다. 그러나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구성하는 공간들의 사용목적이 다양해짐에 따라 공간별 최적환경 조성 니즈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에너지소비량이 많으면서도 사용량이 일정할 경우 에너지절약효과가 있는 중앙공조와 소용량 공간과 간헐적 사용에 적합한 개별공조의 장점을 b.IoT를 통해 쉽고 편하게 누릴 수 있는 통합공조솔루션을 선보였다. 황승환 삼성전자 프로는 “중앙공조, 개별공조 각각의 적용으로는 삼성전자 통합공조솔루션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별공조, 중앙공조가 서로 융화돼야 한다”라며 “중앙공조 라인업 완성을 통해 각각의 공조방식의 장점을 통합해 사용할 수 있는 통합공조솔루션을 공개하게 됐다”고 밝혔다. 통합공조솔루션 통한 최적 공조환경 조성삼성전자의 중앙공조는 열원기기와 공조기기로 구분된다. 열원기기는 냉난방에 필요한 열매체를 냉방, 난방하는 장치로 냉동기, DVM칠러, 냉각탑 등으로 구성됐다. 냉동기는 냉수를 생산,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삼성전자의 냉동기는 글로벌 제조사와 제휴를 통해 생산되고 있다. 폭넓은 라인업이 특징으로 현장별 맞춤 시스템 제안이 가능하다. 특히 △R1233zd △R1234ze △R513A △R134A 등 다양한 냉매를 활용함으로써 냉매규제 대응에 유리하다. DVM칠러는 중앙공조와 개별공조의 장점을 결합한 제품이며 냉각탑은 냉동기의 응축열을 대기와 열교환해 버리는 장치이다. 황승환 프로는 “삼성전자 냉동기의 개발방향은 부분부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COP를 보편적으로 활용하나 이는 100% 부하로 산정된 수치”라며 “100% 부하는 전체 사용시간의 1% 수준으로 부분부하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NPLV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실제운전에 대한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전자 냉동기는 25%, 50%, 75% 등 부분부하에서 운전효율개선을 최우선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냉동기는 낮은 냉각수 온도조건에서도 안적적으로 운전할 수 있으며 최저 2.2℃ 온도에서도 운전이 가능하다. 최근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열에너지도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DVM칠러는 시스템에어컨과 같이 모듈조합이 가능해 현장에 따라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DVM칠러는 △12RT △16RT △20RT 등으로 구성됐으며 최대 16대까지 조합할 수 있어 최대 320RT까지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플래시 인젝션기술이 적용돼 혹한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난방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고효율 BLDC 인버터 압축기가 적용돼 부분부하효율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차지혜 삼성전자 강사는 “삼성전자의 DVM칠러는 냉각탑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 절약이 가능하고 기계실 필요면적이 작아 공간활용이 우수하다”라며 “크기가 작아 1톤 트럭, 화물엘리베이터로 이동할 수 있어 크레인을 통한 설치가 어려운 대도심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냉각탑은 국제 냉각탑 열성능인 CTI인증을 바탕으로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설비관리를 제공하고 있다. 용도에 따라 △공조용 패키지 냉각탑 △산업용 냉각탑 등으로 구분되며 물과 공기의 접촉방향에 따라 △직교류형 △대향류형으로, 물과 공기의 접촉형태에 따라 △개방형 △밀폐형 등으로 분류된다. 삼성전자는 규모, 설치면적, 사용계절 등 다양한 고객 니즈에 맞춰 냉각탑을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 공조기는 AHU, FCU로 구성된다. AHU는 온·습도, 기류, 청정도 등을 조절해 사용목적에 맞춰 적합한 상태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FCU는 냉수, 온수를 실내로 공급받아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설비로 시스템에어컨의 실내기에 해당한다. 황승환 프로는 “삼성전자 AHU에는 주요부속품인 코일에 자체개발한 Durafin Ultra라는 내염해, 내식성 코팅이 적용된 핀을 적용해 내구성을 강화했으며 외부 시험기관을 통해 성능을 검증받았다”라며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UVA필터와 살균을 담당하는 UVC필터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FCU는 시스템에어컨의 실내기와 동일한 외형,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360° 카세트 △무풍 4way 카세트 △무풍 1way 카세트 등으로 구성됐다. 360˚ 카세트는 모든 방향으로 기류를 보낼 수 있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콜드드래프트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무풍 4way 카세트와 무풍 1way 카세트는 쾌속냉방으로 빠르게 실내온도를 희망온도로 도달할 수 있으며 희망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무풍냉방을 통해 직바람없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통합공조솔루션은 한남동 웰페리온 종합피트니스센터에 적용됐으며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요구조건이었다. 열원기기로는 DVM칠러가 적용됐으며 기존 중앙공조설비 중 저수조, 온수탱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심야 축열설비로 인증받았기 때문에 저렴한 심야전기로 에너지비용 절약을 실현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b.IoT가 적용돼 냉난방설비, 저수조, 온수탱크 등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으며 공간맞춤 냉난방이 가능해 관리부담도 덜었다. IoT기술 적용 최적 운전솔루션 ‘b.IoT’IoT기술 기반 통합관리시스템인 삼성전자의 b.IoT는 현장상황과 용도에 맞춰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라인업이 갖춰져 있다. b.IoT의 라인업으로는 △빌딩 내 기계설비, 조명, 전력 등 주요제품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엔터프라이즈’ △삼성 시스템에어컨 에너지절감에 최적화된 중앙관제솔루션인 ‘라이트’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클라우드 기반 원격관리가 가능한 ‘클라우드’ △건물 에너지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원격검침 솔루션 ‘에너지’ 등이 있다. 이건욱 삼성전자 프로는 “삼성전자 b.IoT는 에너지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공조제품이 소비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내장돼 최적 시나리오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라며 “대쉬보드에 가동상태, 에너지사용량, 비효율관리 등 관리자가 원하는 항목을 노출해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개별공조와 중앙공조에 대한 정보를 한화면에서 볼 수 있어 통합공조 건물에도 최적 화면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b.IoT는 베트남 삼성전자 제조공장에 적용됐다. 하노이 공장은 11만5,700m²(3만5,000평), 호치민 공장은 4만9,500m²(1만5,000평)규모이며 시스템에어컨 6,000여대, 냉동기 70대, 공조기 380대 등 대규모 공조설비가 적용됐다. 막대한 전력이 공조기기를 통해 사용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통합관리, 에너지절감 등 2가지 목표를 위해 b.IoT를 적용했다. 건물별 설치된 시스템에어컨을 DMS로 연동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b.IoT에 6,000여대의 에어컨을 통합했다. 이어 냉동기, 공조기, 냉각탑 등 중앙공조제품은 기존 구축돼있는 타 시스템을 통해 연동했다. 이건욱 프로는 “두 현장에 적용된 알고리즘은 부분부하 대응 제어 알고리즘으로 냉동기, 냉각탑, 시스템에어컨을 대상으로 동작하며 냉수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제어해 쾌적함을 유지하면서 에너지사용 최소화를 구현했다”라며 “하노이 공장의 경우 10.5% 에너지절감, 투자회수기간 0.62년, 호치민 공장은 15% 에너지절감, 투자회수기간 1년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통해 연간 수십억원 수준의 에너지비용 절감효과를 거뒀으며 매년 절감금액이 누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개선 기준’ 개정안을 지난 11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2050탄소중립 및 상향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에 있어 공공건축물부터 선도적으로 기여하도록 노후된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는 녹색건축물 전환기준을 상향하고 이를 추진하는 절차 등은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토부에서는 2015년부터 연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문화·집회시설 △운수시설 △병원 △학교 및 도서관 △수련시설 △업무시설 등 6개 용도의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을 매년 공개하고 있다. 그중 에너지소비량이 다른 건축물에 비해 많은 경우 개선요구 등을 통해 소비행태를 개선하게 하거나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는 등 녹색건축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녹색건축물 전환 인정기준은 2015년에 마련된 기준으로 상향된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공공건축물에 대해 강화된 에너지 허가기준 등이 반영되지 못해 이를 현실화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에너지다소비건축물의 적극적인 녹색건축물 전환 유도를 위해 에너지소비량 공개방법 개선 및 절차 간소화 등의 제도운영상 개선이 필요한 사항도 있어 이번 개정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성능개선 기준 개정안에 따라 녹색건축물 전환 기준상향 및 절차가 간소화된다. 공공건물에 대해 강화된 에너지허가 기준 등이 반영되도록 녹색건축물 전환 인정기준을 상향해 노후된 공공건축물의 녹색건축물 전환이 국가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하며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개선과정에서 제로에너지건축물 및 에너지효율등급인증 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별도의 현장조사 없이 바로 녹색건축물로 전환되었음을 인정받도록 절차도 간소화한다. 구분 개정 前 개정 後 비고 1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기준」에 따라 에너지효율등급 3등급 이상의 등급을 인증 받은 사업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기준」에 따라 에너지효율등급 1등급 이상의 등급을 인증 받은 건축물 기준 상향 2 성능개선 전후 대비 연간 단위면적당 냉난방 에너지요구량을 20% 이상 개선하거나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을 20% 이상 개선하는 사업 성능개선 전후 대비 연간 단위면적당 냉난방 에너지요구량을 30% 이상 개선하거나 연간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소요량을 30% 이상 개선하는 건축물 기준 상향 3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6조에 따른 녹색건축 인증을 「녹색건축 인증 기준」 별표 6과 별표 7의 그린리모델링 건축물 인증심사 기준에 따라 취득한 사업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6조에 따른 녹색건축 인증을 「녹색건축 인증 기준」 별표 6과 별표 7의 그린리모델링 건축물 인증심사 기준에 따라 취득한 건축물 현행 유지 4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은 건축물 신설 5 기존 건축물의 노후도, 안전성능, 에너지 효율 등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사업 기존 건축물의 노후도, 안전성능, 에너지 효율 등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건축물 현행 유지 ▲녹색건축물 전환 기준 상향. 녹색건축물 전환 인정기준에 ZEB인증 취득을 신설했으며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3등급에서 1등급으로 상향한다. 또한 1차 에너지소요량 절감량은 20%에서 30%로 상향한다. 이번 개정안에는 건축물에너지소비량 공개제도 개선에 대한 내용도 포함됐다. 건축물에너지소비량 공개시기를 매 분기로 명확히 정해 보고기관의 혼선을 줄이고 소비량비교를 위한 지역구분을 신축건축물 허가 시 단열을 위해 구분하는 지역기준과 일치시켜 신축부터 기축까지 건물에 요구되는 단열기준을 동일하게 통일했으며 자발적으로 녹색건축물로 전환하려는 건물에 대해 지원이 가능하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등 제도운영상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을 개정한다. 이번에 행정예고된 개정안이 확정・고시되면 간소화된 절차를 통해 노후된 공공건축물의 녹색건축물 전환이 확대되고 상향된 전환기준에 따라 건물부문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도 공공이 선도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이번 개정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기후위기에 공공부문부터 적극적으로 대응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이 녹색건축물 확산 및 시장생태계 조성을 견인해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있어 민간까지 참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번 운영규정 개정안의 행정예고는 오는 8월1일까지이며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8월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개정안 전문은 국토부 누리집(http://www.molit.go.kr) 정보마당/법령정보/입법예고·행정예고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개정안에 대해 의견이 있는 경우 우편, 팩스, 국토부 누리집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건물부문 탄소중립방안으로서 연료전지의 향후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김학용·이주환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7월7일 국회 제2세미나실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지자체 주도 건물용 연료전지 활성화방안’을 주제로 연료전지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김학용·이주환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주최했으며 △한국도시가스협회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한국연료전지협의회가 주관을, 한국에너지공단이 후원했다. 세미나는 △개회사 △환영사 △축사 △발제1: 건물용 연료전지 지원정책(이한우 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장) △발제2: 탄소중립, 수소경제 연료전지기술 개발방향(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연료전지PD) △발제3: 건물용 SOFC 기술현황 및 SOEC 연계 육성방안(송락현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수석부회장) △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김학용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기후위기는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문제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가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화석연료에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개선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 중 하나가 건물용 연료전지로 연료전지는 태양광, 풍력 등에 비해 운용조건이 간단하고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아 도심에서 더욱 가치있는 에너지자원”이라며 “국산 기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건물용 연료전지는 국내의 소재, 부품공급망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으므로 산업의 가치가 더욱 크며 에너지공급 위기 및 가격상승 영향 아래 국산 고유기술과 생산력은 핵심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주환 의원은 환영사에서 “탄소중립 목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면서 전력뿐만 아니라 산업, 교통, 건물 등에서도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수소가 한창 논의되고 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각국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최근 국회에서도 수소법이 통과됨에 따라 수소경제 육성과 활성화를 위한 힘찬 걸음을 내딛었다”고 말했다. 이어 “연료전지는 수소활용산업의 핵심이며 정부는 수소경제로드맵 발표를 통해 2018년 307.6MW에 불과했던 연료전지발전설비 용량을 2022년 1.5GW, 2040년 15GW까지 늘릴계획"이라며 "그동안 공공건물과 일정 규모 이상 일반건물에 대해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화라는 강제성을 부여하고 제로에너지빌딩을 추진하는 등 연료전지 보급확대와 산업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건물용 연료전지 보급확대를 앞두고 개선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은 상황으로 개선책없이 지원만 이뤄진다면 '밑 바진 독에 물 붓기' 식 정책이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라며 "국회의원 한 사람으로서 연료전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지원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태형 한국연료전지협의회 회장은 “협의회는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사업 확대 및 대정부 소통을 전담하는 시장접점창구로써 노력하고 있으며 연료전지산업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동반성장을 위해 상생전략 수립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최근 국가적 화두로 떠오른 연료전지는 탄소중립을 위해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고효율 청정에너지원으로 전기가 필요한 곳에서 독자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분산전원 핵심기술”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과 전망에 비해 정부의 지원과 정책이 아직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국산 건물용 연료전지가 당면한 현 과제 및 관련정책들을 재점검하고 정부의 제도적 지원 및 지자체 주도하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최적 보급정책 등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라며 “이번 행사가 제도개선을 위한 대안제시와 함께 앞으로 연료전지 미래를 설계하고 공유하는 자리가 되길 바라며 협의회도 국내 연료전지산업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영신뢰성·모니터링 기반 확보 추진이한우 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장은 ‘건물용 연료전지 지원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현재 연료전지는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약 8MW, 발전용 연료전지는 약 749MW 보급됐으며 정부는 주택지원사업, 건물지원사업 등 보조금 지원사업과 공공민간 대상 신재생에너지 의무화제도 등을 통해 연료전지 보급을 촉진하고 있다. 국내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범한퓨얼셀 등 3사가 PEMFC 약 7MW를 보급했으며 미코파워, STX에너지솔루션, 에이치앤파워 등이 설치의무화를 시작으로 SOFC보급을 준비하고 있다. 이한우 단장은 “현재 국내 기술보급의 촉진을 위해 가정·건물용 연료전지에 대한 KS표준을 운영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파워팩 등 분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라며 “그러나 국내 기술보급 촉진을 위한 제도가 있음에도 우리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 노력이 없다면 외산제품이 시장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설치된 연료전지가 제대로 운영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이 미흡한 상황으로 현장적용에 따른 개선사항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라며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신뢰성 확보를 위한 장기신뢰성 연구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연료전지, 분산전원 역할 확립 중요정기석 에기평 연료전지PD는 ‘탄소중립, 수소경제 연료전지기술 개발방향' 주제발표를 통해 연료전지산업 발전을 위한 의견을 공유했다. 제철, 석유화학 등 탈탄소 전환에 애로사항이 있는 산업들은 대응방안으로 수소를 주목하고 있다. 수소는 대부분의 산업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며 탈탄소의 핵심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2050 탄소중립 달성 전제하에 전 세계 수소수요량은 2030년 1억4,000톤, 2050년 6억6,000톤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중국 등 아시아지역 수요가 2억3,500톤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50년 최종에너지 수요의 약 22%를 수소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기석 연료전지PD는 “투자대비 탈탄소화 성과를 효과적으로 거둘 수 있는 산업부터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분산전원으로서 연료전지와 수소모빌리티가 유망한 산업”이라며 “최근 청정수소 범위가 확대되면서 수소터빈과 암모니아 혼소발전이 주목받고 있으며 터빈, 연소기술 등이 이미 성숙한 상황으로 연료전지는 재생에너지, 청정발전과 경쟁 및 보완관계 속에서 역할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발전단가를 태양광 이하로 낮추는 것이 우선과제로 수소터빈, 암모니아 혼소발전 등은 주거지역에 위치할 수 없어 분산전원으로써 연료전지 역할을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탈탄소화에 따라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스산업과 수소, 바이오메탄 등의 분야에서 상생협력하는 방안도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소경제전환 기반, SOFC·SOEC송락현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수석부회장은 ‘건물용 SOFC 기술현황 및 SOEC 연계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1,000℃, 700℃, 500~600℃ 등 온도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며 1,000℃ 고온형 SOFC는 블룸에너지, 프라운호프 등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기업의 SOFC는 대부분 700℃ 수준이며 고온형 SOFC는 발전용에 적합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온도대 SOFC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해외기업은 배가스에 포함된 수소를 활용해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료재순환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퓨얼셀에너지의 경우 디스크타입 셀로 전환하는 등 기술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송락현 수석부회장은 “스택에 대한 기술력 확보는 글로벌기업과 경쟁하기 위한 핵심요소로 스택기술에 대한 국내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이와 함께 SOFC와 기술이 유사한 SOEC 기술개발을 통해 저비용 및 고효율로 수소를 생산해 수소경제전환을 촉진하는 것도 고려돼야 한다”고 밝혔다. ‘경제성’, 가동률 제고 선결과제발제가 모두 종료된 후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박사를 좌장으로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는 △배준형 산업부 수소산업과장 △이한우 단장 △김민경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송락현 수석부회장 △이정운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석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배준형 과장은 “현재 연료전지는 가동률 모니터링시스템과 가동에 대한 지자체 차원의 관리가 부재하며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어 낮은 가동률과 탄소중립 에너지원이 아니다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라며 “연료전지는 분산전원으로 중앙집중식 발전의 부담을 줄여 계통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어 성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연료전지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급돼있는 연료전지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나 현재 전기요금, 가스요금체계 하에서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기존 에너지원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연료전지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민경 연구위원은 “2050 탄소중립은 거부할 수 없는 목표로 서울시는 누구보다 앞서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설비 설치공간이 부족한 서울시에서는 좁은 설치면적과 높은 효율을 가진 연료전지를 주목하고 있다”라며 “다만 재생에너지의무에 따라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 설치된 연료전지가 설치 후 가동이 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낮은 가동신뢰성과 발생한 열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설치 후 가동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설치비율을 조절할 것이 아니라 건물별 생산규모에 따른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열수요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도시계획에 따라 연료전지를 설치하고 이를 인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연료전지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이정운 수석연구원은 “가스안전공사는 연료전지제품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규정에 대한 합리화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보급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제품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부품측면의 접근을 고려하고 있다”라며 “또한 설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복합배기기준 등을 마련해 법제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가스안전공사는 현재 PEMFC기업과 협력해 글로벌진출을 위한 CE인증도 지원하고 있으며 CE인증절차를 최대한 국내에서 수행하고 해외 인증절차를 최소화하도록 해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가스안전공사는 제도합리화에 노력해 나갈 것이며 이에 대해 기업들의 많은 협력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한우 단장은 “현재 연료전지는 열과 전력에 대한 용도로만 접근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료전지의 존재가치, 소비자편의, 새로운 용도 및 시장 발굴 등이 필요하다”라며 “기존 건물발전용 외에 스마트팜 등에 적용해 열과 CO₂를 활용하는 등 활용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연료전지산업에 대해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으나 이러한 지원이 언제까지 이어질 지는 알 수 없으며 자립시장을 구축해 대응해야 한다”라며 “지속적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해외사례, 유관기관, 기업들간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락현 수석부회장은 “수소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이 마련되고 있으며 새로운 체제 도입에 따라 기존 연료전지 의무적용규정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으며 연료전지를 수소경제의 한 축으로 봐야 한다”라며 “SOFC는 이론적으로 가장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SOEC 또한 수전해기술 중 대체할 것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전화가 이뤄지면서 전력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연료전지는 전력원으로써 역할이 중요하다”라며 “발전효율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개발은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