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그린리모델링센터로 지정한 LH(사장 김현준)‧국토안전관리원(원장 박영수)과 함께 한국판뉴딜 대표과제인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의 2021년 시그니처 사업선정 계획을 밝히며 그린리모델링(GR) 본격 확산에 나선다.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판뉴딜의 대표과제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 총 국비 4,500억원을 투입한다. 패시브‧액티브‧신재생 등의 기술(고성능창호·설비, 태양광 설치 등) 적용을 통해 국공립 어린이집‧보건소‧의료시설 등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성능과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올해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7월 말 826개가 추진되고 있으며 국토부는 이중 각 시도별 추천 및 별도심사를 거쳐 사업성과 측면에서 잠재력을 지닌 건축물을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그니처 사업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국토부와 지자체‧그린리모델링센터는 시그니처사업에 대해 성능과 디자인을 고려한 고품질 설계와 선도적 에너지 절감·실내환경 개선기술을 적용해 지역의 그린리모델링 랜드마크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32개의 시그니처사업 중 하나인 ‘세종 쌍류보건진료소’의 경우 외단열‧로이복층유리 및 태양광 설치로 70%에 가까운 에너지절감 효과를 보였으며 폐열회수 환기장치 설치 등으로 더욱 쾌적한 치료환경을 제공해 지역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게 됐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민‧관 협의체인 지역거점 그린리모델링 플랫폼을 주축으로 그린리모델링 공사 전·후 성능 개선효과 등을 포함한 종합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2020년 사업 중 초기 완료된 76개소를 대상으로 성과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사용량 최대 88%, 평균 33.6%가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대상 사업완료 시, 축구장 140개 면적의 산림조성 효과(소나무)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해당 건물의 지자체 담당자 및 건물 사용자를 대상(133명)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에너지절감‧실내환경 개선효과(단열보강, 고성능 창호, 고효율 냉난방기기 등)에 따른 높은 생활 만족도와 함께 지원대상 확대 필요성 역시 확인했다. 국토부는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그린리모델링분야 젊은 인재들의 일자리 창출 및 지속가능한 확산기반 마련을 위한 ‘그린리모델링분야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및 ‘그린리모델링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밖에도 TV‧유튜브‧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 및 팝업하우스 운영 등을 통해 보다 많은 국민들께 그린리모델링의 효과와 중요성, 한국판뉴딜의 취지를 홍보하고 있다. 엄정희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한국판뉴딜을 계기로 출발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은 건물부문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2050 탄소중립 등 글로벌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초석”이라며 “국토부는 사업의 지속추진과 함께 2025년 이후 공공부문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적용 및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 사업확대 등 다각도의 지원방식으로 그린리모델링을 비롯한 녹색건축의 본격확산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전담 차관 신설 등 조직개편과 인력보강을 통해 ‘2050 탄소중립’실현의 핵심인 에너지분야 시스템혁신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나간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각국이 경쟁적으로 탄소중립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지난해 10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이후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연내 감축시나리오를 마련, 부문별 이행전략 수립을 추진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87%가 에너지소비과정에서 배출되고 있는 만큼 화석연료에서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과 풍력·태양광·수소·에너지IT 등 에너지산업 육성도 시급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에너지분야 조직개편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8월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8월9일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산업부의 에너지분야 조직개편은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신설되는 에너지전담 차관(제2차관)을 비롯해 2관과 4과를 신설하고 27명을 보강한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효과적인 에너지정책 수행을 위해 에너지자원실을 ‘에너지산업실’로, 한시조직인 신재생에너지정책단을 ‘재생에너지정책관’으로 개편한다. 자원산업정책관과 원전산업정책관을 각각 ‘지원산업정책국’, ‘원전산업정책국’으로 재편한다. 에너지전담 차관 소속의 하부조직으로 신설되는 부서는 △전력혁신정책관 △수소경제정책관 △전력계통혁신과 △재생에너지보급과 △수소산업과 △원전지역협력과 등이 있다. 전력혁신정책관은 탄소중립에 수반되는 전기화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안정적인 전력수급 믹스 마련, 에너지신산업 육성, 전력게통망 투자 등 전력산업의 전반적인 혁신업무를 담당한다. 수소경제정책관은 수소경제로의 이행과 글로벌시장 주도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련인프라 구축 및 제도개선, 투자지원 등 수소의 생산·공급·유통·활용 전주기에 걸친 수소경제 활성화 업무를 수행한다. 전력계통혁신과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망 인프라 확충을, 재생에너지보급과는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지원 등 재생에너지 확대, 수소산업과는 청정수소 생산 및 수급관리, 수소전문기업 육성 등의 업무를 맡는다. 원전지역협력과는 원전 주변지역과 상생협력, 원전의 안전한 운영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전담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새로운 국제질서”라며 “산업부는 이번 에너지 차관신설과 관련조직·인력보강 등을 통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재생에너지, 수소 등 우리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창출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영 행안부 차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산업부의 에너지정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과 인력을 보강한 것”이라며 “산업부가 탄소중립에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대응해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전자(www.lge.co.kr)가 시스템에어컨의 기술력을 거듭 인정받으며 북미 공조사업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LG전자는 시스템에어컨으로 미국냉동공조협회(AHRI: Air-Conditioning, Heating & Refrigeration Institute)가 수여하는 퍼포먼스 어워드(Performance Award)를 4년 연속으로 수상했 다고 밝혔다. AHRI는 각 제품군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모든 제품을 대상으로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Intertek)의 엄격한 성능평가를 실시해 최근 3년간 연속해서 통과한 제품 군에 한해 ‘퍼포먼스 어워드 ’을 매년 수여하고 있다. 미국냉동공조협회는 1953년 출범한 단체로 약 350여개 글로벌 에어컨사가 가입해 있다. 제품 성능을 철저하게 평가하기로 유명해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다. LG전자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AHRI의 시험을 통과해 퍼포먼스 어워드를 받은 후 매년 수상하고 있다. 이번 퍼포먼스 어워드를 수상한 LG전자 시스템에어컨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성능평가를 통과한 7개 제품군이다. 수상 제품은 △대용량 시스템에어컨 (VRF: Variable Refrigerant Flow) △공냉식 냉방시스템(Air Cooled Chillers) △수냉식 냉방시스템(Water Cooled Chillers) △벽걸이형 냉방기(Mini and Multi Split Air Conditioner) △상업용 일체형 냉방기(PTAC;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상업용 일체형 냉난방기(PTHP: Packaged Terminal Heat Pump) △팬 코 일 유닛(Fan Coil Unit) 등이다. 대용량 시스템에어컨의 대표제품인 멀티브이(Multi V)는 독자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성능과 에너지효율이 우수해 상업용 공조시장에서 두각을 나타 내고 있다. 이 제품은 온·습도센 서를 모두 갖춰 절전효과를 높이면서도 쾌적한 냉방이 가능하다. 바깥 기온이 -30℃인 환경에서도 난방운전이 가능해 겨울철 기온이 크게 낮아지는 미국 북부지역에서 인기가 높다. 수냉식 시스템에어컨인 멀티브이워터(Multi V Water)는 열효율이 높은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가동 중인 실내기 수에 따라 냉온수 양을 제어해 전력소모도 줄여준다. 이 제품은 바깥 기온이 -30℃ 또는 54℃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공냉식 냉방시스템의 대표제품인 인버터 스크롤 칠러(Inverter Scroll Chiller)는 앞선 인버터 기술을 적용한 고효율 제품으로 20냉동톤(RT: Refrigeration Ton) 용량 기준 1.6m² 크기로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미국에서도 인정받은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공조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기축건물의 건물에너지 성능 향상, 분석방법 등에 대해 의견을 교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건축학회(회장 강부성) 건물에너지성능위원회(위원장 문진우 중앙대 교수)는 7월14일 ‘건물에너지 성능향상과 분석방법 및 오차축소’를 주제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거점센터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축사, 주제발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으며 주제발표는 △건물에너지성능 향상(남유진 부산대 교수) △리모델링건물의 에너지성능 분석(김상진 전주대 교수) △건물에너지 분석방법의 오차축소와 선별검사 Tool(김재민 이젠파트너스 대표) 등으로 구성됐다. 강부성 회장은 축사를 통해 “최근 발생하는 기상기온 등으로 기후위기를 실감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저감이 현재 가장 큰 화두”라며 “국내 온실가스 배출의 30%를 차지하는 건물분야는 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현재 그린리모델링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세미나를 통해 건물에너지 성능향상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고 그린뉴딜정책 성공에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건물 E부하 대응방안, '융복합'남유진 부산대 교수는 ‘건물에너지성능향상’ 발표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건물에너지자립의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남유진 교수는 “지난해 한국판뉴딜이 발표되면서 도시부문 그린리모델링, 그린에너지, 그린스마트스쿨 등 사업이 강조되고 있다”라며 “에너지를 절감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신재생에너지기술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제로에너지건축이 의무화되면서 한정된 부지 내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술들이 주목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단일 신재생에너지시스템으로 기존 부하 대응이 어려우며 하이브리드와 복합사용 등 기존 부하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단일 신재생에너지원만으로는 건물 전체 에너지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외부환경조건에 따라 시스템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열원조건을 예측하기 어렵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원은 신뢰성 부족으로 기존 냉난방시스템을 보조하는 역할로 이용되고 있으며 장기운전 시 열원조건의 변화 등으로 인한 시스템 효울저하 및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태양광열(PVT)는 태양에너지를 효울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 후면에 태양열 집열기를 배치해 태양광 발전효율을 유지하며 열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태양열 집열기는 공기식, 액체식 두 종류가 있으며 축열조의 온도가 낮게 유지돼야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남유진 교수는 “신재생에너지설비는 최대부하에 맞춰 설계하는 것보다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가장 효율이 높은 설비규모와 요소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그러나 현재는 시스템 설계용량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열 냉난방시스템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중온도를 열원으로 건물의 냉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는 기술이다. 지질성분에 따라 공사기간과 효율의 차이가 있다. 화강암의 경우 열전도율이 높으며 지하수의 유속이 빠를수록 효율이 높다. 이러한 지열 냉난방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기축건물에 대해 지열 냉난방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심도 유닛형 지중열교환기의 경우 기축 및 소규모시설에 용이하며 굴삭기로 굴삭 가능한 2~5미터 깊이에 사전에 제작한 지중열교환기를 매설하는 것으로 열을 생산할 수 있다. 남유진 교수는 “저심도 유닛형 지중열교환기의 경우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대비 약 40%의 시공비 절감효과가 있다”라며 “이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연구가 Tri-generation으로 태양열광과 지열을 융복합한 시스템으로 냉난방부하 및 전력부하도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태양-지열 융합 Tri-generation시스템은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 생산단가 저감, 에너지생산 간헐성 극복 등을 위한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냉난방부하를 대응할 수 있는 지열과 기후에 의존적인 단점을 보완한 태양광열을 융합한 시스템이다. 현재 Tri-generation시스템은 기존 냉난방시스템대비 2배 이상의 초기투자비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부산대 연구팀은 초기투자비용 저감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조건에서 채열운전만 수행한 조건보다 약 11% 더 높은 채열성능이 나타났다. 또한 태양열 집열판 50m² 조건의 채열량 및 축열량 산출겨로가 30m² 조건보다 축열량은 약 67%, 채열량은 약 9% 높은 것을 확인했다. 남유진 교수는 “국내 신재생에너지시장은 제로에너지빌딩,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등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태양광 및 지열 이용기술은 해외수준의 80%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타 열원과의 하이브리드 및 최적운전기술은 개발단계수준”이라며 “신재생에너지 융합기술 개발 및 실용화가 절실한 상황으로 그린리모델링의 정착을 위해 기축건물을 대상으로 에너지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건축재료별 특성 파악 통한 리모델링효과 정교화 김상진 전주대 교수는 ‘리모델링건물의 에너지성능분석’ 발표를 진행했다. 김상진 전주대 교수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역거점 중심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전라권 지역거점센터에서 어린이집, 보건소 등 공공건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을 수행하고 있다. 전라권 지역거점센터는 △의료시설 9개소 △보건소 98개소 △어린이집 48개소 등 총 155개소에 대한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종 건자재에 대한 열전도율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김상진 교수는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건물 소비에너지가 급격히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특히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이 향상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재실자는 리모델링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린리모델링 과정 중 동일 단열방법, 서로 다른 설비를 비교했을 경우 로이유리로 인해 투과율이 줄어 조명에 소비되는 에너지는 증가했으나 전체적인 에너지소비는 감소됨을 확인했다”라며 “서로 다른 단열방법, 동일 설비조건에서는 단열성능이 우수할수록 난방에너지는 줄었지만 냉방에너지는 증가했으며 냉방에너지대비 난방에너지소비가 많기 때문에 전체 에너지소비는 감소해 북부지방에서는 단열성능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라권 지역거점센터를 통한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은 △복죽보건진료소(78.8%) △담양보건소(70%) △평지보건진료소(67,4%) △해창보건진료소(67.4%) △장흥보건진료소(53%)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낮은 개선을 보인 곳은 △순천 화덕보건진료소(20.1%) △고흥 봉래보건지소(20.4%) △나주 국립병원(22.18%) 등이며 개선율이 가장 높은 복죽보건진료소와 가장 낮은 순천 화덕보건진료소의 차이는 58.7%p로 파악됐다. 김상진 교수는 “에너지개선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권역별로 진행되고 있는 그린리모델링 계산프로그램 내 값의 교환을 통한 조정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사용된 재료에 대한 열전도율 또한 공유해 정확한 개선효과 계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설계도면 제작 시 재료에 대한 열전도율을 모두 표시해 그린리모델링 성과를 파악해야 한다”라며 “이와 함께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인식이 낮아 인테리어 개선 등의 목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그린리모델링의 에너지절감이라는 목적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E소비량 예측방법 고도화 필요김재민 이젠파트너스 대표는 ‘건물에너지 분석방법의 오차축소와 선별검사 Tool’ 발표에서 에너지드림센터의 사례를 통해 건물에너지 분석결과와 실제 에너지사용결과의 오차를 짚으며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김재민 대표는 “현재 에너지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에너지소비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제로에너지빌딩의 경우에도 에너지자립을 기대하고 완공을 했지만 실제 에너지소비구조는 기존 건물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기도 한다”고 밝혔다. 현재 건물에너지 산출은 △ECO2 △ECO2-OD △e-BESS △Energy plus △Trnsys △ESP-r △CFD 등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는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활용하고 있다. 영국의 BRE(건축연구소)는 탄소배출이 연간 m²당 20kg 이하로 설계됐으나 실제로는 m²당 40kg을 배출하고 있으며 친환경건물로 알려진 런던시청은 실제 운영등급은 D등급으로 확인된다. 제로에너지건물로 설계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의 경우 모든 부하에 대해 건물과 주차장에 설치한 태양광발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건설됐다. 그러나 사용부하별 예측 에너지소비량과 실제 소비량간 큰 차이가 발생했다. 김재민 대표는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설계 전과 시공 후 예측 에너지소비량대비 실제 소비량은 적었으며 설계단계 예측 에너지소비량에 대응하기 위한 규모로 태양광을 설치해 플러스에너지건물이 됐다”라며 “그러나 EPC 에너지성능등급에 따라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 생산량을 평가한 결과 실제 측정량의 절반수준으로 나타나 제로에너지건물 3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예측 에너지소비량과 실제 에너지소비량간 오차는 △경년변화에 따른 외피 물성치 열화현상 △열교효과 미반영 △일사량변화 △실내 가구, 식재의 열용량 변화 등에 따른 건물 구조체 성능인자의 불확실성과 △월별 사용일수 변화 △재실자 밀도변화 △실별 환기 및 침기율 변화 등 건물사용 스케줄 상의 불확실성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김재민 대표는 “건물에너지 진단 프로세스를 단축해 3~4일내 도출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건물에너지 진단에 대해 역할을 분산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제제발표가 모두 마무리된 후 박진철 중앙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그린리모델링의 방향성에 대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은희창 강원대 교수는 “향후 기축건물에 대한 내진보강, 구조보강이 이슈로 떠오를 전망으로 그린리모델링과 융합한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건물 특성에 맞는 공법선정이 중요하며 그린리모델링 이후에는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가 필수적으로 이에 대한 기법이 강구돼야 한다”고 밝혔다. 황정하 경북대 교수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그린리모델링에 대한 접근을 진행하고 있지만 얻을 수 있는 성과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라며 “일일이 값을 입력하는 기존 건물성능평가에서 벗어나 쉽고 간단하게 건물성능을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종호 한밭대 교수는 “현재까지 제로에너지빌딩의무화 등 건물부문 에너지효율향상은 신축건물에 집중해왔으며 그린리모델링은 신축과 다른 기축의 특성을 반영해 진행해야 한다”라며 “특히 그린리모델링은 건물사용자가 효과를 즉각적으로 체감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창호, 단열재 등 교체가 아닌 에너지소비처별 진단을 통해 실질적인 에너지성능 향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의무는 대부분 태양광을 도입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지열, 연료전지 등으로 채워지고 있으나 지열의 경우 공기, 천공면적 등의 문제로 외면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연료전지의 경우에도 단순히 인증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될 뿐으로 실질적인 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승언 건설기술연구원 박사는 “기계설비는 기축건물의 에너지절감 효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 부분으로 설계에 대한 효율보다 실제적인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이를 위해 신뢰성있는 데이터공유, 건물부하를 쉽게 진단하고 에너지를 저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엽 국토안전관리원 차장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키포인트는 기축건물에 대한 관리로 2025년부터는 그린리모델링이 의무화된다”라며 “민간에서도 그린리모델링을 실시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고 있는 가운데 인센티브, 탄소배출권과 연계할 수 있도록 논의 중이며 이번 지역거점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기축건물 탄소중립에 대한 첫발을 딛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에 전 세계적인 합의가 이뤄짐에 따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효율 및 효용 향상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 최종에너지 소비구조 중 열에너지는 전체 에너지소비형태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화력발전, 태양광, 풍력 등으로 생산한 전기를 열로 변환해 사용하고 있으며 변환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태양광, 풍력 등은 기상상황에 따른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보완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태양열업계는 전력위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으로 인해 에너지원간 불균형 및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방향을 벗어나 수요에 맞는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국내 태양열업계의 매출액은 지속 감소하고 있으며 2015년 290억원에서 2019년 107억원으로 5년간 63%가 감소했다. 태양열업계의 한 관계자는 “산·학·연·관 전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탄소중립은 태양열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는 기회”라며 “국내와 달리 글로벌 태양열시장은 지속 성장하는 등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서도 열부문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등 우리나라도 모든 에너지원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태양열시장과 달리 글로벌 태양열시장은 지난 10년간 약 50%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전 세계 태양열설치용량은 2010년 242GWth에서 2019년 479GWth로 증가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2050 로드맵을 통해 태양열산업이 2018년대비 약 8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태양열업계의 관계자는 “건축물의 단열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냉난방부하는 감소하고 급탕부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효율이 우수한 태양열 또는 태양광열로 대응할 수 있다”라며 “이와 함께 용도에 따라 장·단기적으로 열을 저장, 전력피크 시 활용해 전력부하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전환효율이 우수한 태양열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신재생열공급의무화제도(RHO) 조기도입이 필요하다”라며 “일정 연면적 이상 건물, 일정 열수요 이상 공정열을 사용하는 산업체를 지정해 신재생열에너지설비 설치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가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교체 보조금의 하반기 예산 46억9,000만원, 약 2만3,000대분을 추가확보해 7월14일부터 신청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당초 올해 친환경보일러 보급예산 75억6,000만원, 3만7,000대분을 확보해 지난 1월 지원사업을 시작했으나 신청자가 급증해 3월말 예산 조기소진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이번에 추가예산을 확보했다. 서울시는 이번 추가지원은 예산 조기소진으로 인해 지원이 중단된 △저소득층 △민간보육원 △민간경로당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10년 이상 노후보일러 중 오래된 보일러순으로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다만 접수시간에 지원신청이 예산을 초과할 경우 후순위 신청자는 지원이 어려울 수 있다. 선착순으로 접수 시 일시에 많은 신청으로 혼잡이 우려돼 서울시는 오는 8월31일까지 접수받고 선순위 신청자순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순위는 △취약계층(수급자, 차상위계층) △민간보육원, 민간경로당 등 민간이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로 △10년 이상 노후보일러 등 순이다. 친환경보일러는 일반 노후보일러대비 미세먼지 저감뿐만 아니라 열효율이 12% 높아 연간 13만원의 요금절감효과가 있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친환경보일러 약 37만대를 보급했다. 이를 통해 질소산화물(NOx) 740톤, 이산화탄소 7만1,000톤을 절감했다. 또한 도시가스 2,938m³를 절감했다.이는 약 4만9,0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특히 서울시는 대기관리권역법에 따른 친환경보일러 설치의무화에 따라 보조금 지원사업과 별개로 SH공사가 관리 중인 공공임대주택의 노후보일러에 대해 친환경보일러로 조기 교체할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노후보일러 교체물량은 1만3,000대, 신축 등 의무화에 의한 설치물량은 15만6,000대로 예상되는 등 총 16만9,000대를 보조금 지원없이 설치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민간어린이집 친환경보일러 지원사업도 별도로 시행하고 있다. 민간·가정·협동어린이집의 노후보일러를 중점 교체 지원하는 사업으로 친환경보일러 1대당 60만원, 어린이집 개소당 최대 2대까지 지원한다. 올해는 550대의 친환경보일러가 지원될 예정이다. 이문주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노후보일러를 친환경보일러로 조기에 교체하면 도시가스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도 크다”라며 “친환경보일러 교체를 통해 난방비 절감 및 미세먼지로부터 건강도 지킬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대기관리권역 내 가정용 보일러 교체 및 신규설치 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가정용 1종(친환경)보일러를 설치해야 하며 예외사항 이외에 이를 어길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제작사 대표전화 인증모델 ㈜경동나비엔 (98) 1588-1144 NCB900-52L, NCB900-43L, NCB750-43L, LNG, NCB750-18L, LNG,, NCB750-22L, LNG, NCB750-27L, LNG, NCB750-32L, LNG, NCB750-36L, LNG, NCB752-18L, LNG, NCB752-22L, LNG, NCB752-27L, LNG, NCB752-32L, LNG, NCB752-36L, LNG, NCB752-43L, LNG NCB750-36K, LNG, NCB750-18K, LNG, NCB750-22K, LNG, NCB750-27K, LNG, NCB750-32K, LNG, NCB760-18K, NCB760-22K, NCB760-27K, NCB760-32K, NCB760-36K, NCB780-18K, NCB780-22K, NCB780-27K, NCB780-32K, NCB780-36K, NCB711-18K, NCB711-22K, NCB711-27K, NCB711-32K, NCB711-36K, NCB780-235K, NCB780-275K, NCB311-36K, LNG, NCB752-36K, LNG, NCB762-36K, LNG, NCB782-36K, LNG, NCB752-18K, LNG, NCB752-22K, LNG, NCB752-27K, LNG, NCB752-32K, LNG, NCB762-18K, LNG, NCB762-22K, LNG, NCB762-27K, LNG, NCB762-32K, LNG, NCB782-18K, LNG, NCB782-22K, LNG, NCB782-27K, LNG, NCB782-32K, LNG, NCB311-33K, NCB311-18K, NCB311-22K, NCB311-27K, NCB552-18K, NCB552-22K, NCB552-27K, NCB552-33K, NCB562-18K, NCB562-22K, NCB562-27K, NCB562-33K, NCB382-18K, LNG NCB382-22K, LNG, NCB382-27K, LNG NCB382-33K, LNG NCB582-18K, LNG NCB582-22K, LNG, NCB582-27K, LNG NCB582-33K, LNG 등 ㈜귀뚜라미 (119) 1588-9000 거꾸로 NEW 콘덴싱-14H, 거꾸로 NEW 콘덴싱-17H, 거꾸로 NEW 콘덴싱-14HW, 거꾸로 NEW 콘덴싱-17HW, 거꾸로 NEW 콘덴싱-21HW, 거꾸로 NEW 콘덴싱-26HW, 거꾸로 NEW 콘덴싱-30HW, 거꾸로 NEW 콘덴싱-17HN, 거꾸로 NEW 콘덴싱-14HN, 거꾸로 NEW 콘덴싱-21HN, 거꾸로 NEW 콘덴싱-26HN, 거꾸로 NEW 콘덴싱-30HN, 거꾸로 NEW 콘덴싱-21H, 거꾸로 NEW 콘덴싱-26H, 거꾸로 NEW 콘덴싱-30H,, 거꾸로 NEW 콘덴싱-26DW, 거꾸로 NEW 콘덴싱-30DW, AST 콘덴싱-27H (LNG,FF), AST 콘덴싱-32H (LNG,FF), AST 콘덴싱-22H (LNG,FF), AST 콘덴싱-17H (LNG,FF), AST 콘덴싱-14H (LNG,FF) 등 롯데알미늄㈜ 기공사업본부(4) 1588-8888 LGB-F219CO,LGB-F279CO,LGB-F329CO,LGB-F179CO 린나이코리아㈜ (189) 1544-3651 RC500-27KFD, RCM500-27KFD, RC500-27KFKD, RC5000-27KFD, RCM6000-27KFD, RC500-22KFD, RCM500-22KFD, RC500-22KFKD, RC5000-22KFD, RCM6000-22KFD, RC500-18KFD, RCM500-18KFD, RC500-18KFKD, RC5000-18KFD, RCM6000-18KFD, RC500-18KFD-LO, RC500-27MFD, RCM500-27MFD, RC500-27MFKD, RC5000-27MFD, RCM6000-27MFD, RC500-22MFD, RCM500-22MFD, RC500-22MFKD, RC5000-22MFD, RCM6000-22MFD, RC500-18MFD, RCM500-18MFD, RC500-18MFKD, RC5000-18MFD, RCM6000-18MFD, RC500-18MFD-LO, RC500-22KF(LNG), RC500-22KFK(LNG), RCM500-22KF(LNG), RC5000-22KF(LNG), RCM6000-22KF(LNG), RC510-22KF(LNG), RC500-15KF(LNG), RC500-15KFK(LNG), RCM500-15KF(LNG), RC5000-15KF(LNG), RCM6000-15KF(LNG), RC500-15KF-LO(LNG), RC510-15KF(LNG), RC500-18KF(LNG), RC500-18KFK(LNG), RCM500-18KF(LNG), RC5000-18KF(LNG), RCM6000-18KF(LNG), RC500-18KF-LO(LNG), RC510-18KF(LNG), RC500-18MF(LNG), RC500-18MFK(LNG), RCM500-18MF(LNG), RC5000-18MF(LNG), RCM6000-18MF(LNG), RC500-18MF-LO(LNG), RC510-18MF(LNG), RC500-22MF(LNG), RC500-22MFK(LNG), RCM500-22MF(LNG), RC5000-22MF(LNG), RCM6000-22MF(LNG), RC510-22MF(LNG), RC500-27MF(LNG), RC500-27MFK(LNG), RCM500-27MF(LNG), RC5000-27MF(LNG), RCM6000-27MF(LNG), RC510-27MF(LNG), RC500-32KF(LNG), RC500-32KFK(LNG), RCM500-32KF(LNG), RC5000-32KF(LNG), RCM6000-32KF(LNG), RC510-32KF(LNG), RC500-32MF(LNG), RC500-32MFK(LNG), RCM500-32MF(LNG), RC5000-32MF(LNG), RCM6000-32MF(LNG), RC510-32MF(LNG), RC500-37KF(LNG), RC500-37KFK(LNG), RCM500-37KF(LNG), RC5000-37KF(LNG), RCM6000-37KF(LNG), RC510-37KF(LNG), RC500-37MF(LNG), RC500-37MFK(LNG), RCM500-37MF(LNG), RC5000-37MF(LNG), RCM6000-37MF(LNG), RC510-37MF(LNG), RC500-27KF, RCM500-27KF, RC500-27KFK, RC5000-27KF, RCM6000-27KF, RC510-27KF 등 ㈜알토엔대우 (11) 1588-7339 ADB-200BELN, ADB-160BELN, ADB-250BELN, ADB-N200BMN, ADB-N160BMN, ADB-N250BMN, ADB-N201BON, ADB-N161BON-HR, ADB-N201BON-HR, ADB-N251BON, ADB-N301BON 대성쎌틱 에너시스㈜ (31) 1588-8577 DEC-20S FO, DEC-13S FO, DEC-16S FO, DEC-25S FO, DEC-30S FO, DEC-14K FO, DEC-18K FO, DEC-22K FO, DEC-27K FO, DEC-32K FO, DEC-36K FO, DNC-22K FO LNG, DNC-14K FO LNG, DNC-18K FO LNG, DNC-27K FO LNG, DNC-32K FO LNG, DNC-14S FO LNG, DNC-18S FO LNG, DNC-22S FO LNG 등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인증현황.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지난 6월30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 일부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오는 7월20일까지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이번 개정안은 신재생에너지의 균형있는 보급여건을 마련해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달성하고 탄소중립·그린뉴딜 등 정책수요를 반영해 효율적이며 질서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하는 한편 지자체 주도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확대와 소형태양광 고정가격제도의 운영방법 등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열 조항 삭제·바이오매스 변동 無산업부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전력 위주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r) 가중치 변동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REC 가중치가 변동되는 신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 △풍력 △수력 △조력 △수열 등이며 대규모 태양광, 풍력 등 전력생산원 위주의 REC 가중치 상향이 이뤄졌다. 신재생열에너지인 수열의 경우 이번 개정을 통해 REC 가중치 조항이 삭제됐다. 또한 목재펠릿, 목재칩,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혼소·전소 등의 바이오에너지의 경우 업계의 의견제시에도 불구하고 가중치 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연료전지는 기존 2.0의 가중치가 유지됐지만 부생수소를 사용할 경우 0.1의 추가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에너지효율이 65% 이상인 경우 0.2의 추가 가중치가 부여되는 조항이 신설됐다. 다만 생산된 열은 수요처에 열로서 공급돼야 한다. 고정형 지열 REC 가중치는 2.0을 부여받게 되며 변동형 REC가중치는 1.0~2.5를 유지한다. 변동형 가중치는 운영기간에 따라 가중치가 변동되는 것으로 지열의 경우 1~5년차는 2.5, 6~15년차 2.0, 16년차 이상 1.0 순으로 적용된다. 가중치 선택은 최초 설비 확인 시 신청인이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이후 변경은 불가능하다. 해상풍력 가중치 최대 0.5 상향태양광의 경우 3MW 초과 일반태양광은 0.7이던 기존 가중치에서 0.1이 추가된 0.8을 부여받았다. 또한 △100kW 미만 △100kW 이상 △3MW 초과 등 일반태양광의 세부기준이 건물태양광, 수상태양광에도 신설, 적용되며 건물태양광 및 수상태양광의 경우 REC 가중치가 일반태양광대비 각각 0.2와 0.4가 추가된다. 이에 따라 100kW 미만 수상태양광의 경우 기존 가중치에서 0.1이 추가된 1.6을 부여받지만 3MW 초과 수상태양광은 1.2를 부여받아 현행 가중치보다 0.3 낮아졌다. 또한 3MW 이하 건물태양광의 경우 기존 가중치대비 최대 0.3 하향됐다. 육상풍력은 기존 1.0에서 1.2로 상향됐다. 또한 해상풍력의 경우 2.0의 REC가중치가 부여되는 연안해상(간석지 및 방조제 내측) 조항이 신설됐으며 기존 가중치대비 최대 0.5 상향되는 등 전체적으로 상향조치됐다. 이와 함께 수심 △20m 이하 △20m 초과 25m 이하 △25m 초과 30m 이하 △30m 초과 등 수심조건이 신설돼 연계거리 및 수심 조건을 독립적으로 적용해 가중치를 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계거리 16km, 수심 33m의 해상풍력은 3.48의 가중치가 적용된다. 한편 개정안에 따르면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7조 및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조성·지원 등에 관한 지침(이하 직접화단지 지침)’에 따라 장관이 인정한 지자체 주도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경우 직접화단지 지침 제3조에 따른 실시기관에 최대 0.1의 범위 내에서 우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발전차액지원제도 전환설비에 대한 조항도 신설됐으며 전력량계를 추가로 설치해 교체된 설비의 경우 REC가중치 값에서 0.2를 제외한 값을 부여받는다. 이에 대해 수열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열에 대한 REC가중치 삭제는 수열시장에 대한 위축과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라며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임에도 이러한 산업부의 조치는 수열에너지 확산을 늦추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수열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건물 냉난방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열의 REC가중치 범위 확대가 아닌 삭제는 시대를 역행하는 행보”라며 “이와 함께 경제성 및 효율성 향상 방안인 융복합에 대한 조항이 마련돼야 효율적인 에너지공급의 필요성과 관심이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오매스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목재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으로 탄소흡수원인 동시에 에너지원으로써 기능하는 목재산업에 대한 경제성이 뒷받침돼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REC가중치 개정에 이러한 상황이 반영되지 않아 이로 인해 목재산업계 및 유관기업은 경제적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다른 바이오매스업계 관계자는 “REC가중치 조정과 함께 중요한 것은 건전한 경쟁이 가능한 시장을 만들어 나가는 것으로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산업부의 관계자는 “수열은 열에너지로 특성에 맞는 제도에 적합하다는 판단에 따라 삭제됐으며 태양광의 경우 설비비용이 낮아짐에 따라 REC가중치 또한 감소했다”라며 “풍력의 경우 태양광을 기준으로 REC가중치를 산정하기 때문에 상향됐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매스의 경우 상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추후 조정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구분 공급인증서 가중치 대상에너지 및 기준 설치유형 세부기준 일반부지 대비 태양광 에너지 1.2 일반부지에 설치하는 경우 100kW미만 - 1.0 100kW부터 - 0.8 3MW초과부터 - 0.5 임야에 설치하는 경우 - - 1.4 건축물 등 기존 시설물을 이용하는 경우 100kW미만 +0.2 1.2 100kW부터 1.0 3,000kW초과부터 1.6 유지 등의 수면에 부유하여 설치하는 경우 100kW미만 +0.4 1.4 100kW부터 1.2 3MW초과부터 1.0 자가용 발전설비를 통해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 기타 신재생 에너지 0.25 폐기물에너지(비재생폐기물로부터 생산된 것은 제외), Bio-SRF, 흑액 0.5 매립지가스, 목재펠릿, 목재칩 1.0 조력(방조제 有), 기타 바이오에너지(바이오중유, 바이오가스 등) 1.0~2.5 지열, 조력(방조제 無) 변동형 1.75 조력(방조제 無, 고정형) 1.2 육상풍력 1.5 수력,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혼소설비 2.0 연료전지, 조류,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전소설비만 적용), 지열(고정형) 2.0 해상풍력* 연안해상(간석지 및 방조제 내측) 2.5 연계거리 5km이하, 수심 20m 이하 2.9 연계거리 5km초과 10km이하, 수심 20m초과 25m 이하 3.3 연계거리 10km초과 15km이하, 수심 25m 초과 30m 이하 3.7 연계거리 15km초과, 수심 30m 초과 ▲신재생에너지원별 가중치 개정(안).
이수연 한일엠이씨(회장 최상홍) 사장이 7월1일 대표 취임식을 갖고 본격적인 직무수행을 시작했다. 또한 정차수 대표이사는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한일엠이씨의 기술과 미래발전을 전담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는 정부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며 내부 행사로 진행됐으며 행사 필수진행인력을 제외한 임직원은 각자 자리에서 ZOOM을 통한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건축용 단열재의 제품 불량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정부 제재조치의 실효성이 없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단열재 품질관리를 위해 건축안전모니터링제도를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현장 불시점검을 통해 단열재 등 건축자재의 시공 및 품질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불량자재 제조 및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제도다. 매년 시행돼 현재 6차 사업(2020~2021년)이 진행 중이다. 건축안전모니터링 결과 부적합할 경우 제재·처벌조치는 크게 2가지다. 먼저 건축안전모니터링 시행주체인 국토부가 건축법에 따라 직접 처벌하는 경우다. 불량자재를 제조·유통한 기업은 건축법 제108조(벌칙)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5억원 이하의 벌금 또는 제52조의3(건축자재의 제조 및 유통관리)에 따라 영업정지 등의 처벌을 받는다. 또한 KS인증제품으로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소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 적발 사실을 알리고 적정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국표원은 소비자단체의 요구가 있거나 피해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시판품조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시판품조사에서 부적합할 경우 산업표준화법 제21조(표시제거 등의 명령), 제22조(인증의 취소)에 따라 KS인증 표시를 제거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이처럼 법제도는 불량자재 유통범죄를 무겁게 처벌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불량자재를 제조·유통하고도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처벌·불이익을 회피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관계당국의 적발 후 처분도 경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적발·처벌제도가 범죄예방의 3요소인 엄격성·확실성·즉시성을 확보하지 못한데다 적발되지 않으면 이익을 남길 수 있는 구조여서 업계에서는 ‘믿져야 본전’이라는 인식이 팽배하다”라며 “윤리적으로 품질관리하며 양품을 납품하는 기업들이 이익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오히려 바보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재조치 全 단계에 허점 존재실제로 현재 진행 중인 6차 건축안전모니터링에서 적발된 포항의 한 지식산업센터 현장에 XPS단열재를 납품한 경북 소재 A기업은 자기소화성이 KS인증기준에 미달해 시공된 부분을 철거했다. 그러나 철거 후 새 자재로 재시공만 이뤄졌을 뿐 다른 제재조치나 시판품 조사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안전 모니터링을 통해 KS인증 시판품조사에 의뢰하더라도 두 조사 사이의 시차를 이용해 처벌을 피하는 방법도 있다. KS인증제품의 품질점검은 정기심사, 1년심사 등으로 진행되며 해마다 점검계획을 세워 시판품조사가 진행된다. 정기심사는 3년마다 모든 제조사가 받게 되며 1년심사는 이슈가 있거나 민원이 있는 경우 50~100개 제품을 선정해 조사에 착수한다. 문제는 건축안전모니터링을 통해 시판품조사를 의뢰하더라도 국표원이 반드시, 그리고 곧장 조사에 착수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건축안전모니터링에서 적발된 현장에 불량제품을 납품한 제조사가 시판품 조사가 개시되기 전까지 정상제품을 생산·납품하면 시판품 조사에 적발되지 않아 KS인증취소 등 제재처분을 회피할 수 있게 되는 허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시판품 조사를 통해 처벌이 이뤄지더라도 행정조치 효력정지 가처분제도를 통해 불량자재를 지속 판매하는 사례도 있다. 전북에 위치한 B기업은 시판품조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아 KS인증취소 처분이 내려졌지만 가처분조치 후 본안소송을 진행 중이어서 이미 생산한 불량자재 재고를 소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KS인증 취소가 특정 생산라인의 특정모델에 대해서만 이뤄지며 처분이 내려진 제품 외에는 효력이 없기 때문이다. 인증취소 처분을 받은 제조사는 다른 모델을 판매하는 것은 물론 가처분조치에 따라 적발제품마저도 KS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KS인증이 필수규제가 아니어서 인증취소가 확정되더라도 민간을 대상으로 저품질, 불량제품을 KS 미인증 상태로 판매할 수 있다. 나아가 행정소송 결과 무혐의 처분을 받고 제재조치가 취소되는 사례도 있다. 적발된 제조사들은 여러 가지 원료·원자재 등이 활용되는 단열재·복합자재 특성상 불량·성능미달의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을 악용한다. 자신들은 규정대로 생산했으나 원료가 불량했다고 주장하는 식이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반대증거를 확보·증명하기가 쉽지 않아 무혐의 처분을 받는 사례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토부·산업부 시험결과 상호 허용 필요단열재업계 전문가들은 불량자재 유통을 근절하기 위해 건축안전모니터링을 통한 적발 시 엄격하게 제재·처벌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많은 인력을 투입해 현장점검을 수행하고 시험해 불량자재를 걸러냈음에도 법망을 빠져나가는 것을 보면 실망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증거가 부정확해 사건을 흐린다”고 밝혔다. 또한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불법자재 제조·유통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건축안전모니터링을 통한 시험결과를 국표원 시판품조사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라며 “이를 통해 처벌을 회피하기 위한 시간을 주지 않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국표원의 관계자는 “현재 시판품조사는 KS인증제품의 사후관리를 위해 정기심사 외에도 이슈·민원사항이 발생한 제품에 대해 불시 점검하는 1년심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단열재 역시 검토대상”이라며 “국토부 건축안전모니터링의 자료를 시판품조사에서 그대로 활용하려면 산업안전법 및 하위법령 개정을 비롯해 조사원 자격·구성, 조사프로세스 등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진 두 제도를 연계할 수 있도록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판품조사기관의 한 관계자는 “품목마다 특성·내용이 달라 엄격한 검증·자료조사가 필요하며 음해성 민원이 적지 않음을 감안하면 다소 보수적으로 보이더라도 조심해서 진행할 수밖에 없다”라며 “이 사안에 대해 현재로는 법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기준과 모니터링 제도는 없다”고 밝혔다.
LH는 지난 8일 본사·지역본부 본부장급 간부 전원이 참석한 긴급 확대간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7일 발표된 정부의 LH 혁신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한 세부 실천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회의 진행에 앞서 김현준 LH 사장은 “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등 불미스러운 일로 국민 여러분께 큰 실망과 심려를 끼쳐드린데 대해 다시 한번 사죄드린다”라며 “정부에서 발표한 혁신방안에 따라 LH를 혁신해서 LH가 국민이 신뢰하는 공정하고 투명한 조직으로 탈바꿈하도록 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내부통제시스템을 강화하고 조직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한편, 주택공급, 주거복지, 2.4 대책 추진 등 LH 본연의 업무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LH는 엄중한 상황인식 하에 LH 혁신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혁신과제별 이행계획을 조기에 수립해 속도감 있게 이행할 방침이다. 먼저 LH 혁신방안 이행 전담조직을 구성해 내부 통제장치 구축, 경영관리 강화 등 혁신과제별 세부 이행 로드맵을 수립하고 정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혁신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지난 5월7일 출범한 LH 혁신위원회(위원장 김준기) 운영에도 박차를 가해 강도 높은 자체 쇄신도 병행할 계획이다. 그간 두 차례 위원회를 개최해 투기재발방지 등 내부통제 강화, 매입임대 업무 공정성·투명성 강화, 입찰·심사 관련 전관예우, 갑질근절 등 자체 경영혁신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앞으로도 매월 1회 이상 정기회의를 개최해 사업단위 부문별로 촘촘한 리스크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등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고 실효성 있는 쇄신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LH 본사 본부장과 전국의 지역·특별본부장이 참석해 본부별 현안사항을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LH는 혁신방안 후속조치를 이행하면서 2.4 주택공급 대책,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 주택공급과 주거복지를 흔들림 없이 수행하기 위해 기능과 조직을 개편하고 주요 현안을 상시 점검·관리해 정책사업 수행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부동산 취득제한 위반으로 검찰기소시 직권면직하는 등 처벌규정을 강화하고 건축설계공모 및 매입임대 주택매입 심의시 외부위원을 대폭 확대하는 등 사업과정에서 투명성 확보와 내부 자정 노력을 위한 다양한 방안도 논의했다. 김현준 LH 사장은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직을 정비하고 LH가 본연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LH는 매월 정기회의를 개최해 혁신방안 이행현황을 점검하고 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대국민 보고 형식으로 변화과정을 공개할 방침이다.
탄소중립 실현방안 중 하나인 수열에너지 확산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환경부, 강원도, K-water, 춘천시 등은 6월9일 공동으로 ‘2021 수열에너지 산업화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이며 부제는 ‘한국판 그린뉴딜, 물에서 답을 찾다’였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참석규모는 최소한으로 줄였으며 실시간 생중계를 병행해 일반시민도 시청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포럼에는 △홍정기 환경부 차관 △김명중 강원도 경제부지사 △허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전진표 춘천시 부시장 △박재현 K-water 사장 △고광헌 서울신문사 사장 △김성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기술PD단 단장 △오세신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강용태 고려대 교수 △김시헌 안양대 교수 △최종민 한밭대 교수 △이남수 LG전자 책임연구원 △김병훈 코리아카본뱅크 대표 등이 참석했다. 포럼은 △개회사 △환영사 △축사 △강원도 수열클러스터 홍보 동영상 시청 △주제발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수열에너지는 탄소중립의 아주 중요한 요소로 저탄소경제 구조로의 전환을 위해 확대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라며 “환경부는 친환경 재생에너지원인 수열에너지 확산을 위해 강원 수열 클러스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홍수통제소 등 공공시설에 수열에너지 공급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강원 수열 클러스터 시범사업을 통해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조성하고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냉난방에너지의 70%를 수열에너지로 충당할 전망”이라며 “이와 함께 수상태양광, 소수력 등과 융복합해 재생에너지 효율을 제고하고 RE100을 실현함으로써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국에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댐을 중심으로 권역별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명중 강원도 경제부지사는 “강원도는 2,000만 수도권 시민에 공급되는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2중, 3중의 규제를 받아왔다”라며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지역경제 발전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수열에너지의 경제성이 부각되면서 애물단지였던 강원도의 수자원이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라며 “강원도는 환경부, K-water, 춘천시와 함께 수열 클러스터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수열에너지를 선도해 2050 탄소중립 실현에 중추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허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춘천시는 물의 도시로 수도권 물공급의 근원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군사시설, 산림자원 등을 통해 각종 규제에 시달려왔다”라며 “춘천은 소양호, 춘천호, 의암호 등 인공호수로 둘러쌓여 호반의 도시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는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돼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수열에너지를 통해 대전환의 계기를 맞이했으며 소양댐의 심층수는 이러한 걸림돌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며 이러한 강원도의 사례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산업화돼 탄소중립이라는 대전환의 계기를 앞당기는 역할이 되길 바란다”라며 “강원도는 석탄을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일궜으나 이제는 물을 통해 제2의 기적을 일궈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재현 K-water 사장은 “탄소중립시대가 도래하면서 물을 중심으로 사회전환이 빨라지고 있다”라며 “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에너지를 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며 수열에너지의 활성화는 중요한 과제로 이를 위해 사회 각층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K-water는 수열에너지의 민간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K-water는 더 많은 노력을 수행하겠다”라며 “현재 추진 중인 수열에너지 보급계획을 잘 추진해 탄소중립 최고의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제발표는 △친환경 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송용권 환경부 물산업협력과장)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 현황(김경구 강원도 데이터산업과장) △수열에너지 소개 및 사업현황(김광렬 K-water 수열에너지사업부장) △수열에너지와 재생열공급 모델수립전략(최종민 한밭대 교수) △수열설비기술과 히트펌프 개발현황(이남수 LG전자 책임연구원) △수열에너지 산업화와 그린뉴딜 펀딩(김병훈 코리아카본뱅크 대표) 등이 진행됐다. 환경부, 댐중심 수열E 거점 전국 확산 추진송용권 환경부 물산업협력과장은 ‘친환경 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 발표를 통해 환경부의 수열에너지 보급 확산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환경부는 지난 2019년 신재생에너지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하천수가 신재생에너지인 수열에너지에 포함됨에 따라 수열에너지 확산 전환기가 마련됐으며 재생에너지 공급목표 확대가 추짐됨에 따라 수열에너지 보급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강원 수열 클러스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하천수, 광역원수, 댐용수 등 열원별 시범·선도사업을 발굴·추진해 수열에너지의 효과검증 및 사업확산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열에너지 핵심기술인 히트펌프, 열교환기, 운영시스템 등 성능개선과 국산화 등을 위한 국가 R&D에 착수했다. 특히 하천수를 포함하는 수열에너지 설비기준을 지난해 3월 개정하고 지난 3월에는 수열에너지 확산에 장애가 되는 물이용부담금 및 하천수 사용료 등 감면을 추진했다. 송용권 과장은 “환경부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강원 수열 클러스터 시범사업을 2027년까지 준공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물에너지기업 집적단지 조성사업은 2024년 착공을 목표로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물에너지기업 집적단지는 강원 수열 클러스터 내 수열, 지열, 수력 등 물-에너지 기반 신산업화를 위한 집적단지로 6만2,000m² 규모 부지에 1,000억원의 국비가 투자된다. 또한 수열에너지 활용 성과확산을 위해 대형건축물,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열에너지 사업비를 지원하는 보급·시범사업을 추진한다. 건물지원사업은 한강물환경연구소 등 도입단계 후속으로 삼성서울병원 등 민간 대형건물을 대상으로 수열에너지 보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지원사업은 강원 수열 클러스터 시범사업 후속으로 지역거점 산업단지, 신도시 등의 단지를 대상으로 수열에너지 보급을 확산한다. 송 과장은 “대형건축물 등 공공·민간분야 수요 및 데이터센터 등 관련산업 성장을 고려한 중장기 수열에너지 적용사업을 지속 발굴·추진할 계획”이라며 “권역별 댐 심층수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국 정수장에 타당성 검토 후 단계적으로 수열에너지를 도입하고 건축물, 지역사업 신규수요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수열에너지를 확산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물-에너지에 특화된 홍보관을 건립해 수열에너지에 대한 국민인지도를 제고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활용확산을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수열에너지를 포함하고 안정적인 사업확산을 위해 매뉴얼 등 기준마련을 추진한다. 또한 보급·시범사업 활성화를 위해 물산업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시범사업 수요조사·컨설팅, 보급·지원 역할을 수행한다. 송용권 과장은 “수열에너지 2GW 개발 시 연간 2,138GWh 에너지를 절감하고 54만7,000톤의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강원도, 세계 최초 퀀텀 데이터시티 조성 추진김경구 강원도 데이터산업과장은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 현황’을 발표했다. 강원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시범사업은 춘천시 동면 지내리 일대 농지 약 78만5,000m² 규모 부지에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클라우드 비즈니스 플랫폼 융합단지 K-Cloud Park △수열기반 스마트 첨단농업단지 K-water Energy Park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강원도는 연중 7~8℃인 소양강댐의 온도차를 이용해 수열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김경구 데이터산업과장은 “이번 사업은 4차 산업혁명 모델도시를 구현하는 것으로 춘천을 빅데이터 산업수도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와 함께 데이터센터에서 승온된 물을 스마트팜 첨단농업단지로 보내 열을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업을 통해 고품질 일자리 창출 및 지역산업구조 선진화가 기대되며 수열에너지 신산업화 거점조성으로 한국판 그린뉴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며 “5,517개의 신규일자리가 창출되고 연간 220억원의 지방세 세수가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최근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데이터센터는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수열에너지와 함께 수상태양광, 소수력, 연료전지, 나무식재 등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바이오가스 등 재생에너지 효율 제고를 통해 RE100을 실현할 계획이다. 김경구 과장은 “이번 사업에서 강원도는 퀀텀 데이터시티, 온도차발전, 수열원에너지 네트워크 등 차별화 전략을 추진해 원천기술과 국제표준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이중 퀀텀 데이터시티는 10년 후 양자기술 상용화에 발맞춰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최초 퀀텀 데이터시티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추진돼야 할 것은 수열에너지 사용료 징수를 위한 법적근거를 확보하는 것으로 징수주체, 명목, 기준 등이 마련돼야 한다”라며 “K-water는 투자비 회수와 수열에너지 이용자를 고려한 합리적인 요금을 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열에너지 활용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주거 및 상업시설에 대한 수열에너지 공급을 이행해야 하지만 법적 근거가 없어 강원도는 관련법률 신설 또는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현행법 상 수열에너지는 히트펌프를 이용해야만 신재생에너지로 인정받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경우 열교환기만 사용해도 수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어 관련 시행령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K-water, 수열E 확산 박차김광렬 K-water 수열에너지사업부장은 ‘수열에너지 소개 및 사업현황’을 발표했다. K-water는 1973년 수력발전을 시작으로 2006년 수열에너지, 2018년 수상태양광 등 다양한 물에너지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총 1,365MW의 발전설비를 구축해 국가 신재생에너지 1위기업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수열에너지는 여름철 수온이 대기보다 낮고 겨울철 높은 특성을 활용해 물을 열원으로 히트펌프를 통해 냉난방하는 시스템으로 특히 난방 시 효율이 우수하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중 25%가 건축물에서 발생되며 이는 대부분 냉난방기기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65%가 건축물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30년까지 공공건축물 연간 사용에너지의 40%를 신재생에너지로 의무공급토록 했으며 지난 2020년 1월부터는 연면적 1,000m² 이상 공공건축물의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이 의무화됐다. 김광렬 수열에너지사업부장은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수열에너지가 가장 적합하며 지열, 태양광 등 생산량에 따른 에너지원별 의무비율을 비교할 경우 30% 이상 의무비율을 충당할 수 있다”라며 “에너지 측면에서의 장점뿐만 아니라 백연현상 제거, 열섬효과 완화, 건물하중 감소 등의 부가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캐나다, 일본, 미국, 프랑스 등에서는 다양한 열원의 수열을 이용해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다”라며 “K-water에서도 수열에너지 활용을 위해 강원 수열 클러스터, 부산EDC 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EDC는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스마트빌리지에 150RT급 수열에너지를 공급한다. 수열원으로는 낙동강 하천수를 선정했으며 오는 12월 준공 예정이다. 이와 함께 K-water는 △한강홍수통제소 △삼성서울병원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세종시 장영실고등학교 △물에너지 종합홍보관 등 수열에너지 확산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광렬 부장은 “K-water는 수열에너지사업 확대기반 마련을 위해 수공법 개정을 추진했다”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됐으며 수열에너지 범위를 하천수까지 확대하도록 신재생에너지법 개정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해수 및 정수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실증 등 중장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해수의 경우 안정성, 염분으로 인한 부식 등을 고려해야 하고 정수의 경우 열교환기를 거치는 정수에 대한 수용가의 불안감 해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RHO·RHI 도입 통한 신재생열E 확산 필요최종민 한밭대 교수는 ‘수열에너지와 재생열공급 모델수립전략’ 발표를 통해 수열에너지 확산에 대해 설명했다. 최종민 교수는 “수열에너지는 하천을 끌어오는 원수관의 물을 히트펌프를 통해 생산돼 건축물의 냉난방, 데이터센터의 냉방을 담당할 수 있다”라며 “정부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고 하면 국민은 비용 및 불편에 대한 부담을 느끼기 쉽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수열에너지 활용은 냉난방 비용 절감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바로 체감할 수 있다”라며 “태양광, 풍력 등은 온앤오프시스템으로 날씨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필요할 때 사용하기 어렵지만 수열에너지는 온앤온시스템으로 생태적 한계가 없어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에너지공급부문 용도별 전력수요 중 산업용은 점차 하락하는 것에 비해 건물용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건물에서 사용하는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건물부문이 간접배출하는 온실가스 양은 전체 배출량의 2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부문 전력사용의 대부분은 냉난방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수열에너지는 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종민 교수는 “에너지효율 개선은 기본적인 생활권과 에너지복지와 관련돼 있으며 2050 탄소중립 비전에는 에너지비용 합리화와 밀접하다”라며 “탄소중립을 위해 진행 중인 대표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EE사업,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는 현재 단열, 기밀 등 패시브 방식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나 한계가 있으며 액티브요소 적용이 필수”라며 “이와 함께 건물에 최적화된 냉난방, 급탕 공급이 가능한 신재생열에너지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으로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HO)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HO는 지난 2016년 시행이 좌절된바 있다. 이는 전기와 딜리 열에너지의 정확한 생산량, 소비량에 대한 측정이 어렵고 측정에 다양한 변수가 존재해 수치에 대한 신뢰도가 낮기 때문이었다. 최종민 교수는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신재생열에너지에 대한 생산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EE사업을 통해 열생산설비에 대한 개체지원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RHO,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인센티브제도(RHI) 등의 도입이 이뤄져야 신재생열에너지 확산이 속도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열E 핵심, 히트펌프 국산화이남수 LG전자 책임연구원은 ‘수열설비기술과 히트펌프 개발현황’ 발표를 통해 LG전자에서 개발하고 있는 무급유 히트펌프에 대해 소개했다. LG전자는 ‘수열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에 참여해 수열원 히트펌프 개발을 수행 중이다. 이남수 책임연구원은 “LG전자는 수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통해 냉난방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열원 무급유 히트펌프를 개발하고 있으며 연간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2Comp로 설계하고 있다”라며 “이와 함께 인버터를 장착해 냉난방 부하가 서로 다른 상황을 대응코자 설계했으며 현재 사업 2차연도로 부품은 제작이 완료돼 200RT급으로 시스템을 구성해 연내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년에는 500RT급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실증하고 4차연도에는 실증사이트에서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개발될 히트펌프의 연간 운전비는 냉방기준 약 36%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LG전자가 개발 중인 히트펌프에는 자기베어링이 적용된다. 자기베어링은 전자기력을 이용해 축을 제어하는 것으로 만약 전기공급이 차단될 경우 자기베어링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온라인 UPS를 적용해 전기차단 시에도 축이 정지될 때까지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남수 책임연구원은 “LG전자의 목표는 COP 5.2 달성으로 부품공급에 있어서는 국내 중소기업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라며 “LG전자는 기술국산화를 통해 중소기업과 상생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재생E, 경제성 보완 필수 김병훈 카본코리아뱅크 대표는 ‘혁신성장을 위한 한국형 뉴딜의 역할’ 발표를 진행했다. 김병훈 대표는 “카본코리아는 해수온도차 발전에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해수온도차 발전은 연중 4℃를 유지하는 심층수를 이용해 발전하는 것으로 표층수의 열로 비점이 낮은 액체를 기화시켜 터빈을 돌리고 사용된 기체는 다시 심층수로 보내 액화시키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이어 “바다에 순환계통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투자비가 높고 해수를 견뎌야 한다”라며 “실증을 마쳤음에도 경제성이 낮아 산업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혁신금융 또는 기술금융을 통해 해수온도차 발전을 비롯해 경제성이 낮은 신재생에너지를 재구조화해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 한국형 그린뉴딜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수열E 확산 제도·정책기반 마련 시급주제발표 이후 진행된 종합토론은 강용태 고려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오세신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김성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기술PD단 단장 △김시헌 안양대 교수 △최등호 K-water 녹색전환추진단장 △김경구 강원도 데이터산업부장 △최종민 한밭대 교수 △이남수 LG전자 책임연구원 △김병훈 카본코리아뱅크 대표 등이 참여했다. 오세신 연구위원은 “현재까지 전력, 수송부문보다 건물부문은 탈탄소 노력이 미흡했으며 수열에너지 확산은 탄소중립 실현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수열에너지를 생산하는 히트펌프는 오래된 기술임에도 우리나라의 주거환경, 비용, 정부의 관심부재 등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이어 “냉난방부문에서 히트펌프는 효율적, 효과적 수단이기 때문에 정책반영이 필요하며 수열에너지를 많이 소비할 수 있는 소비처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수요처를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집단에너지와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성수 단장은 “정부의 에너지정책은 주로 공급위주의 정책으로 대규모 시설에 대한 수용성은 밀양사태 이후 거의 없다”라며 “이에 따라 분산에너지 형태를 갖춰야 하며 건물부문 최종에너지 소비형태가 열임을 감안하면 전력을 통해 열을 생산할 것이 아니라 열은 열로써 공급해야 효율이 우수하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의 궁극적 내용은 전기화이지만 재생에너지는 간헐성,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저장이 필수조건으로 전력소비량을 줄이는 것이 탄소중립에 필수”라며 “RHO 등 신재생열에너지 입법이 신속이 이뤄져야 시장이 형성되고 기업이 참여해 국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므로 관련제도가 빠르게 마련돼 시장창출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시헌 교수는 “수열에너지는 공공부문의 노력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공공부문에서 진행하다보니 예산, 예비타당성 등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라며 “당장 적용가능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개발해야 하지만 강원 수열 클러스터의 경우 2027년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온실가스 감축이 단순히 구호가 아닌 실행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산업화를 진행하는 것이 시급하며 유출지하수 등 더 많은 에너지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라며 “서울시는 다양하고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에너지원이 가깝다는 것은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선제적인 활용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등호 단장은 “수열에너지는 수자원의 가치를 재창출하는 재생에너지로 K-water는 수열에너지 보급확산을 위한 기반마련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라며 “수열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서는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먼저 국내 개발사례가 부족하고 초기투자비가 높아 수요처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수요처의 성능에 대한 의구심 의혹도 극복해야 한다”라며 “정부나 공공기관 산·학·연 관계기관이 제도적, 기술적으로 내실있는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단장은 또한 “K-water가 수열에너지 확산의 중심이 돼 수열에너지 컨설팅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시설위탁, 데이터관리 등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겠다”라며 “또한 제로에너지건축물에 수열에너지가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요금제도 마련을 통해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우리나라 수열에너지는 현재 초기단계로 풍력, 태양광과 달리 별다른 환경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라며 “온배수 하천배출에 따른 환경문제를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법령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년에는 수열에너지 확산을 위해 민간 건물형, 지역형 수열에너지사업에 지원해 초기투자비를 보조할 것”이라며 “신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가 마련된다면 수열에너지 확산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전망이다”라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물류센터를 새로 짓거나 기존 물류센터를 첨단화할 경우 사업비를 2%p 낮게 대출받을 수 있다.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스마트물류센터에 대한 민간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별로 최대 1,500억원까지 7년간 이자비용을 지원하는 이차보전 사업(2021년 예산 103억원)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차보전 지원은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또는 예비인증을 받은 물류사업자를 대상으로 스마트물류센터를 신축, 리모델링하거나 매일할 때 또는 물류센터 내 시설을 첨단화하는데 필요한 자금(이하 시설자금)이나 스마트물류센터 운영에 필요한 자금(이하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스마트물류센터 구축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지원하면서도 특정 기업이나 사업에 혜택이 집중되지 않도록 기업별, 규모별로 최대 1,500억원의 지원 한도를 둔다. 이차보전 지원금리는 최대 2%p까지 스마트물류센터인증 등급 및 기업규모에 따라 결정된다. 기업별 이차보전 지원 대출한도 면적별 이차보전 지원 대출한도 자금 구분 지원 대출한도 인증 물류센터 연면적 지원 대출한도 시설자금 기업별 1,500억원 70,000m2 이상 1,500억원 35,000m2 이상~70,000m2 미만 1,000억원 운영자금 기업별 100억원 35,000m2 미만 500억원 인증등급 중소기업 중견기업 계열대기업 등 1등급 2.00%p 1.75%p 1.50%p 2등급 1.75%p 1.50%p 1.25%p 3등급 1.50%p 1.25%p 1.00%p 4등급 1.25%p 1.00%p 0.75%p 5등급 1.00%p 0.75%p 0.50%p ▲용도별, 면적별, 규모별 이차보전 지원대출 한도. 대출기간도 시설자금은 7년 이내(거치 2년 이내, 연4회 원금균등분할상환), 운영자금은 2년 이내(만기 일시상환)로 설정된다. 2021년 지원예산을 고려할 때 올해 약 1조원 이상 대출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예산상황에 따라 ‘물류정책기본법’에 따른 물류사업자 외에도 대상자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이차보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스마트물류센터 인증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을 받은 뒤 교통연구원에서 발급하는 인증서·예비인증서 및 이차보전 지원 확인서를 첨부해 한국산업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개 취급은행에서 대출심사를 받으면 된다. 교통연구원은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신청을 홈페이지(celc.koti.re.kr, 알림마당→심사공지)를 통해 5월10일부터 상시접수받고 있다. 이차보전 지원을 받게 되면 해당기업은 은행에서 산정한 대출금리에서 정부의 이차보전 지원금리를 감한 실제 부담금리에 해당하는 이자액만 대출은행에 납부하면 된다. 이차보전 지원혜택을 받게 된 기업들은 △대출승인 후 6개월 이내에 공사, 매매, 장비 구입계약 등 관련 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은행에 제출 △예비인증을 받아 지원을 받은 경우 건축법상 사용 승인 후 1년 이내 본인증을 신청 △대출상환 시점까지 인증을 유지 등 의무가 생긴다. 이와 같은 의무를 준수하지 않거나 목적 외로 자금을 사용한 경우 지원금은 환수되며 이외에도 △지원대상이 아니게 된 경우 △인증 물류센터를 매각‧양도한 경우 △인증등급이 2등급 이상 하락한 경우 △인증 물류센터의 연면적이 현저히 감소한 경우 등은 관련 규정에 따라 이차보전 지원이 중단될 수 있다. 이차보전 지원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 뉴스·소식→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송천 국토부 첨단물류과장은 “우리 물류산업이 첨단화, 자동화를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정부에서도 민간의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기존건축물과 신규건축물 등 건축물의 특성을 반영한 그린리모델링 및 제로에너지건축물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제를 담아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2050 탄소중립’은 최근 주요 국가들이 앞다퉈 선언하며 역량을 쏟는 글로벌 쟁점으로 파리협정 이행의 첫해인 올해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연대의 가속화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해 12월 탄소중립 선언에 앞서 EU(2019년 12월)‧중국(2020년 9월)‧일본(2020년 10월) 등이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미국은 지난해 7월 발표한 대통령 공약 사항으로 이행 중이다. 정부는 한국판뉴딜 발표(2020년 7월), 2050 탄소중립 비전 선언(2020년 12월) 등을 통해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현재 2050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중 건물부문은 지난해 12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갱신안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14.4%를 감축한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세부 정책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및 정부의 적극적 정책 변화에 맞춰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녹색건축을 사회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 이번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 정부는 이번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에서 녹색건축을 위한 핵심 정책 수단인 그린리모델링사업 확대(기축)와 제로에너지건축물 보급(신축) 등을 중심으로 4개 전략, 8개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기존건축물의 경우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다각도의 지원사업을 추진해 에너지 성능향상 및 효율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규 건축물의 경우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이 보다 조기에 확산되고 2025년 민간의무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정책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공건물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도입먼저 지난해부터 한국판뉴딜로 추진 중인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의 지속적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국토부는 관계부처와의 협업으로 2020년부터 2년간 추진해 온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성과, 지역수요 및 국민니즈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2022년 이후의 구체적 사업계획을 검토한다. 현재 정부는 2020년 추경예산, 2021년 본예산 등 4,552억원을 활용해 2개년 간 총 2,000여동의 국공립 어린이집, 보건소 및 의료시설 대상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중장기과제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의 자발적 확산을 위한 민자유치 방안 검토 등 새로운 유형의 사업모델 발굴도 적극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공공부문 그린리모델링 지원정책과 병행해 보다 안정적이고 적극적인 그린리모델링 시행 유도를 위해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제도를 도입한다. 2024년까지는 그린리모델링 의무화 대상선정을 위한 합리적 평가체계 개발, 법령정비 등 관련 제도적‧기술적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며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면 에너지성능이 미흡하거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공공건축물 등을 중심으로 그린리모델링의 성과가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민간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많은 국민들의 호응 속에 지속적으로 성장해온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사업’의 경우 지원기준 완화, 지원규모 상향, 지원방식 다각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간다. 공공성을 갖춘 민간건축물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인센티브 마련 등 신규 사업모델 발굴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그린리모델링 관련 인재육성, 산·학·연 협력체계 구성과 대국민 인식개선을 통해 그린리모델링의 양적‧질적 확대를 이끈다. 젊은 인재들에게 그린리모델링 관련업무를 체험하는 일자리사업과 우수사업자에 대한 홍보 등 기존 그린리모델링 사업자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시장수용성과 사업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에너지성능정보 공개의무화 제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간다. 특히 중장기적으로는 매매‧임대 등 부동산 거래 시 해당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정보 확인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린리모델링 관련 산·학·연 협력체계 구성, 그린리모델링 센터 신규 지정 및 대국민 홍보활동을 확대해 그린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위한 저변을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 공공 ZEB의무화 로드맵 강화ZEB 성능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공공부문에서 선도해 ZEB 등급을 단계적으로 상향한다. ZEB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기 위해 2019년 6월 ZEB 로드맵을 수립했고 이후 소규모 공공건축물(500㎡ 이상)은 ‘한국판 뉴딜’에 따라 당초 2025년에서 2023년으로 앞당겨 의무화하기로 수정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방안은 공공부문이 민간부문을 보다 적극적으로 선도하기 위해 현재 로드맵을 한번 더 강화해 2025년부터 ZEB 4등급, 2030년부터 ZEB 3등급으로 공공부문 성능을 상향하는 내용이다. 또한 ZEB를 지구·도시 단위로 확대하는 ZEB 특화도시를 행복도시 내 신규 발굴한다. 건축물로 한정돼 있는 ZEB의 개념을 보다 확장해 지구·도시 단위로 적용하기 위해 현재 수원당수 2지구(에너지자립률 50% 이상), 성남복정지구(에너지자립률 20% 이상) 등 다양한 시범지구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는 기존 시범사업 수준을 뛰어넘어 ZEB 특화지구 선도 모델로써 지구 단위 최초 제로에너지 1등급 수준(에너지자립률 100% 이상)을 목표로 행복도시 6-2 생활권역 내 일부 지구를 에너지 특화지구로 지정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ZEB인증 시 혜택(인센티브)을 강화하고 인증제도를 효율화하는 등 민간 의무화를 대비해 제도를 개선한다. ZEB인증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인증 시 적용되는 용적률과 건물높이 제한완화 규정을 현행 최대 15%에서 최대 20%로 상향하고 BEMS(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등 ZEB 핵심 인프라 설치비용을 확대 지원하며 건설업체 참여 유도를 위해 공공건축사업 입찰 시 ZEB인증 실적을 가점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ZEB 의무화로 인한 인증수요 확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운영하고 있는 에너지소비총량제를 활용해 ZEB 최소 인정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건축주는 인센티브를 적용받기 위해 인증평가를 받거나 간소화된 ZEB 인정기준을 통해 확인받는 방법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ZEB인증과 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통합하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을 ZEB인증 평가 시 추가 반영하는 등 인증제도의 미비점 및 불편사항을 적극 해소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ZEB 확산을 위해 인증편의성을 제고하고 정책 공감대를 확산해 수요자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한다. 수요자가 직접 접근가능한 종합상담 창구를 운영하고 저비용 최적화 설계가 가능하도록 컨설팅을 지원하며 원-스톱 인증통합시스템을 통해 인증편의를 제고하는 등 패키지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ZEB인증기관을 기존 1개에서 9개로 확대 지정한다. 인증제도 간 연관성과 제도 간 통합 계획을 고려해 현 에너지효율등급 인증기관을 ZEB 인증기관으로 우선 지정할 계획이다. ZEB 건축 시 발생하는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최적공사비 예측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건축물 별로 맞춤형 저비용 ZEB 설계를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화 효과 및 비용 증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언택트 문화확산을 고려해 온라인 홍보를 강화하고 ZEB 전문인력 교육과 일자리 매칭을 지원하는 등 ZEB 확산 및 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노형욱 국토부장관은 “탄소중립은 미래 달성해야 할 목표가 아니라 지금 당면한 현안 과제로서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공감이 필요하다”라며 “이번 방안으로 그린리모델링과 제로에너지건축물사업이 본격화돼 온실가스감축, 일자리창출 및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국토부는 그린리모델링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정책을 포함해 탄소중립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관계부처와의 적극적 협업을 통해 보다 많은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탄소중립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기계설비산업을 선도하는 토탈엔지니어링 전문기업인 한일엠이씨(회장 최상홍)가 6월4일 창립 55주년을 맞아 그동안 걸어온 시간들을 뒤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일엠이씨의 창립 55주년 기념식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위해 임직원 가족 등만 초청한 사내 행사로 치러졌다. 정부의 방역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필수인원을 제외한 대부분 임직원들은 각자 자리에서 온라인을 통해 기념식 행사를 지켜봤다. 한일엠이씨를 설립한 최상홍 회장은 대한설비공학회 8대 회장을 수행하며 관련 5개 단체를 한데 모아 결속시킨 일은 향후 기계설비법이 제정됨으로써 기계설비가 우리나라 산업의 중심에 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최상홍 회장은 그동안 사비를 들여 국내 기계설비업계의 발전과 우수인재를 발굴하고 한일엠이씨가 업계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사재를 출연해왔다. 대한설비공학회에 최상홍 인재상을 만들어 상금을 출원, 1996년부터 2020년까지 118명에게 수여했으며 모교인 서울대에는 1987년부터 기계공학과 공대교육연구재단 등에 발전기금을 출연했다. 또한 서울대에 최상홍 장학금 출연해 2013년부터 공과대 기계과, 건축과 29명 학생에게 한 학기 등록금을 전액 지원한 바 있다. 55주년을 맞이한 한일엠이씨의 또 한번의 도약을 위해 창립자로서 사내 인재의 기술발전과 학업연장을 위해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인재육성지원제도를 공표하고 임직원들을 우수한 인재로 양성하는 데 사재를 출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임직원 인재양성제도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은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지원 장학금 △학사편입 지원 장학금 △선진 기술·건축물 견학 및 실무연수 지원 △임원이 아닌 젊은 우수인재의 회사주식 매입기회 제공 △고과평가 우수자 포상금 지급 등이다. 최상홍 회장은 이날 기념식에서 “창립자가 55주년 행사자리에 서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영광스럽고 감격스럽다”라며 “여러분이 염려해주신 덕분에 이 자리에 설 수 있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55년 전 한일엠이씨가 창립할 당시 태어난 사람이 이제는 우리회사의 장기근속자로 근무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기근속자들은 한일엠이씨의 커다란 힘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한일엠이씨가 오늘날까지 성장할 수 있었던 데에는 어려운 시기마다 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운도 많이 따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라며 “설계·시공을 한번에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미리 갖춰뒀기 때문에 이러한 일들을 겪으며 재정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최 회장은 “한일엠이씨가 대한민국 최고의 엔지니어링 기업으로 인정받게 한 주역인 정차수 대표이사를 부회장으로 올려 한일엠이씨의 기술과 미래발전을 전담토록 할 것”이라며 “후임 총괄사장으로 이수연 사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해 선진적 전문경영인 체제 하에서 한일엠이씨를 지속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정차수 부회장과 이수연 대표의 이·취임식은 7월1일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축소된 규모로 진행된 만큼 △55주년 기념영상 시청 △내빈 축사 △감사패 전달 △장기근속상 시상 등의 내용으로 간략히 진행됐다. 정차수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5년전 외부행사로 당당하게 진행했던 50주년 행사는 대내·외적으로 한일엠이씨를 세계제일, 장수기업으로 알리는 데 충분했다”라며 “올해 55주년은 60주년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결산의 날로 지난 5년을 뒤돌아보고 더 나은 내일을 위한 회복과 충전을 위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5년 기술적·인적 투자를 꾸준히 해온 결과 어려운 경제환경에서도 데이터센터 영역의 전 과정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회사로 우뚝 설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양동일 동문회장은 내빈 축사에서 “외부에서 보는 한일엠이씨는 대단하다”라며 “설비설계분야에서 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지금 후배여러분들은 회사에 대한 자긍심을 가져도 좋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도 30년 후 생존율은 50%밖에 안 되는데 한일엠이씨는 창립 55주년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있을 60주년, 70주년, 그 이상의 역사를 써내려가길 기대하며 회장님과 함께하고 있는 임직원 여러분께 거듭된 축하를 전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상홍 회장의 기계설비산업 발전공로를 기려 흉상을 제작 기부한 양창덕 삼양발브 회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양창덕 회장은 “최상홍 회장은 기계설비 불모지였던 한국에 독일의 선진기술을 전파한 역사의 산 증인이며 국내 기계설비산업의 기틀을 마련했기에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흉상을 전달했다”라며 “한일엠이씨의 55주년을 축하하며 앞으로도 많은 성공을 거두기를 기원한다”고 화답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일엠이씨에서 5년, 10년, 20년, 25년 장기근속자들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회사발전 기여에 대한 공로를 치하하며 포상을 전달했다. 25년 장기근속상을 수상한 이성구 사업부장은 “한일엠이씨에 몸담은 지 벌써 25년이 지났다”라며 “25년간 잘해왔는지는 감히 스스로 평가할 수 없겠지만 그동안 최선을 다해 열심히 해왔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회사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SK건설이 ‘SK에코플랜트(SK ecoplant)’로 사명을 바꾸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선도하는 ‘아시아 대표 환경기업’이 되기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SK건설은 지난 5월24일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딥 체인지 스토리(Deep Change Story)’ 영상을 통해 SK에코플랜트로 사명 변경을 확정하고 새로운 CI(Corporate Identity)와 미래 비전을 선포했다고 밝혔다. 신규 사명은 지난 5월21일 개최한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최종 승인됐다. SK에코플랜트는 친환경을 의미하는 ‘에코(Eco)’에, 심는다는 의미의 ‘플랜트(Plant)’를 합성한 용어로, ‘지구를 위한 친환경 아이디어와 혁신 기술을 심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SK건설은 건설업을 넘어 새로운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구를 지키는 환경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명 변경을 추진해왔다. 무엇보다 ‘진정성’을 갖고 지구가 처한 환경문제를 직시하며 ‘연결 리더십’을 통한 집단지성의 힘을 발휘해 가장 효과적이고 큰 ‘임팩트’를 만들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자 고민했다. 먼저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금지, 마스크·일회용품 사용 급증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각종 환경문제가 갈수록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는 전망에 주목했다. 환경문제는 생산에서 유통, 그리고 소비 후 폐기로 이어지는 기존 단방향의 선형경제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며 에너지와 자원의 흐름이 단절되지 않도록 순환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ICT, 바이오분야와 달리 환경분야에서는 혁신 기술을 찾기 어려우며 실제 사업과 접목해 검증해볼 수 있는 기회도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선진국들이 과거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며 산업 선진화를 이뤘으며 이제는 환경 보호를 위한 여력을 갖춘 반면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은 경제 성장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는 사실도 인지했다. SK에코플랜트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순환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ESG를 기업 경영의 새로운 핵심 가치로 삼고 친환경·신에너지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친환경사업은 지난해 인수한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를 앵커(Anchor)로 활용하며 수처리를 포함한 소각·매립분야 등 다운스트림사업을 선도하고 볼트온(Bolt-on) 전략에 따라 기술혁신기업 M&A와 산업단지 신규 개발 등을 검토한다. 친환경 기술에 AI, DT(Digital Transformation)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며 건축자재들도 친환경적인 생산방식을 최대한 적용한다. 폐기물 처리에 있어 분류, 수거 등 업스트림분야도 중요하기 때문에 폐기물의 3R(Reduce, Reuse, Recycle)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지자체들과의 협력관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신에너지사업은 수소연료전지사업, RE100사업, 해상풍력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가속화하고 그룹의 탄소중립(Net Zero) 실현에 기여할 방침이다. 더 나아가 국내에서 축적된 기술과 역량을 기반으로 아시아 거점국가의 현지 환경기업들을 인수하고 밸류체인을 구축해 아시아 전역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3년까지 총 3조원을 투자해 친환경 신사업 개발과 기술혁신기업과의 M&A를 추진한다. 또한 이사회 중심의 투명 경영과 공정거래 자율준수를 실천하고 SK 멤버사, 비즈파트너, 금융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사업초기부터 하나의 팀으로 협력하는 오또(OTO: One Team Operation) 플랫폼을 구축해 소통 강화에 나선다. 안재현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새로운 사명과 함께 앞으로 지구를 위한 친환경 아이디어와 혁신 기술들을 진정성 있게 심어나갈 계획”이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연결 리더십을 발휘해 ESG를 선도하는 아시아 대표 환경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임팩트 있는 솔루션을 찾아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