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서울시가 미국의 LEED ND를 도입하려고 발표했던 서울형 LEED인 LEED ND SEOUL(가칭)가 제도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숨고르기에 들어감에 따라 실행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제도 도입에 앞서 정책 고도화, 미국 USGBC(미국그린빌딩협회)와의 추가협의, 정책화 시기조율 등과 맞물려 세부내용을 가다듬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형 LEED ND는 서울시가 계획하고 있는 국내 최초 지역단위 도시개발에 대한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제도다. 이 제도는 블록이나 지역 차원의 종합적인 친환경 계획수립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도입이 추진됐다. 서울시는 도입발표 당시 도시단위 인증체계 개발을 세계 최초로 서울에서 진행함과 동시에 영국, 독일, 미국 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증제도를 참고해 선진적이면서도 친환경‧저탄소인증 달성을 위해 노력해왔다. 서울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LEED를 기반으로 지역개발 수준의 넓은 범위에 대한 개발사업 계획을 평가‧인증할 수 있는 제도도입을 국내 최초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민간 참여 정책 지원 활성화 필요먼저 서울형 LEED ND는 기존 미국의 LEED ND가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해 국내 실정에 맞도록 고도화하는 한편 우리나라 녹색건축업계의 한계로 지적돼 온 저조한 민간부문의 자발적 참여를 반전시킬 수 있는 제도로 설계될 전망이다. 현재 미국 LEED ND는 녹색건축 탄소중립 계량화 등 정량화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서울형 LEED ND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민간참여를 바탕으로 감축성과를 수치화할 수 있는 수단‧장치마련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민간이 녹색건축물 활성화에 참여토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 ESG경영 실적증명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정량화가 어려워 제도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기존건축물 탄소배출량 관리를 위해 배출권 거래제나 잉여자원 거래제 등을 도입하는 것을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자발적인 참여로 인한 ESG경영 실천과 함께 RE100 등을 통해 기업 등 민간이 생산한 잉여자원 등을 거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제도를 신설함으로써 민간부문의 이윤 창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EED ND SEOUL이 정량화시스템을 갖춰 기업참여도에 따라 차등화된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기업이 실질적인 ESG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에 더해 기존 LEED ND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분산에너지원, 도로‧교통시스템 등 도시탄소중립과 관련한 건물군 차원의 여러 요소 역시 포함할 필요성이 제기돼 반영 가능성도 검토되고 있다. 향후 도시는 건물간 네트워크, 에너지프로슈머, 에너지공유시스템, 자율주행차 등 적용을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기술‧사회변화 대응에서 나아가 기술발전 촉진 및 신속한 사회적용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제도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서울형 LEED ND는 이러한 측면을 감안해 제도를 설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LEED ND가 수많은 건축물이나 건물주변 자연환경 보존 등을 고려하는 것을 감안하면 서울형 LEED ND를 진행할 건물군 대상이나 기준 등도 실정에 맞게 현지화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를 위해서는 한강을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습지 등 자연환경 보호를 고려해 서울형 LEED ND 대상 및 기준을 엄격하게 정비하는 방향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의 관계자는 “한강변을 끼고 있는 서울의 특성을 고려해 서울형 LEED ND 시행 시 대상선정 및 기준을 어떻게 선정할지에 대해 내부적인 고민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LEED ND는 1998년 개발된 이후 꾸준히 개정을 거치며 발전해왔지만 녹색건축물에 대한 에너지절감량, 탄소배출량 등 구체적인 수치기반의 정량화, 미래사회를 대비한 도시 에너지인프라, 기존건축물 연계개발 등 측면에서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모델삼아 새로운 정책적 시도를 하고 있는 서울시는 이러한 기존 인증제도의 한계를 보완해 고도화함으로써 발전된 도시단위 인증체계를 갖추겠다는 목표로 오세훈 서울시장이 직접 진두지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목표달성을 위해 분명한 성과를 제시하는 동시에 부처별 정책적 협조 등을 통해 현재 서울의 상황을 고려한 완성된 제도를 도입할 경우 국내를 넘어 세계 최초로 시행되는 전 세계적인 모범제도의 전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터센터(DC)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는 가운데 서버 고성능화, 랙 고밀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증가를 상쇄할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한국설비기술협회(회장 김철영)와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정재동 세종대 교수)는 10월31일 ‘DC의 폐열재활용 및 신냉각기술’을 주제로 2023년도 DC 추계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건설사, 건축‧설비설계사, PM‧CM사, HVAC 제조‧공급사 등 산업계를 비롯해 학계, 지자체, 공기업, 유관협‧단체 등 산‧학‧연 300여명의 전문가가 자리해 정보공유는 물론 상호협력을 강화하는 네트워킹 자리로 꾸며졌다. 설비기술협회 DC기술위원회(위원장 연창근)와 설비공학회 공조부문위원회(위원장 김선혜)가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는 DC 신재생에너지 적용방법 및 쿨링솔루션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성 향상을 촉진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연창근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설비기술협회 DC기술위원회는 산‧학‧연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00여명으로 구성돼있으며 DC설비 관련 에너지효율화, 기술발전을 목표로 정책‧기술 연구개발, 기술정보교류, 기술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공학계 학생 협회사업 참여 등 DC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최근 유망산업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DC산업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라며 “최근 글로벌기업들이 국내 DC시장에 진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DC산업 체계가 어느 정도 정립되고 나면 이를 기반으로 설계‧시공‧운영‧기술‧R&D‧제조‧코로케이션 등 전 밸류체인에 관여하는 국내 기업들도 주변 국가들로 진출하는 형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창근 위원장은 또한 “효율높은 DC를 지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인증제도는 마련돼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별도의 효율규제는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중국조차도 PUE 1.5 이하로만 건립할 수 있게 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에너지공단, 한국전력 등을 주축으로 국가에서 관리기준 등 형태로 효율기준을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설비기술협회는 이를 위해 각종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인력을 보다 확보해 연구개발, 기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는 한편 관련분야 학생들이 많이 관심을 갖고 유입될 수 있도록 홍보와 네트워킹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고자 한다”라며 “이에 더해 DC노후화를 대비해 효율진단기술 등을 협회에서 주관‧자문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오늘 행사와 같이 기술컨퍼런스 등 기계설비업계가 통합해 함께 모일 수 있는 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철영 설비기술협회 회장은 축사에서 “설비기술협회장 4년차를 맞아 거의 임기 막바지에 있는 상황에서 돌아보면 DC 기술위원회를 발족해 DC산업의 기계설비업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던 것을 성과로 꼽고 싶다”라며 “현재 DC산업은 4차산업, 디지털산업 등 신산업 핵심기술‧시설 발전으로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협회는 이에 대응해 지난해부터 DC 등 미래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을 육성‧지원하고자 기술위원회를 발족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DC 기술위원회는 지난해 5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DC 특별전시회, CFD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어 앞으로 DC산업을 이끌어갈 중요한 위원회로서 역할하고 있다”라며 “추계 DC 컨퍼런스를 통해 많은 기술과 정보를 얻어가는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선혜 설비공학회 공조부문위원장은 축사에서 “설비공학회와 설비기술협회는 매년 단독으로 컨퍼런스를 개최해왔다”라며 “올해는 DC컨퍼런스를 공동으로 개최함으로써 과거보다 프로그램과 콘텐츠가 보다 기술적‧전문적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공동개최를 통해 더 많은 업계 관계자들이 방문하는 큰 행사로 진행될 수 있어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추계 DC컨퍼런스와 같은 기술중심의 컨퍼런스가 보다 더 활성화돼 대한민국 빅데이터센터와 공조기술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컨퍼런스는 총 3개 세션 16개 발표로 구성됐다. 1세션은 △수도권 집중 DC 지방분산 정책(한국전력) △DC시장 전망 및 지속가능성 향상(한국DC에너지효율협회) △AI를 위한 HPC DC(한국휴렛팩커드) △전라남도 글로벌 DC 클러스터 조성계획(전라남도) 등 주로 DC를 둘러싼 정책‧시장환경에 대해 논의했다. 2~3세션은 DC에 활용 가능한 열원 및 쿨링시스템에 대해 논의했다. 2세션은 △LNG 냉열이용과 연료전지 발전 융복합기술(선유이앤씨) △DC 폐열활용 솔루션(LG전자) △DC 수배관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WATTS 솔루션(WATTS) △DC 에너지저감을 위한 BEMS연계 유량제어시스템(삼양발브종합메이커) △AI기술을 적용한 공기조화장치(오토시멘틱스) 등으로 구성됐다. 3세션은 △수열원활용 DC 냉각시스템 소개(신성엔지니어링) △고효율 하이브리드 냉각시스템(한국공조엔지니어링) △DC솔루션(오텍캐리어) △DC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복합열원 설계사례(유천써모텍) △SPLC(State Point Liquid Cooling) 신기술 냉각솔루션(삼화에이스) △DC 폐열활용시스템 설계(한일엠이씨) △DC 냉각시스템 폐열 활용방안(한밭대학교) 등이 발표됐다.
이영일 신성이엔지 부사장이 산업포장을, 이병흠 센추리 상무가 대통령상, 박창덕 범양냉방 전무가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 냉동공조산업 발전 유공자 10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회장 강성희)는 10월25일 63컨벤션센터 라벤더&로즈마리에서 열린 ‘2023년도 기계·로봇·항공산업(기계분야) 발전유공 포상식’에서 국내 냉난방공조산업 발전 및 기술개발, 신시장 개척에 기여한 산업 유공자 10명이 산업포장(1명), 대통령표창(1명), 국무총리표창(1명),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7명)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기계산업진흥회와 냉동공조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정부 포상식에는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조영철 기산진 회장을 비롯해 수상자, 업계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장영진 1차관은 축사를 통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3년 연속 수출 500억달러 달성을 목전에 둔 업계의 노력을 격려하며 “기계산업 발전을 위해 업계 현장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여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기업 성장을 해치는 규제·제도 개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포장은 이영일 신성이엔지 부사장이 수상했다. 이 부사장은 신성이엔지에 28년간 재직하면서 기계설비건설공사 중 클린룸 및 HVAC시공분야에서 새로운 시공장비 개발 제작과 신모듈공법 적용으로 양중회수 60% 감소를 통해 안전사고 제로 달성 및 국내 클린룸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특히 신성이엔지가 개발한 ‘클린룸 System Ceiling 모듈화 공법’은 현재 7개 PJT에 투입돼 1개월 이상의 공기 단축은 물론 투입인력을 5~9% 축소해 원가절감 효과도 거두고 있다. 대통령표창은 수상한 이병흠 센추리 상무는 1987년부터 36년간 근무하며 친환경·고효율 냉동∙공조기기 및 원자력용 냉동∙공조기기 개발 및 제작,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해 국내 냉동공조분야 기술 선도 제품 개발 및 품질 향상, 수출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환경오염 최소화, 에너지자원보존 및 자원고갈 문제 해결 등에도 앞장서며 국민 건강 증진에도 일조했다.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한 박창덕 귀뚜라미범양냉방 전무는 1989년부터 34년간 근무하며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및 수출용 신제품 개발과 국책과제 수행으로 국가 미래 성장동력의 기반 마련 및 냉동공조산업 발전과 수출 증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200kW급 초고효율 급탕 겸용 및 600kW급 모듈형 지열원히트펌프 개발 △R134a 고효율 만액식 스크루 냉동기 개발 △Low GWP R448A 저온용 스크루 냉동기 개발 등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고효율 설비 개발을 통해 관련 산업 대외 경쟁력 확보 및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기여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은 △유지석 대성히트에너시스 대표 △박진우 성진산업 대표 △홍우기 에이티이엔지 상무 △김영희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부장 △김용훈 오텍캐리어냉장 이사 △이수용 삼중테크 부장 △이영민 에어텍 상무 △임휘영 한국냉동공조안전관리원 차장 등 8명이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유지석 대성히트에너시스 대표는 지열,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융복합사업, 건물지원사업 등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에 기여했다. 특히 제주도에 지열과 태양광 융·복합을 통해 제주 그린에너지 하우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 완료했으며 최근에는 19가구 지열 시범 보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히트펌프 개발을 통해 고흥 스마트 혁신밸리에 공기열과 지열히트펌프 보급 및 스마트팜용 냉난방용 히트펌프 보급 확대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홍우기 에이티이엔지 상무는 2008년 12월부터 현재까지 하이브리드제습기, 트윈로터 드라이룸 제습기, 냉풍데시칸트건조기 등 에너지절약형 신제품의 고난도 설치 및 서비스를 통해 융·복합 등 신수요 창출 및 기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박진우 성진산업 사장은 고급형 쿨러 개발 및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농가의 생산성 향상, 해외법인 설립 등 냉동공조 산업의 발전과 수출기반조성에 기여했다. 김영희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 부장은 2003년부터 21년간 근무하며 AHRI 인증 한국시험소 지정 및 국내 업체 인증 컨설팅, 해외전시회 한국관 주관사업 진행 등 국제협력을 통한 해외인증 및 수출진흥업무 등 수행을 통해 냉난방공조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김용훈 오텍캐리어냉장 이사는 고효율 인버터 장비 개발 시 제품설계 및 최적의 부하변동 제어 로직을 시스템에 적용해 기존 정속형 냉동기대비 연간 30~40% 에너지절감이 가능한 고효율 인버터 냉동기 개발에 일조했다. 이수용 삼중테크 부장은 도시가스를 이용한 3중 효용 흡수식 냉온수기와 미활용 저온수 구동 흡착식 냉동기 개발 등 다수의 국책연구과제 참여를 통해 국가적인 에너지 절감과 비용절감과 함께 냉난방 핵심 열원기계의 발전에 기여했다. 이영민 에어텍 상무는 2013년 에어텍 공장 신설부터 함께하며 품질향상 및 납기 준수 등을 조기 정착시키며 비표준형(수요자주문형) 제품, 특화된 현장용 맞춤형 제품 생산 등을 통해 신규시장 개척에 앞장섰다. 임휘영 한국냉동공조안전관리원 차장은 2006년부터 냉동제조시설과 냉동기 및 냉동용특정설비 분야의 검사원으로 근무하며 소비자의 위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공공의 안전 확보를 위해 고압가스 냉동분야에 관련된 냉동산업 기술개발과 품질향상을 촉진시켜 국가 산업발전과 국제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했다.
민간 인증기관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인증 업무를 독식하고 있어 민간 인증기관에 속하지 않은 평가사들은 자격증을 가지고 있음에도 인증업무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한무경 국민의힘 국회의원이 지난 24일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평가사 자격증 소지자 528명 중 41명만이 에너지효율 인증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머지 487명은 건축물에너지평가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어도 에너지효율 인증업무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현행법상 건축물에너지평가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에너지효율등급 인증평가 업무를 하려면 전문기관의 장인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이 실시하는 실무교육을 3개월 이상 받아야 한다. 또한 에너지공단 운영세칙에는 인증기관별로 실무교육을 3개월 실시하도록 규정돼 있다. 즉 평가사 자격시험에 합격해도 인증기관에 채용되지 못하면 인증평가 업무를 할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건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수요가 늘어나면서 신청 건수는 2015년 1,529건에서 2022년 4,000건 이상으로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민간 인증기관의 업무 독식 현상은 심해지고 있다. 8개 인증기관 중 4개 민간 인증기관 인증 비중은 2020년 74%, 2021년 83.6%, 2022년 83.9%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심지어 민간 인증기관 소속 평가사 10명은 최근 3년간 전체 인증건수 1만152건 중 37%에 달하는 3,777건을 처리하면서 1년에 100건이 넘는 인증업무를 담당했다. 제일 많은 인증업무를 싹쓸이한 평가사는 최근 3년간 528건의 인증업무를 수행했는데 이는 수치상 1.4일에 한건씩 처리해야 가능하다. 관련 법령에서 인증업무 처리기한을 50일로 정하고 있으며 평균 인증처리 1건당 소요일수가 24.5일인 것을 감안하면 인증업무가 부실하게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한 이득은 모두 민간 인증기관들이 챙겨가고 있다. 일반 건축물의 경우 인증수수료가 면적에 따라 최대 1,980만원까지 지급된다. 덕분에 2016년부터 2022년까지 8개 인증기관이 벌어들인 수수료 수입 1,142억 중 78%에 달하는 897억원을 4개 민간 인증기관이 챙겨갔다. 한무경 의원은 “현재 평가사들은 인증기관에 소속되지 못하면 자격증이 있어도 활용하지 못하고 다른 생업에 종사할 수밖에 없다”라며 “공단이 직접 실무교육을 담당하고 인증기관 등록만으로도 평가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4년도 최준영 설비공학회 회장과 손발을 맞출 차기회장 선거가 2파전으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정재동 세종대 교수)는 오는 10월19일 차기회장 선거를 치를 예정이며 10월13일 현재 김동우 대림대 소방안전설비과 교수와 송두삼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등 2명이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1971년에 창립된 설비공학회는 회원 1만명의 국내 기계설비분야를 대표하는 학회로 성장해온 만큼 회장선거에 관심이 높다. 차기회장은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 유고 시 회장직무를 대행한다. 차기후보 입후보할 자는 선거일 3일전까지 직선 대의원 5인 이상 추천을 받아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면 된다. 최종 등록일은 10월16일 18시까지이며 선거는 10월19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다. 총무이사 4회, 편집이사 등 다년간 학회 이사로 봉사했으며 환기부문위원장, 건축환경부문위원장, ZEB시스템전문위원회위원장, 선출직부회장 등을 역임하며 기계설비 관련 많은 관산학연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있는 송두삼 후보는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 속에서 전 인류가 탄소중립이라는 공동된 목표를 가지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는 상황에서 건물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의 전문가 집단인 설비공학회의 사회적 책임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라며 "차기회장에 당선된다면 회장과 함께 대내외적으로 우리 학회의 위상을 높이는 일을 지속할 것이며 기계설비인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더욱 존경받을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는 집중하겠다"고 출마소견을 밝혔다. 송두삼 호보는 공약사항으로 △설비포럼 활성화 △기계설비기술·ESG 교육프로그램 개설 △명예회원·SAREK Fellow 초청 세미나 강연 활성화 통한 후속세대 양성 △젊은 연구자·신입회원 대상 멘토프로그램 마련 등을 통한 외연을 확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것을 강조했다. 공조부문위원장, HVAC경진대회 조직위원장, 선출직부회장 등을 역임한 김동우 후보는 "용설후생(用設厚生)의 신념으로 4차산업 혁명과 AI 시대 그리고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설비분야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설비공학회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차기회장에 입후보했다"라며 "2020년 시행된 기계설비법에 따른 기계설비 유지관리업의 성숙화, 부족한 기계설비 초급 및 중급 기술자의 양성, 그리고 건축물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능동형 기계설비 기술 발전과 보급은 시급한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행돼야 하는 설비인의 막중한 임무이며 자긍심을 갖는 설비기술인의 희망찬 설비분야 미래를 위해 함차게 노를 저어 가겠다"고 출마소감을 전했다. 김동우 후보는 공약사항으로 △학술활동 지속 유지 및 영문논문집 지원 강화 △설비기술자 증대 및 회원서비스 강화 △학회표준 증대·설계 및 시공기준 체계화 △기계설비법 성능점검 기준 및 배치기준 고도화를 통한 기계설비업 확장 △기계설비 후속세대 저변확대 지속 노력 등을 내세웠다.
아시아 데이터센터(DC)산업을 이끄는 국내‧외 주요기업들이 싱가포르에 총출동했다. 지난 11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드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된 ‘데이터센터월드아시아(Data Centre World Aisa)’에는 국내 DC관련 투자사‧운영사‧설계사‧벤더사‧CSP 등 DC산업 전 밸류체인에 걸쳐 관여하고 있는 기업 관계자들이 집결해 인산인해를 이뤘다. 글로벌 부동산컨설팅 전문기업 컬리어스(Colliers)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APAC) DC시장규모는 2028년까지 530억달러(약 71조1,26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APAC 지역은 AI 및 생성형AI, AR‧VR, IoT, 5G‧엣지, 클라우드서비스 등 디지털전환 및 자동화관련 기술수요가 급증하면서 DC관련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투자와 DC활용에 따라 APAC지역 DC용량은 지난 5년간 약 300% 성장을 기록했다. APAC 주요국 DC시장상황을 살펴보면 인도는 스마트디바이스, 전자상거래, 클라우드서비스 등의 증가에 따라 현재 약 95만㎡ 규모의 DC를 2025년까지 약 2배인 1,850만㎡ 규모로 확장하겠다고 예고했다. 필리핀 역시 합작투자 등을 통한 DC투자가 활성화되고 있다. Digital Halo가 72MW 규모 하이퍼스케일 DC에 약 5억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Converge ICT Solutions는 VisMin 지역에 약 1,900만달러를 투입하는 등 2027년까지 약 6억3,5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호주는 지난 10년간 부동산투자자들로부터 DC산업이 큰 관심을 얻음에 따라 연도별 수익률이 2013년 10억달러에서 2021년 45억달러 이상으로 급증했다. 홍콩은 5G네트워크, 전자상거래‧재택근무 등이 활성화됨에 따라 현재 80만㎡ 규모의 DC가 구축돼있으며 2026년까지 48만㎡의 선임차 완료된 DC가 추가공급될 예정이다. 우리나라 시장 역시 글로벌 DC업계에서 주목하는 시장 중 하나다. 미국 아리즈톤(Arizton)에 따르면 국내 DC시장규모는 2021년 약 5조원 규모였으나 2025년 약 8조원 규모로 연평균성장률(CAGR)을 6.7%로 전망했다. 2021년기준 국내 DC는 177개로, 상업용 62개, 비상업용 115개 등으로 집계됐으며 디지털서비스 기술수요 증가 기반으로 상업용 부동산섹터의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함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2023 DCWA는 이러한 아시아 DC시장 잠재력을 반영하듯 전 세계 176개 기업이 전시출품‧파트너사‧후원 등 직‧간접적으로 참여했다. 이날 DCWA의 주요 키워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및 에너지효율성(Efficiency)이었다. 전시장에는 DC기능적 측면에서 전력공급 안정성 등 전통적으로 의제를 선점해 온 전력관련 기업들과 함께 공조‧액침 등 쿨링솔루션 기업들이 비중을 확대했으며 UPS, 배전, 파이프 등 기업들 역시 지속가능성 및 효율성을 주요 키워드로 내세웠다. 주요 국내‧외 출품기업을 살펴보면 △미쓰비시중공업 △어니언소프트 △스툴즈(STULZ) △슈나이더 일렉트릭 △다이킨(DAIKIN) △날코워터(NALCO Water) △르그랑 스타라인(legrand Starline) △지멘스(SIEMENS) △ABB △히타치(HITACHI) △아즈빌(azbil) △댄포스(Danfoss) △IMI △그런포스(Grundfos) △스마트(SMARDT) △리퀴드스택(Liquid stack) △이비엠팝스트(ebmpapst) △노벤코(NOVENCO) △이튼(EATON) △엔비쿨(Envicool) △아이서톱(Iceotope) △아피스문(APISMOON)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 △YMK △BWT △쉘(Shell) △콜러(KOHLER) 등이 참여해 DC 에너지효율 향상 측면에서 이목을 끌었다. 특히 스툴즈는 마이크로DC 유니트를, 다이킨‧스마트‧YMK는 팬월(fan wall) 공조기를, 어니언소프트‧슈나이더 일렉트릭‧지멘스가 모니터링 및 최적제어시스템을, IMI는 리니어제어 밸브시스템을, 이비엠팝스트‧노벤코가 고효율 EC팬을, 르그랑이 리어도어쿨러(Rear Door Cooler)를, BWT가 냉각탑을 선보이며 DC쿨링장비 및 운영‧제어솔루션을 소개해 참관객들이 몰렸다. 이밖에도 액침냉각(Emersion Cooling) 및 정밀침지액냉각(Precision Cooling) 관련 기업들로 리퀴드스택(액침냉각), 엔비쿨(액냉각), 아이서톱(액냉각), 아피스문(액침용액), 토탈에너지스(액침용액), 쉘(액침용액) 등이 참여해 쿨링솔루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시장분위기를 반영했다. 이번 DCWA 행사에는 국내 참관기업들이 다수 참여해 뜨거운 한국DC산업 열기를 체감할 수 있었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 주관으로 구성된 DCWA 참관단을 비롯해 우리나라에서 참관객으로 참여한 기업은 △가산아이윌 △보성산업 △삼성물산 △엔텍시스템 △LS전선 △LG CNS △MCE △버티브 △이온 △이피코리아 △재단법인 강원TP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이콜랩 △한일엠이씨 △효성중공업(가나다순) 등으로 70여명의 국내 DC산업 관계자가 현장을 찾았다. 다양한 DC솔루션을 확인할 수 있는 DCWA 행사는 3개 홀에 걸친 전시회와 함께 △핵심인프라 △세계 DC 주요이슈 △효율성 및 지속가능성 등 3개부분 84개 주제 컨퍼런스 등을 주요 콘텐츠로 12일까지 이어진다.
4차 산업혁명, 디지털 경제 확대로 전력다소비시설인 데이터센터(DC)가 급증하면서 수도권 집중에 심화된 가운데 DC 전기사용예정통지 점검결과 687건(67.7%)이 실수요 목적이 아닌 ‘허수신청’으로 확인됐다. 최형두 국민의힘 국회의원(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데이터센터 전기공급실태 특별감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2023년 2월 DC 전기사용예정통지 1,001건을 점검한 결과 678건, 67.7%가 실수요 목적이 아닌 허수 신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 감사실은 동일 주소에 다수가 신청한 경우, 동일 고객이 다수지역을 신청한 경우, 개인명의로 여러 곳에 신청한 경우 등 하나씩 대조 및 확인 절차를 거쳤다. 구분 접수 용량 전체 1001건 63.958MW 허수 678건 41.431MW 비율 67.7% 64.8% ▲데이터센터 전기사용예정통지 허수신청 현황(2020년 1월~2023년 2월). DC 전력수요 파악 시 허수가 포함된 기초자료를 제출할 경우 전력수급기본계획 정확도가 저하됨은 물론 장기송변전설비계획 과다반영 등 우려가 있다. 즉 전력설비계획 왜곡에 따른 예산낭비, 매몰비용 발생우려가 생긴다. 또한 전력설비 투자비용 상승 및 전기요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해 국민편익과 산업경쟁력 저하, 건전한 디지털 산업 발전 저해 등 국가 전체적 비효율도 우려된다. 이와 함께 DC 입지의 78%, 전력수요의 75%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사실도 확인됐다. 빅데이터산업 관련 연구개발과 스타트업 수도권 집중이 더 가속화될 우려가 크다. DC가 수도권에 집중되면, 송배전망 등 전력 인프라 추가건설 부담 및 계통혼잡 유발, 집중지역 재난발생 시 통신인프라 마비, 지역간 균형발전에 저해 요소가 발생한다. 현재 DC는 지난 2008년 99개, 2019년 158개, 2023년도 202개에 이른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60% 넘게 집중돼 있다. 국내 DC는 앞으로 연평균 6.8%씩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7년이면 약 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2021년대비 50% 이상 상승한 수치다. 최형두 의원은 “전력수급계획 기초자료 제공 시 DC 허수신청을 제외하고 실수요를 반영해 정확한 전력수요자료를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라며 “또한 전기사용장소 건축물, 토지소유자 확인 절차마련 및 동일주소에 여러 고객이 신청하지 못하도록 차단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DC 수도권 집중완화 및 지역분산 활성화 유도를 위해서 DC 운영 시 필수적인 전기·용수·통신네트워크설비 등 인프라 관련기관 합동 협의를 통한 DC 최적입지 도출 및 부동산 투기 관리지역으로 지정 및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최근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화재안전기준 강화기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업계 현실을 고려해 정책수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국토부는 업계로부터 제기 중인 민원을 고려해 샌드위치패널 화재안전기준을 재논의하기 위한 내부회의를 수차례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했던 관계자들에 따르면 샌드위치패널 화재안전시험과 판정기준 등을 개정하는 방안이 논의됐으며 국토부와 연구기관, 시험기관 등이 참석했다. 국토부의 관계자는 “현재 샌드위치패널을 대상으로 건축안전기준을 수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이나 일본 등 외국사례와 함께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해 온전한 방향으로 반영하고자 한다”라며 “샌드위치패널의 경우 처음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했을 당시 정부 내부에서 향후 불필요한 규제혁파를 주문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샌드위치패널의 품질인정제를 관장하고 있는 국토부가 제도개정을 준비하고 있는 것을 인정함에 따라 화재안전강화 방침에 맞춰 샌드위치패널의 심재준불연을 준비해온 많은 기업들은 혼란스러운 분위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토부가 일방통행식으로 당위성을 강조하며 추진한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한 후 불과 얼마되지 않아 현실성을 고려한다는 이유 등을 들어 화재안전기조를 스스로 꺾고 있다”라며 “이는 스스로 무리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었다는 것을 자인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소재시험 용융‧수축기준 삭제 ‘가닥’완화 방향성은 융용‧수축부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논의에서 주목할 점은 KS F ISO 5660-1(콘칼로리미터시험)에 따라 열방출률 시험 시 시험체 두께의 20%를 기준으로 용융 및 수축 정도를 평가해왔는데 이를 개정한다는 것이다. 국토부의 관계자는 “샌드위치패널 속 스티로폼 단열재 등 심재 화재시험에서 심재 두께 20%를 넘는 용융(열을 가했을 때 액체로 녹는 현상)‧수축 등 측정 단계를 삭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라며 “업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샌드위치패널과 관련 용융‧수축 조항을 합리화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축업계의 또 다른 전문가는 “용융 및 수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거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 심재가 녹거나 쪼그라드는 현상으로 강판이 탈락 또는 붕괴될지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사라질 것”라며 “샌드위치패널 시험기준이 완화되면 결국 실물시험 전 확인이 어려워 예전과 같이 준불연 성능이 떨어지는 심재가 들어간 제품이 유통될 것이 너무 당연하며 이를 빌미로 더욱 질이 떨어지는 제품이 판을 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반대로 이번 개정 논의를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도 있다. 건축자재분야의 한 전문가는 “건축자재에 대한 에너지절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추세이므로 단열재 자체의 단열성능 강화가 강조돼야 하지만 화재안전성능 강화 추세에 따라 무기질의 난연액을 투입함으로써 단열성능이 약화되는 현실을 고려한 조치로 판단된다”라며 “결국 정부가 현재 단열성능과 난연성능을 동시에 유지하기 어려운 현실을 외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국토부가 직접 화재안전성능을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부분을 개정하는 방향으로 외국 사례와 국내 전문가 등을 통해 다각적인 고려를 한다고 밝힌 만큼 큰 틀에서 화재확산방지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단열재 화재안전성능에 대한 과잉규제가 언급한 방향성대로 개선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 내년 예산안 중 건물‧수송부문 탄소중립 관련 예산사업 및 연구개발과제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예산에서는 17%가 줄었으며 특히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사업 예산은 33.3%나 줄었다. R&D 예산 감소폭은 더 컸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탄소중립관련 국토교통 R&D예산은 43.4% 줄어 전체 국토교통 R&D예산 감소폭 37.7%를 크게 웃돌았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탄소중립기본법’ 제정을 거쳐 올해 국가 법정계획인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 및 의결했다. 그러나 해당 계획에 따른 국토부 소관 과제 관련사업 내년 예산은 2023년 3,558억원에서 2,953억원으로 오히려 17% 가량 줄어들었다. 허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국토교통위원회)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도 국토부 소관 탄소중립 관련사업 예산 총합이 전년대비 600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분야인 ‘기존건축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 추진’과제 관련사업은 2,001억원에서 1,343억원으로 줄어 무려 658억원 가량 감소폭을 보였다. 해당 과제는 노후된 기존 공공건축물을 고효율·저에너지 건축물로 개선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과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지원’이 주를 이루는 분야다. 이처럼 단일 과제 아래에서 큰 폭의 예산 감소가 이뤄진 것은 파출소, 도서관 등 비중있는 사업대상이 예산안에 반영되지 못한 데다 민간대상 홍보 및 장려 취지의 사업예산들이 사라지게 된 영향으로 보인다. 국토부 소관 연구기관인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 탄소중립 관련 계속연구사업 중 예산이 감액된 14개사업은 지난해 537억원에서 올해 304억원으로 깎여나가며 전년대비 4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KAIA의 총 106개 R&D사업 중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계속 진행되는 55개 사업예산은 3,065억원에서 1,910억원으로 37.7% 감소했다. 이중 탄소중립 관련 연구예산은 더 급격히 감소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적 추세인 탄소중립 관련 기술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점점 더 뒤처지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KAIA의 R&D분야에는 국토부 탄소중립 과제 유관R&D가 다수 포함된다. 석유 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Δ84.4%),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토도시공간계획 및 관리 기술개발(Δ79.9%), 수소도시용 수소배관망 국산화 및 실증기술 개발(Δ78.4%), 건축물에너지 디지털진단 및 설계(Δ76.8%) 등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허영의원은 “우리나라 탄소 총배출량 중 건물‧수송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21%나 된다”라며 “산업부 등과 함께 가장 큰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하는 곳이 국토부임에도 오히려 관련 예산을 대폭 줄여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후위기는 후대가 아닌 지금 당장의 문제”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물론 국가경쟁력을 담보하는 차원에서라도 향후 어떤 정부가 들어서든 탄소중립 과제 추진의 고삐를 늦춰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8월31일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건축물방화구조규칙) 일부개정안을 공포,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개정내용은 건축물방화구조규칙에서 불연재료 사이에 다른 재료(두께가 5mm 이하인 경우만 해당)를 부착해 제작한 재료의 경우에는 해당 재료를 하나의 재료로 보고 난연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는 것과 불연재료에 0.1mm 이하 두께로 도장을 한 재료의 경우에는 불연재료의 성능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난연성능 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고 한 2가지 부분이다. 먼저 이번 개정에 따라 불연재료 사이에 두께가 5mm 이하인 다른 재료를 부착해 제작한 재료의 경우에는 해당 재료를 하나의 재료로 보고 난연성능을 시험할 수 있게 됐다. 심재부분의 두께를 5mm 이하로 규정한 것은 그 대상이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것이 대다수 업계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반 샌드위치패널은 중간 심재에 50mm를 적층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유일하게 심재가 5mm 이하의 크기를 보이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경우 기존 제도에서는 알루미늄 강판과 심재로 구성된 각 재료가 난연 이상 성능을 인정받아야 했다. 그러나 관련 업계는 지속적으로 국토부에 알루미늄 복합패널 자재 특성상 이와 같은 제작방식이 어렵다고 호소해 왔다. 실제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경우 시험기간이 만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시험인정을 받은 기업이 없어 국토부 역시 15회에 걸쳐 기존 기준하에 알루미늄 복합패널 양산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밝혀졌다.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심재부분에 들어가는 재료는 PE(폴리에틸렌)로 우리나라는 이를 심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자체 원천기술을 갖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PE를 활용한 심재 제작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도 이번 개정에 한몫했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P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가연성을 띄고 있어 화재발생 시 화재확산을 부추길 수 있다. 오래 전부터 PE를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심재로 채택해오고 있지만 문제는 PE가 이런 가소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준불연 성능을 가진 심재로 바꾸려는 노력 자체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준불연 성능을 지니면서도 PE가 심재로서 갖는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거나 발굴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토부의 관계자는 “불연재료 사이에 적은 양의 심재가 들어가는 경우 시험방법을 일부 완화해주더라도 실물모형시험을 통해 화재안전성을 확인이 가능한 범위에서 개정을 허용코자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토부가 복합패널의 경우 현재로서는 기존 기준을 만족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 현실적인 한계를 들어 알루미늄 업계 입장을 반영, 기준을 개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번 개정안을 통해 알루미늄 복합패널 업계가 활로를 찾았지만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심재준불연 성능을 만족하는 심재원천기술 확보 등 숙제도 남겨 향후 업계의 관련 분야 연구개발 노력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화재안전 성능강화 명분으로 전방위적 기준상향을 추진하는 가운데 나온 이번 개정안이 특혜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지난 2010년 발생한 부산 우신골든스위트 화재로 당시 가연성 외장재인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화재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에 따라 국토부는 화재안전을 강화하며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관리대상으로 포함시켜 심재를 별도로 성능을 갖추도록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관련 업계 반발 등으로 이번 규칙개정을 단행한 것을 두고 특정 업계 입장을 대변했다는 지적과 화재안전기준을 원점으로 회귀시켰다는 일부 업계의 비판도 있어 당분간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개정 내용으로 국토부는 향후 불연재료에 0.1mm 이하 두께의 도장을 한 경우 이를 사실상 화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감안해 0.1mm 이하 두께 도장을 강판과 마찬가지로 당연불연재료로 간주해 불연성능을 인정한다. 기존 국토부 지침에 따라 각 시험기관은 강판과 심재로 이뤄진 샌드위치패널에 대해 그동안 강판과 심재 각각 난연성능을 평가해왔다. 관련 협회나 업계는 강판도 코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준불연 강판이나 불연 강판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제기를 지속 제기해왔다. 국토부가 실제 시험한 결과 해당 0.1mm 이하 도장부위에 불꽃이 붙었다 꺼져 현행 기준으로는 준불연 자재로 인정받는 것이 한계였다. 국토부의 관계자는 “소방법 등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 불연 이상 인정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0.1mm 이하 두께 도장을 한 재료로 인해 전체 재료가 불연을 인정받을 수 없는 불합리성을 제거하기 위해 이번 개정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화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준불연부분을 전체 강판인 당연불연재료 등과 조합 등을 감안해 불연재료로 인정함으로써 화재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입증될 경우 당연불연재료로 인정받을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화재안전법규 근간을 흔드는 조치라며 반대하는 의견이 만만찮다. 업계의 관계자는 “화재안전법규를 제정할 때 원칙을 고수하지 못하고 특정 업계 입장이나 논리에 끌려다니는 듯한 모습을 보여 아쉬우며 처음 화재안전강화 기조를 세웠을 때 명확히 모든 입장을 파악해 그에 반영했어야 옳다”라며 “일부 개정으로 업계에 차별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화재안전법규 강화 기조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급성장하는 글로벌 냉난방공조시장에서 ‘히트펌프’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천연가스 도입이 사실상이 전무하면서 냉난방을 위한 기기로서 히트펌프로 전환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 기후위기에 따른 탄소중립 이슈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위한 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자연스레 냉난방용기기로 ‘히트펌프’ 주목받고 있다.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공동의장 김민수 서울대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시스템연구실 KIER N-Lab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 부대행사로 ‘2023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 정기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글로벌 히트펌프시장확대에 따른 국내 정책 변화와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자 14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히트펌프 보급 로드맵 시급 첫 발표에 나선 김민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히트펌프얼라이언스 국제협력위원장)는 ‘히트펌프기술의 미래와 연구방향’을 주제발표를 통해 “2021년 유럽의 히트펌프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가속화돼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라며 “RePowerEU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히트펌프판매를 3배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지속적으로 두자리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히트펌프 관련 이슈를 △에너지효율 △Low GWP냉매 △Comfort Climate Box △고온 히트펌프 등으로 정의했다. 김 교수는 “증기압축 사이클의 과도한 전력소비와 불소계 냉매로 인한 환경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냉방부하가 급증함에 따라 고효율 히트펌프 개발이 시급하다”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Low GWP냉매는 HFC계열로 R32와 HFO계열로는 R1234yf, R1234ze 등이 있지만 불소계 냉매는 PFAS로 정의되는 인체 유해성이 보고 되고 있어 긍극적으로 가용할 수 있는 R290, R744(CO₂), R717(NH₃)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국의 히트펌프시장 현황에 대해 김 교수는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기기는 보일러, 전열기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히트펌프는 이러한 경쟁품에 비해 효율을 제외하면 가격과 편의성 측면에서 취약하다”라며 “특히 국내의 저렴한 에너지비용으로 낮은 ROI를 가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바닥난방, 공기냉방 등 주거문화 특이성으로 가정용 냉난방시장에 히트펌프 보급은 제한적이며 초기투자비용 문제,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 문제, 축열조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라며 “가정용 히트펌프 보급이 활발해지면 히트펌프에 대한 기술적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국민 수용성이 개선될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이에 따른 보급촉진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방안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특히 “전체 에너지의 64%를 사용하고 있는 산업부문의 보급잠재력이 크지만 저렴한 에너지가격으로 인해 히트펌프가 선택되고 있지 않다”라며 “2050 탄소중립을 위해 기술개발 및 보급을 위한 통합적 로드맵이 필요하며 히트펌프 보급목표 설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태양열+히트펌프 융합연구 집중 이경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실 KIER N-Lab 박사는 ‘계절간 잉여 태양에너지의 히트펌프 융합 이용 기술’ 발표를 통해 태양에너지와 히트펌프의 조화로운 융합기술 연구와 보다 효율적 융합을 위한 요소기술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IRENA의 탄소중립로드맵에 따르면 2050년까지 현재대비 빌딩용으로 태양열 10.1배, 지열 5.9배, 히트펌프 12.7배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에너지와 히트펌프 융합을 통해 건물냉난방과 지역난방용 활용으로 에너지자립형 건물 및 도시를, 산업공정가열용 이용해 저탄소형 공정, RE100, EP100 산단을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팜 가열과 담수화 가열용으로 활용하면 물-식량-에너지 넥서스를 실현할 수 있으며 섹터커플링분야에서는 전력계통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경호 박사는 스마트팜 온실 난방에 태양열을 이용한 지열원 재생 기술 사례발표를 통해 “난방기에 지열히트펌프 난방 후 지중온도는 1℃ 상승했으며 비난방기에는 태양열로 지중가열로 지중온도 0.3℃ 상승, 태얄열 지중재생 후 지열히트펌프 COP 3.19로 기존 2,79에 비해 14.3% 향상됐다”고 밝혔다. 보다 효율적인 융합을 위한 요소기술로 △태양열 집열 효율화: 고효율 집열기 △계절간 중·단기 열저장: 진공단열 열저장조 △얕은 지중열 △이중부하 및 열원 활용형 히트펌프 △시스템 학습모델 성능예측 기반 운전 제어 등의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 박사는 “태양에너지설비 설치면적이 증대되면 에너지소비절감 효과 향상, 잉여 태양에너지 발생이 증대할 수 있으며 잉여 태양에너지의 효과적인 저장과 이용으로 히트펌프 열원 개선과 성능향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의 간절기간 잉여전력 이용과 히트펌프 열원화 이용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라며 “고효율 태양열 집열기술·열저장기술, 저가형 열저장기술 이중부하 및 열원간 활용형 히트펌프, 예측모델시스템 운전제어 툴 개발로 장단기적 운전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PVT+히트펌프, 효율향상·공간 활용 극대화 주홍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실 KIER N-Lab 박사는 ‘태양광·열(PVT) 모듈 소개 및 히트펌프 연계 기술’ 발표를 통해 PVT와 히트펌프 연계기술 활용 방안을 강조했다. PVT는 태양광모듈과 일체화된 태양열집열기로 열과 전력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1970년대 이후 다양한 PVT 복합 집열기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PVT와 상용화모델과 성능시험, 테스트, 모니터링 및 상업특성 등에 관련한 국제표준을 제안했으며 히트펌프와 조합된 새로운 시스템 솔루션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제로에너지건물 보급에 따라 소규모 주거용 건물부터 대형 건물 산업 대용량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주홍진 박사는 “태양광열 복합모듈은 단독으로 설치된 태양열 및 태양광모듈에 비해 단위면적당 에너지생산량이 향상된다”라며 “PV모듈과 동일한 설치면적에서 같은 양의 전기와 2배 이상의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 가능하며 PVT모듈은 열생산 우선형과 전기생산 우선형으로 나뉜다”고 밝혔다. 에너지기술연구원은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홍은119안전센터 리모델링에 신재생에너지 적용 기반 다기능 융합 히트펌프시스템이 적용됐다. 즉 PVT모듈과 히트펌프 연계 기술을 적용해 실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냉난방 및 급탕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연은 건물일체형 태양광·열시스템(BIPVT) 실증운전도 진행 중이며 건물 외장재 일체형 태양광·열 복합모듈 기술고 개발 중이다. 주 박사는 “에너지믹스시대에는 단일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하기 때문에 PVT와 히트펌프 연계기술은 전기와 열 동시생산으로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히트펌프 전력과 열원 동시 공급이 가능해 연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며 “현재 PVT시장 확대 및 보급을 위한 기준 마련, 생산 업체 확대 등 제도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에너지정책+히트펌프, 융합 주목 이윤빈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효율향상PD는 ‘히트펌프 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발표를 통해 “2050 탄소중립은 글로벌 사회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혔으며 안정적인 에너지공급, 기술융합 등 트렌드로 변화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트렌드는 에너지정책과 히트펌프의 융합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에기평은 히트펌프관련 R&D과제로 2022년 △고집적 데이터센터 에너지효율향상 솔루션 개발 및 실증(~2025년, 103억원) △중·저온 산업폐열 이용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 및 실증(~2026년, 240억원) 등을, 2023년 △산업용 대온도차 히트펌프시스템 핵심기술 및 실증·운영기술 개발(57개월, 218억6,000만원) △산업공정 열에너지 전기화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57개월, 195억원) △중형급 산업용 전동기 슈퍼 프리미엄 기술개발 및 실증(45개월, 192억원) 등을 착수했다. 이윤빈 PD는 “열에너지는 프로세스용으로 산업용 고온, 산업용 저온, 산업용 냉동 등으로 기술개발이 이뤄지고 있으며 건물용으로 일반용으로 공조·난방·급탕 등 개발이 이뤄지고 있어 R&D 주체간 협력과 역할 분담이 중요하다”라며 “하지만 HFOs, 자연냉매 등 작동유체 이슈, 가정용 히트펌프·한랭지 성능·제상운전·미활용에너지 활용 확대·지속 성장과 생태계 확대 등 경제성 제고가 시급하며 센서 및 네트워크 기술·대용량 이종 데이터 통합분석 및 제어 등 디지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동주택 탄소중립 실현, 지열 필요성 강조 남유진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는 ‘공동주택 지열히트펌프 적용 활성화 방안’을 통해 “건물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총 산업의 약 38%에 해당하며 에너지 및 탄소배출량 저감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라며 제로에너지빌딩 실현을 위해 공동주택 지열냉난방시스템 적용 의무화 정책을 제안했다. ZEB 의무화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2030년까지 연면적 500m² 이상 일정 공공 및 민간건축물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을 달성해야 한다. 대부분 태양광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나 기술적 한계점으로 인해 제로에너지건축물 구현이 어려워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남 교수는 “공동주택 지열설비 도입은 시범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실무 차원의 설계기준 표준화, 시공메뉴얼 구축은 미흡한 상황이며 2023년부터 공동주택의 ZEB 의무화가 시행되나 의무화 대응을 위한 세대 지열적용 방안이 정립되지 않았다”라며 “공동주택에서 지열냉난방시스템 도입 타당성평가를 위해 타 열원과 경제성 비교 등 정밀한 검토자료가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공동주택 지열 적용 시 문제점으로 △지중 열교환기 설치공간 △경제성 △냉난방 쾌적성 저하 △하자 및 유지관리비 △공사비 상승 등을 꼽았다. 해결방안으로 △천공깊이·지하주차장 하부 천공 △적정부하결정을 통한 장비 최적화 △적정공급온도 설정·대온도차 인버터 펌프 적용 △시스템운영방안·제어판넬 사용자화 △설비용량 최적설계·천공배관 물량 최적화 등을 제시했다. 남유진 교수는 “건물용도에 따라 에너지사용형태가 다르지만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하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은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 구분이 없으며 건물용도에 적합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설비가 보급될 가능성(태양광 위주)이 높으므로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구분한 신재생에너지설비의 보급의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난방 공급지역에 지열냉난방설비를 신설하는 경우 냉난방 및 급탕 여건에 따라 효율적으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지만 지역난방공사 등은 집단에너지사업법을 근거로 지역냉난방열원을 보조열원으로 이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냉난방설비를 적용하는 사업에 대해 지역냉난방열원을 주·보조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건축물의 정확한 부하설계와 함께 신재생에너지설비요소의 설계조건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ECO2 인터페이스를 구성해야 한다”라며 “공동주택에서 태양광, 지열히트펌프, 연료전지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ECO2프로그램에서는 단일 신재생에너지원만 개별적으로 입력돼 신재생에너지의 복합적용에 따른 유기적인 설계 및 운영을 반영할 수 없어 ECO2 프로그램 개선 및 보다 정확한 신재생에너지설비 설계를 위해 내부 계산방식 공개 또는 상세한 설계변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내년 예산을 657조원 규모로 소극적 편성한 가운데 기후변화, 탄소중립 관련 각 부처 예산은 명확한 사업방향성을 보여주지 못하거나 중점 추진과제에 포함되지 못해 비판의 목소리가 예상된다. 올해 예산대비 내년 예산안은 20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인 2.8% 증액에 그쳤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은 4조9,000억원을 증액편성했으나 자연재해 피해예방 등 SOC사업과 주택 100만호 공급사업 및 구입자금 융자 등에 4조9,000억원을 증액편성한 반면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내용은 별도 언급하지 않았으며 중점투자 방향에서 제외됐다. 건물부문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회의론이 나오는 가운데 신축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의무화 확대, 기축건물 대대적 그린리모델링(GR) 시행방안 마련 등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정부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에너지분야에 4조7,969억원을 편성했으나 원전관련 예산이 대폭 증가했으며 에너지효율관련 예산은 저소득층 냉난방비 지원 바우처, 소상공인 냉난방기 교체지원, 에너지절약시설 설비교체 융자지원 등에 편성됐다. 건물부문 탄소중립 및 에너지전환과 관련된 정부부처 중 유일하게 탄소중립을 중점 투자방향에 포함한 환경부는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미래환경산업 육성,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 탄소중립ODA, 녹색인프라 수출지원 등에 예산을 편성했다. 분야를 특정하지 않고 환경, 녹색분야 창업‧중소기업을 포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효율적 에너지이용을 위한 재생열에너지 이용체계마련, 신재생에너지활용 집단에너지 인프라, 중장기적 전전화, 글로벌 히트펌프시장 확장 대응 및 산업육성 등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예산안을 통해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음에 따라 내년에도 원자력을 제외한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효율화 관련시장의 불확실성은 여전할 전망이다. 내년도 예산 정부안은 국회에 제출돼 각 상임위별로 심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회 예산안 심사를 거친 후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관련 예산이 반영되도록 조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 재해대비 SOC‧전세사기 관련예산 대폭편성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국민안전 강화와 주거 안정 등을 위해 내년 예산안을 60조7,00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본예산 55조8,000억원 대비 4조9,000억원 증가한 규모로 정부 전체 총지출 660조원대비 9.2% 수준이며 올해 8.7%에 비해서는 0.5%p 증가했다. 국토부는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를 반영해 타당성과 효과성을 지표로 전체사업 원점 재검토 등 강도 높은 지출구조조정을 단행했다. 특히 보조사업 정비, 성과중심 R&D 투자, 재정지원 역할 재정비 등을 통해 절감한 재원은 정부 중점추진 과제 이행에 투입됐다. 내년 예산은 △국민안전 △주거안정 △약자 보호와 생활여건 개선 △미래혁신 △지역활력 제고 등 5대 중점투자 방향을 설정해 재원을 배분했다. 국민안전 관련 정부지출은 올해 4조9,000억원에서 내년 5조6,000억원으로 7,000억원 증액됐다. 폭우‧폭염 등 자연재해 피해예방을 위한 SOC사업으로서 도로안전 및 환경개선 1조783억원, 일반철도안전 및 시설개량에 1조4,453억원 등을 투입하며 건설안전 강화, 범죄안전 등에 일부 예산이 할당됐다. 국민주거안정에는 올해 32조6,000억원디비 4조2,000억원 증액된 36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혼인과 무관하게 출산가구에 대해 융자지원하며 5년간 100만호 공급목표에 따라 공공주택 20만5,000호 공급을 위해 19조9,000억원이 편성됐다. 이밖에도 △교통인프라 건설 11조원 △전세사기 대출지원 4,000억원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 7,000억원 △UAM 투자 202억원 △자율차 투자 409억원 △해외건설 수주지원 250억원 등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024년 국토교통부 예산안은 건전재정 기조 하에 재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지 깊은 고민을 담아 편성했으며 국민들의 생활여건 개선과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가용재원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라며 “특히 SOC 안전에 있어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저출산과 같은 구조적 리스크도 수혜자 중심 정책으로 극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 에너지예산 방향성, ‘원자력’ 명확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육성, 원전생태계 복원 조기완성, 공급망 안정화 등 국정과제 및 핵심 정책과제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2024년 예산안을 11조2,214억원으로 편성했다. 산업부 내년 예산 정부안은 2023년 본예산 11조737억원대비 1,477억원, 1.3% 증가한 규모로 정부 건전재정 기조에 발맞춰 관행적 지원사업, 유사‧중복 및 집행부진사업, 신재생에너지 등 부적정하게 집행된 보조금, 나눠먹기식 연구개발(R&D) 등은 과감히 구조조정 하되 첨단산업 육성 및 수출총력 증대, 에너지복지 등 확대했다. 분야별로는 산업분야 5조1,432억원, 에너지분야 4조7,969억원, 무역‧통상분야 1조1,114억원으로 편성됐다. 산업부는 내년 예산안 편성 기본방향으로 △첨단산업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실물경제 활력 제고 △에너지안보 강화, 원전생태계 복원 조기 완성, 에너지효율 향상 및 복지 확대 등을 통한 튼튼한 에너지시스템 구현 △수출 총력증대 및 국익우선 선제적 통상지원에 주안점을 뒀다고 발표했다. 특히 에너지분야에서는 에너지효율개선 관련예산을 1조6,220억원 편성했다. 이는 올해 1조259억원에서 5,961억원 증액된 것이다. 예산은 저소득층 냉난방 비용지원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소상공인 노후냉난방기 교체지원사업, 산업계 에너지절약시설 설치비 융자지원 등에 투입된다. 에너지바우처 예산은 올해 1,909억원에서 내년 6,856억원으로 259% 증편됐다. 소상공인 노후냉난방기 교체지원사업은 교체규모를 올해 약 1만9,000대, 518억원에서 내년 약 4만5,000대 1,633억원으로 확대하며 에너지절약시설 설치 융자예산은 올해 2,633억원에서 내년 2,945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밖에 △원전생태계 금융지원 △원자력생태계 지원사업 △원전수출보증 △원자력R&D 등 신규사업을 포함한 원전관련사업예산으로 3,000억원 이상 편성됐다. 자원비축 관련 한국광해광업공단출자는 2,330억여원으로 올해보다 526% 증편됐으며 해외자원개발에 약 398억원, 유전개발사업출자에 약 481억원 등이 편성돼 올해보다 증액됐다. 환경부, 탄소중립‧녹색산업 사업화 지원 추진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2024년도 환경부 소관예산 및 기금 총지출을 올해 대비 7.3% 증가한 14조4,567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내년 환경부 예산은 △홍수예방 등 국가 본질기능 강화 △녹색산업 육성 및 탄소중립 지원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 △환경 취약계층 보호 및 환경서비스 제고 등에 중점 투자한다. 특히 녹색산업 육성 및 탄소중립 전환지원과 관련된 사업예산은 △중소환경기업 사업화지원(781억원) △미래환경산업 육성융자(3,799억원)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지원(328억원) △탄소중립‧그린ODA(301억원) △녹색인프라 수출지원펀드 600억원 △무공해차 보급 2조3,988억원 △무공해차 충전인프라 7,344억원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236억원)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1,277억원) △친환경소비생활 및 저탄소생산기반 구축(311억원) 등이 편성됐다.
대한설비공학회(회장 정재동 세종대 교수) ZEB시스템전문위원회와 2023년 공공건축물 지역거점플랫폼(경기‧강원‧충북)은 8월2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지하1층 중회의실 7에서 ‘ZEB시스템전문위원회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건물부문 탄소중립 주요 전략으로 정부가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빌딩 기존 노후 건축물에 대해 그린리모델링(GR)을 추진을 병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린리모델링 관련 기술, 실효적인 그린리모델링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특히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건축물의 약 75%를 차지하는 노후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2020년부터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으며 매년 1,000건의 그린리모델링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역 중심 공공건축물 사업을 실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송두삼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2018년 설비공학회 내 ZEB시스템 전문위원회를 신설해 학회 차원에서 설비시스템 관련활동을 해왔다”라며 “최근 그린리모델링 확산이 지지부진한 경향이 있어 그러한 부분을 소개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고 운을 뗐다. 또한 “그린리모델링은 2020년 그린뉴딜로 시작했으며 지난 정부에서 시작한 사업으로 현 정부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건물부문 탄소중립에서는 당연히 기존 건물에 대한 그린리모델링이 중심이 돼야 하며 사실 그린리모델링은 ZEB와 특별히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정도의 차이로서 ZEB가 전체적인 부분을 맡고 있다면 그린리모델링은 선택적으로 어떤 건물은 리모델링인데 ZEB 수준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라며 “별 차이는 없는데 새로운 시장이 열리고 있어 관심을 갖고 그린리모델링도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과 중심 마을 단위 탄소중립 실현 이어 송두삼 교수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을 소개했다. 송 교수는 “제로에너지건물, 그린리모델링은 건물분야 탄소중립 구현에 필수가 되고 있다” 라며 “성과 중심의 ZEB, GR이 요구된다는 점과 마을 또는 도시 수준의 탄소중립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및 지역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라며 “건물분야 탄소중립을 위한 국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통계 활용 열관류율 저하 원인 규명 변지연 삼우CM건축사사무소 사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리모델링 기술로 기존 건물의 외피 열관류율 산정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노후 건물의 에너지성능분석 시 경년변화와 환경요인을 고려한 열관류율의 보정계수를 제안했다. 이를 통해 변지연 사원은 4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우선 노후 건물 40개의 현장 측정을 통해 외벽 열관류율 성능저하를 분석한 결과 실제 열관류율은 준공연도의 법적 열관류율보다 현저히 높았다. ISO 15686 및 회귀분석을 통해 단열성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요인을 선정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는 마감재의 종류, 색상, 마감처리의 종류, 바다와의 거리,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정도, 인접 건물의 근접성 등이었다. 관련 연구에서 제안한 Factor 방법은 실측열관류율과 평균 6.6%의 오차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또한 오차범위도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해당방법은 복잡한 현장 측정없이 빠르게 노후 건물의 저하된 외벽 열관류율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는 40개의 제한된 표본에서 얻은 현장결과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건물 유형 및 환경조건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상 지역 및 건물을 확대해 추가적인 변수를 더 고려한다면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제 건물 환경 중심 E절감량 산출박소민 성균관대 연구원은 기존건물의 에너지성능평가 및 그린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절감량 산정방법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그린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절감효과 분석방법 △실제 건물에너지사용량을 이용한 그린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절감 효과 분석방법 △그린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절감량 산정을 위한 대안 △Quasi-steady state방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에너지사용량의 측정가능 여부 등을 주로 다뤘다. 건물의 실제 운영 데이터를 활용한 그린리모델링에 의한 에너지절감량 산정을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와 기존에 주로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방법은 입력데이터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실제에너지사용량을 사용하는 방법인 M&V Whole facility methods는 통계적 추론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으로 추론에 의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대안으로써 M&V Calibrated method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분석했다. 이 방법은 실제 건물의 운영환경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툴의 입력값에 대한 선정에 따라 정확도가 판별되므로 통계적 추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M&V Calibration method의 정확도는 측정 가능성에 따라 정확도가 판별되므로 건물의 실제운영 환경을 반영한 입력데이터를 선정해 활용가능성을 검토한다. 그 결과 난방과 급탕, 조명, 환기, 조리 및 기타 가전 기기에 대해 MBE 20% 이내로 측정이 가능했다. 실제 건물 운영에너지사용량과 시뮬레이션 오차 최소화가 가능하면 그린리모델링 후 에너지절감효과 분석뿐만 아니라 그린리모델링 전 사전조사 과정에서 기존 건물의 에너지성능분석 미 그린리모델링의 기술요소 적용 등 설계과정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추후 환절기와 냉방기에 대한 측정을 통해 기존 건물에 대한 에너지성능 분석가능성을 추가 분석하며 최소한의 실측을 통한 작동 모델을 도출할 예정이다. E시그니처모델, 난방에너지소비 척도 심지수 성균관대 박사는 ‘그린리모델링 대상건물 선정을 위한 기존 건물 성능평가 방법’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연구 배경 △연구 목적 △그린리모델링 대상건물 선정방법 제안 △결론 △추후 연구 등으로 진행됐다. 준공연도가 오래된 건물인가 아니면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건물인가, 준공연도도 오래되고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건물을 노후건물이라고 판단해야 하는가 등 3가지 과정이 정의될 수 있다. 심 박사는 이미 보편화된 방법인 에너지시그니처모델을 활용한 성능 평가방법을 제안했다. 에너지시그니처방법은 건물 난방이나 냉방 에너지소비량이 결국 외기온도가 하강하고 증가함에 따라 각각 에너지소비량도 변화한다는 것이 가정되는 모델이다. 일반적으로 2가지 방법 관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먼저 실제 수집된 건물 에너지소비량과 외기온도를 플로팅해서 난방에너지를 플로팅하면서 난방에너지소비량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물리적 요소로 시그니처를 만드는 방법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난방에너지소비량과 외기온도간 기울기를 민감도(Sensitivity)라고 하는데 기울기 두 가지 요소가 도출된다. 첫째로는 균형적 온도라고 해서 에너지소비량으로 플로팅했을 때를 고려하면 이 점이 의미하는 바는 결국엔 난방에너지가 소비되는 시간, 난방이 가동되는 시점에 외기온도라고 보면 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물리적 관점에서 균형적 온도가 동일하게 설명된다. 건물을 생각해보면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온도는 결국 난방열 건물의 열손실과 열획득 두가지 비율로 형성된다. 그렇다면 난방의 열손실과 열획득 비율로서 형성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난방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제 균형적 온도는 열손실량과 열취득량의 비율로 설명이 되는데 조금 더 쉽게 풀이해보자면 벽체열관류율 또는 창호열관류율 같은 열손실과 재실자 특성 설정온도나 재실밀도 등이 다같이 고려된 변수라고 볼 수 있다. 보일러의 효율로 보면 외기온도가 변화함에 따른 난방에너지소비량의 속도라고 보면 된다. 건물이 열손실이 되는 것만큼 보일러의 효율에 따른 난방에너지소비라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2가지 요소는 각 건물의 물리적인 성능과 재실자의 특성을 모두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수 박사는 “제 연구 목적 관점에서 결국 균형적 온도는 재실자의 과소비 재실자가 설정온도를 너무 높인다거나 설정온도를 많이 낮춘다든가 하는 소비를 고려할 수 있다”라며 “기울기는 결국 건물의 노후도, 건물 벽체열관류율이 낮아진다던가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 변수”라고 밝혔다. GR 적용 시 BECx 프로세스 적용 필요임종연 강원대 교수는 ‘건물외피커미셔널의 비용과 편익: 공공건축물 GR 사례’라는 주제를 발표했다. 임 교수는 “연구를 통해 그린리모델링 건축물 대부분 시공오류로 인해 ‘건물 외피’에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러한 시공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BECx 프로세스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린리모델링 확대를 위해서는 비용회수가 가능해야 하며 기간이 짧아야 할 것”이라며 “관련 연구에서 BECx의 효과를 보인 건축물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규모가 크고 추가적인 운용비용이 많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또한 “건물 규모가 커질수록 에너지소비는 증가하고 BECx의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에너지사용량이 많은 건물은 BECx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비록 기존 프로젝트 비용에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겠지만 커미셔닝분야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적정 설비용량 선정 필요홍구표 강원대 교수는 ‘그린리모델링 설계 시 적정 냉난방부하 산정’을 주제로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탄소중립시대 건축의 변화 △그린리모델링에서 냉난방용량 적용 현황 △설비용량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검토 △설비용량 산정을 위한 노력 등으로 진행됐다. 홍구표 교수는 “그린리모델링에서 냉난방부하가 감소됐어도 설비용량 증가사례가 많다”라며 “ 사후관리 대비 및 실제 에너지소비량을 줄이려면 적정 설비용량 선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설계용 외기조건 최근 기상데이터 검토, 실내 설정온도 실태조사와 향후 그린리모델링 적정 용량 산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대상건물의 쾌적(열쾌적, 실내공기질 쾌적 등)을 먼저 고려하며 에너지절약(온실가스 배출저감)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벤치마크데이터, GR 성능평가 활용 가능서동현 충북대 교수는 ‘주거건물 에너지벤치마크데이터 개발 및 효율등급평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벤치마크데이터를 소개하는 한편 △HEPS Microdata 활용 △건물에너지 벤치마크데이터 도출과 효율지표 제안 △국내 벤치마크데이터 결과 비교 등으로 구성됐다. 서동현 교수는 “미국의 벤치마크데이터 구축과 활용체계와 평가기술이 가장 진보적인 것”이라며 “기반 DB조사 및 구축과 B‧M DB구축 및 건물성능 평가체계, 평가도구와 건물검증 시행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의 경우 모든 것을 정부가 주도해 추진함으로써 형식은 갖췄으나 실효성은 떨어지는 상황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벤치마크데이터 확보가 시급하며 현재로서는 HEPS DB활용이 가장 현실적이다. 국토부 DB 보조활용도 가능하다. 현재 개발된 벤치마크데이터는 국토부 표준베이스라인 데이터에서 이미 주장한 것처럼 GR 성과평가에 직접 활용 가능하다. 서동현 교수는 “기술적으로는 다양한 용도건물 그룹별 에너지벤치마크데이터 제공으로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점진적으로 평가체계 및 평가도구 개선, 지자체 시행역량강화로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이터넷, 융합 빅데이터 활용 실소비량 평가 김덕우 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데이터넷: 새 시대의 새로운 데이터’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를 통해 건물에너지소비 데이터 통합관리 기반기술 개발 사업을 소개했다. 2050년까지 달성해야 할 건물부문 탄소중립 로드맵을 통해 4가지가 강조됐다.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를 에너지소비량 총량제와 동일시하면서 총량제와 연계한 노후건물 그린리모델링을 실시될 필요가 있다. 공공건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지원 대상 확대 및 의무화 단계적 추진과 민간건물 그린리모델링 확산을 강조했다. Building level identification(실효적 지표 기반 전국 건축물 선별-지원-관리)를 통해 필요데이터의 경우 에너지사용량과 영향인자간 상관관계가 고려돼야 한다. 융합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실소비량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다. 프로젝트 데이터넷을 통해 쓸만한 고품질 데이터로 믿을만한 성능 평가결과가 가능하며 과학적 의사결정(지원이나 제재)이 가능하다. 지속적 커미셔닝 활성화 필요윤성민 성균관대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한 도시건물 디지털트윈 커뮤니티’를 주제로 발표했다. 윤성민 교수는 “건물 외피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단열과 기밀이 중요하다”라며 “Smart thermostat 기술의 경우 IEA(국제에너지기구)가 효과적인 기술로 제시해 앞으로 주목된다”고 강조했다. 그린리모델링의 교훈을 통해 신축건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미래의 그린리모델링을 위해 어떤 센서를 어디에 어느 정도 규모로 설치해야 하는가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린리모델링 이후 사후관리 및 평가인 지속적 커미셔닝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환경을 활용한 광역진단 기술을 건물과 설비단위로 하향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커뮤니티 단위의 그린리모델링 구현과 보다 폭넓은 시각을 통해 자원, 폐기물, 물 등 자원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할 것을 주문했다. GR 적용 시 신재생E 시도 다양화 요구최영진 경기대 교수는 ‘그린리모델링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주제로 발표했다. 서론을 통해 △지구온난화와 온실가스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방향 △건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등을 진단했으며 건축물 신재생에너지 종류를 열거해 결론에서 종합적으로 향후 방향을 제시했다. 지구온난화 및 온실가스 배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적인 관심과 노력이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다양한 연구 및 정책이 진행 중이지만 현재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약 8%로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건축물의 성능 상승에는 한계가 있기에 건물에서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건축물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종류와 장단점을 태양에너지를 중심으로 확인했다. 최영진 교수는 “그린리모델링에서 건축물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집단에너지협회는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세텍(SETEC)에서 ‘ZEB 의무화 전문가 초청 간담회’를 개최해 민간으로 확산이 예정된 ZEB의무화 관련 정책 및 추진동향을 공유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했다. 전재구 집단에너지협회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이맘때는 날이 풀리기 시작했지만 올해는 아직 폭염이 이어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 및 재난이 끊이지 않을 정도로 기후변화가 심각해지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국가마다 탄소중립,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 감축, 제로에너지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집단에너지 측면에서 당면과제는 생산측면의 배출권거래제, 판매측면의 제로에너지 정책 등이 있다”라며 “배출권거래제는 올해 무상할당제가 종료돼 내년부터 유상체제를 준비해야 하며 제로에너지 정책에 따라 소요량이 줄어 판매량에 타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비한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전재구 부회장은 또한 “ZEB 민간의무화는 내년 민간 공동주택에 먼저 도입되며 2025년 1,000㎡ 이상 민간건축물에 도입될 예정”이라며 “집단에너지분야는 아직 ZEB내용이 생소할 정도로 대응이 늦었지만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새로운 시대에 집단에너지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의 발제자로 초청된 이명주 명지대학교 교수는 ‘제로에너지공동주택과 집단에너지’ 발표에서 “국내 최초로 121세대 전체 단지의 제로에너지를 달성한 노원이지하우스는 난방부하가 10W/㎡에 불과하다”라며 “집단에너지사업자가 기존에 43W/㎡로 계산해왔던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며 ZEB의무화가 공공‧민간시장에 정착할 경우 20W/㎡ 수준이 될 전망이어서 에너지공급량 계산에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노원이지하우스는 고단열, 열교차단, 기밀화 등을 적용한 외피시스템 개선으로 에너지부하를 61% 저감했으며 고효율설비를 통해 13%를 추가로 낮췄다. 이어 태양광 409kW, 지열 130RT 등 신재생에너지 적용으로 전체적인 제로에너지건축물을 달성한 사례다. 이에 따라 입주 후 4년간 세대당 월평균 에너지비용이 4만2,000원 수준으로 하루 약 1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ZEB의무화가 시행되면 이러한 고단열 외피시스템, 고효율설비, 신재생에너지 적용 등이 보편화될 전망이다. ZEB의무화는 주로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인증제도에서는 건축물의 1차에너지소요량,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등이 중요개념으로 다뤄진다. 인증평가 시 먼저 냉난방, 급탕, 조명, 환기 등 5대 부하의 에너지소요량을 각각 산출해 바닥면적으로 나눈뒤 합산해 단위면적당 에너지소요량을 도출한다. ZEB인증은 단위면적당 에너지소요량을 1차에너지로 환산한 결과값이 현행 제도 기준으로 주거용 60~90kWh/㎡‧yr, 비주거용 80~140kWh/㎡‧yr다. 문제는 1차에너지를 환산할 때 환산계수를 적용한다는 점이다. 1차에너지 환산계수는 전력생산 및 연료운송 등에 손실되는 손실분을 고려하기 위해 적용하는 계수다. 도시가스는 1.1, 전력은 2.75, 지역난방은 0.728, 지역냉방은 0.937을 에너지소요량에 곱해 도출한다. 이명주 교수는 “지역난방 환산계수가 도시가스보다 낮아 인증제도에서 유리할 것 같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며 “높은 반송동력, 분배손실이 발생해 낮은 환산계수의 이점을 상쇄하며 신재생에너지에도 속하지 않아 에너지자립률에도 인정받지 못하므로 인증제도 상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따라 인증획득에 유리한 지열을 주로 선정하고 있으나 집단에너지의 경우 낮은 투입비용, 편리한 유지관리 등이 장점”이라며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선택받기 위해 1차에너지 환산계수 현실화, 신재생에너지 생산기반 마련 등 조건이 갖춰질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제로 EU는 집단에너지를 중요한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검토하고 있다. 유럽기후재단(ECF)은 2019년 발표한 자료에서 탄소제로빌딩 열에너지 전환의 달성기여도를 가장 높은 비중으로 할당했다. ECF에 따르면 탄소제로빌딩은 △열에너지원의 전환 39% △건물성능 향상 19% △탈탄소 건축자재 19% △고효율 전기장치 11% △신재생에너지 전력 11% 등으로 달성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EU는 지역난방이 열병합발전이나 신재생에너지 기반을 경우 탄소중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 실제로 EU의 건물부문 탄소중립 전략 및 방안을 담은 EPBD는 신축건물의 경우 재생에너지 열원으로 생산된 에너지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포함된 지역냉난방을 고려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강화되는 건축물 에너지효율을 감안해 저온열원을 공급하는 4세대 지역난방이 활성화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100℃ 이상 공급하기 어렵지만 건축물의 효율이 향상돼 고온을 공급할 필요성이 낮아지므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40~60℃ 저온열원을 에너지효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간담회 전문가로 초청된 이응신 명지대 교수는 “집단에너지가 ZEB의무화 이후 선정받기 위해서는 1차에너지 환산계수 현실화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라며 “환산계수 도출공식에 따라 열에너지 생산량 및 판매량 등 데이터를 대입해 최근 5년간 지역난방의 환산계수를 산출한 결과는 현행 0.728보다 낮은 0.419”라고 밝혔다. 이어 “집단에너지 업계는 반송동력 효율화, 분배손실 최소화 등 기술개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라며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거나 폐열‧회수열을 통해 생산한 경우 지역난방을 신재생에너지에 포함함으로써 에너지자립률에 기여할 수 있을지, 저온열원으로 공급한 경우 효율성을 감안해 1차에너지소요량에 이점을 확보할 수 있을지 등 제도개선을 위한 활동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린리모델링(GR) 얼라이언스(위원장 송두삼)는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공공건축물 GR의무화에 따른 수요증가에 대비한 정책적, 제도적 정비방안dmf 공유하고 지자체 차원의 실효성 있는 GR활성화 방안을 공유하기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이 함께 주최했으며 행사는 △민간건축물 GR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을 위하여(강구영 국토안전관리원 차장)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견인하는 GR인정제(송두삼 성균관대 교수) △GR의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효과분석 툴 개발의 필요성(윤용상 한국에너지전산연구소 대표) △지자체 중심 GR사업의 실효적 수행을 위한 GR지역거점의 역할(오병철 국제기후환경센터 실장)등 발제로 구성됐다. 송두삼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GR얼라이언스가 3년차를 맞이한 가운데 국가정책의 시장확산에 대해 더 고민해야 할 단계지만 정부 예산‧재정여건에 따라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러한 가운데서도 탄소중립, GR 이슈는 필수적으로 가야만 하는 전 세계적인 방향성이므로 다소 부침은 있을지언정 결과적으로 끊임없이 지속되거나 촉발될 여지가 큰 분야”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간 GR얼라이언스는 다양한 연구활동과 정책제언, GR활성화사업 등을 위해 노력해왔다”라며 “앞으로 보다 실효적으로 GR을 추진하기 위해 민간에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혁기 국토안전관리원 본부장은 축사에서 “2050 탄소중립이 세계 공동의 목표지만 우리나라는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에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토부는 2025년 공공건축물 GR의무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산‧학‧연의 다양한 참여와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모아진다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GR얼라이언스는 매우 중요한 주체이며 위원들의 노력이 GR사업의 미래 원동력”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GR사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이 오가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첫 발표자로 나선 강구영 국토안전관리원 차장은 ‘민간건축물 GR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을 위하여’를 주제로 발표한 자리에서 “민간GR 지원제도로서 이자지원사업을 운영 중이지만 아파트 단위세대 위주의 사업인 점, 대형건축물‧저소득층 참여가 저조한 점, 8개 필수공사항목을 지정해 자율성이 제한된 점, 공사비 직접지원이 불가능한 점, 대출이자의 일부만 지원해 효과가 미미한 점 등이 한계로 지목된다”라며 “해외사례 등을 참고해 기자재 등 현물지원을 비롯해 포상, 공사비지원, 이자지원 등 현금지원으로 확대를 고민해야 하며 지원금액규모도 전향적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송두삼 위원장은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견인하는 GR인정제’ 주제발표에서 “2025년 공공건축물 의무화를 대비해 국가가 적정한 GR이 이뤄졌음을 인정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효과를 체감하며 자격을 부여할 수 있고 민간확산을 도모할 수 있다”라며 “앞서 건축공간연구원(AURI)은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및 관련 규칙개정을 통한 법적근거 확보와 인정제 운영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 사항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했으며 인정제는 부동산거래 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윤용상 한국에너지전산연구소 대표는 ‘GR의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효과분석 툴 개발의 필요성’ 발표에서 “현행 공공건축물 GR지원사업 가이드라인 상 지원항목 및 기술요소 세부기준을 살펴보면 배점체계상 예측가능성, 형평성, 비용효용성, 시공용이성, 온실가스 배출량 검토, 평가 및 의사결정의 신속성 등에 제한을 받는다”라며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실시간 건물에너지성능 평가 및 정보지원시스템을 활용해 다소간의 오차를 허용하더라도 현행 행정절차 요구시한을 감안해 의사결정의 신속성을 확보해 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오병철 국제기후환경센터 실장은 ‘지자체 중심 GR사업의 실효적 수행을 위한 GR지역거점의 역할’ 발표에서 “지자체는 특성상 일관성, 통일성, 전문성 있는 정책추진이 어려우며 예산과 전문인력 등 규모의 한계가 뚜렷하다”라며 “GR지역거점플랫폼과 같은 지원센터는 전문인력 교육, 사업검수 및 평가, 프로젝트 관리 등을 지원하기 때문에 부족한 예산, 전문성,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케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역할과 역량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발제 이후에는 송두삼 GR얼라이언스 위원장의 사회로 발표자를 비롯해 △김준태 공주대 교수 △서동현 충북대 교수 △서현철 경북대 교수 △임종연 강원대 교수 △이정재 동아대 교수 등이 패널로 참석해 GR얼라이언스 및 지역거점플랫폼의 활동과 정책‧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