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건축환경IT연구실은 건축과 인간을 둘러싼 물리적 환경에 주목해 안전하며 효율적인 건축공간창출을 위한 건축·설비적 접근법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양열·지열과 미활용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며 실제 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설계법을 연구하고 있다. 남유진 부산대 교수는 PVT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급탕·냉난방공급을 통한 ZEB실현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남유진 교수를 만나 연구진행상황과 PVT연구개발활성화 방안 등을 들어봤다. ■ PVT 연구배경과 목표는 PVT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이 단일시스템대비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지는 △에너지효율성 △경제성 △편의성 등의 관점에서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변동성이 큰 태양에너지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설비와 함께 사용하려면 건물의 열·전기 수요를 고려해 적절하게 용량을 설계하고 최적의 운전을 해야하나 어떤 기준에서 설계하며 어떻게 운전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설치환경이나 설계조건·재실상황 등이 복잡하게 연계돼 있어 최적 설계방법을 정립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PVT를 기존 전기설비나 냉난방
공주대 산학협력단 그린에너지기술연구소는 에너지저감기술 연구를 위해 △에너지소재 △에너지통합모듈 △에너지관리시스템 원천기술 연구 △전문적인 고급 연구인력 육성 등을 위해 설립됐다. 김진희 공주대 건축학과 연구교수는 △고효율 PVT상용화유닛 개발 △모듈러방식 공기식 건물일체형 PVT(BIPVT)시스템 개발(국제공동) △BIPVT와 히트펌프시스템이 연계된 스마트그리드 기술개발(국제공동) △PVT 성능평가 기반구축(표준화)을 위한 기초연구 등을 진행했다. 김진희 교수를 만나 PVT연구배경, PVT성능표준화 용역수행 배경 등을 들었다. ■ 국내·외 PVT시장 동향은 해외 PVT시장은 20년 전부터 시작돼 최근 몇 년 사이 상용화가 이뤄져 시장에 보급되고 있다. 국내 PVT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시작됐으며 열매체를 액체로 하는 온수를 생산하는 PVT집열기에 대한 상용화가 이뤄지고 있다. ■ PVT 연구성과는 2006년부터 액체식 PVT 연구개발을 시작으로 공기식 PVT에 이어 BIPVT시스템에 대한 수 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PVT컬렉터 성능 표준화와 시스템연계 연구 △국내 액체식 PVT표준화를 위한 성능평가 기반구축
이맥스시스템은 2004년 설립돼 건물 종합냉난방시스템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태양열집열기 제조업을 시작으로 PVT복합모듈·BIPV모듈 등을 생산·판매 중이다. 라미네이션 타입의 유창형·무창형 PVT모듈을 생산하고 있으며 무창형 모듈은 올해 초 산업통상자원부의 적합성인증을 취득했다. 최근에는 삼성전자와 저가형 PVT복합모듈을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특허출원 진행중이다. 글로벌 PVT시장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잠재력을 키우는 중이며 PVT시스템의 제도권 진입을 위해 2021년부터 태양열융합협회와 협업하고 있다. 자체제작 PV모듈로 성능·품질우위 PV모듈 후면에 집열부를 접착하는 일반적인 PVT모듈 제작방식과 달리 이맥스시스템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PV모듈 제작공정부터 자체적으로 진행한다. 이맥스시스템의 관계자는 “셀 태빙(Tabbing)·스트링잉(Stringing)·라미네이션 등의 공정을 자체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제품기술이나 품질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성능이나 품질의 균일성 측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라며 “대량생산 시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원가절감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고 밝혔다. 이어 “셀과 집열부의 라미네이션을 통한 접합은 매우 중요
1987년 창립된 장한기술은 지난 37년간 기계설비분야에서 신제품·신기술 국내도입에 앞장서왔다. 원가우위를 기본으로 하는 경영전략을 바탕으로 창의활동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혁신에 도전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해 고객의 가치향상에 기여하는 기술전문가들의 집단이라는 조직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 사업영역은 하이드로닉스(물을 이용한 냉난방기술)와 열에너지융합분야로 PVT·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수요와 공급의 디커플링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연구를 꾸준히 진행 중이며 경험과 열에너지융합솔루션을 바탕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열에너지시장을 선도하고있다. 장한기술의 PVT제품인 ‘CoolPV’는 30년 이상 수명이 보장되며 취급이 용이하다. 높은 내부식 성능을 가진 경량소재 폴리머집열기를 조립한 PVT로 하부구조물과 지붕구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했다. 특허기술 ‘태양광패널용 집열기 조립키트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열 복합조립체·제조방법’을 적용한 원터치조립구성품을 제공해 설치자가 쉽게 조립·시공할 수 있다. ‘CoolPV’는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이 높은 전기온수생산시스템으로 연간 전기 452,965kWh·열 883,399kWh을 생산할 수 있으며 산업융합혁신품목에 지정돼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은 9월5일 개최된 '2024 녹색건축한마당' 행사장에서 SC제일은행(행장 박종복)과 ‘ESG 금융지원을 위한 건물에너지 데이터베이스(DB) 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민간의 자발적인 에너지절감과 이에스지(ESG) 금융 확산을 위해 마련됐으며 양 기관은 건물에너지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한 ‘ESG 금융상품’을 출시하는데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출시될 ‘ESG 금융상품’은 건물에너지 절약에 동참하는 개인 또는 개인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원별 사용량 감축 횟수에 따라 우대이율 혜택을 제공하는 적금상품이며 내년 1분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부동산원은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녹색건축포털(그린투게더)에 ‘ESG 금융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에너지원별 감축 결과를 SC제일은행에 제공할 계획이다.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은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10조에 근거해 구축한 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정보체계로 건물에너지 데이터베이스(DB)와 관련 응용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김남성 부동산원 산업지원본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민들이 생활 속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동참하며 금
BITZER는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고양시 KINTEX 전시장에서 열리는 HARFKO에 ’SHAPING THE FUTURE WITH YOU’라는 모토로 참가한다고 밝혔다. 전시장 위치는 KINTEXT 제1전시장 1홀 C-61번 부스다. BITZER는 이번 전시회에 탄소배출량을 더욱 줄이기 위한 Low GWP 및 자연냉매 솔루션을 비롯해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대거 출품한다. BITZER Korea는 이번 전시회에서 IQ MODULE CM-RC-02를 집중 조명할 예정입니다. IQ MODULE CM-RC-02는 2024년 초부터 독일Schkeuditz공장에서 출고되는 모든 ECOLINE 왕복동 압축기 시리즈 C3 이상 모델에 표준으로 장착되고 있다. IQ MODULE은 냉동공조 및 히트펌프시스템을 위한 압축기 설치, 작동, 유지관리 및 개조를 단순화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전시회 첫 날인 9월 25일에는 IQ MODULE CM-RC-02에 관한 기술세미나도 예정돼 있어 보다 자세한 설명을 BITZER 전문가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전시회 기간 3일 동안 방문객들을 위해 BITZER 부스 내 IQ MODULE CM-RC-02 Quick T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미활용에너지를 식물공장에 적용해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식물공장시스템 개발 및 실증이 추진된다. 수에너지(대표 류상범)는 9월5일 신라스테이 여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에너지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사업 '미활용에너지 활용 에너지절감형 식물공장시스템 개발 및 실증' 과제 킥오프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미활용에너지 관련 실증사업 발굴 및 식물공장시스템 적용을 위한 여러 기관 간 정보공유 및 사업기술 활용전략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번 R&D의 전체사업비는 약 243억원이며 이중 정부출연금은 185억원 규모다. 1차년도에 40억원 내외가 지원된다. 주관연구기관으로 수에너지,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한국이엔씨 △영진기술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녹색에너지연구원 △국립순천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HM에코팜 △OCI △아이온텍 △모스브라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월드이엔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냉동공조인증센터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이 참여한다. 연구기관 외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라남도 △광양시 한국에너지공단 광주전남지역본부
삼영종합기기는 1977년 냉동부품, 콤프레셔 등 산업용 냉동자재 유통업체로 설립된 이후 1987년 콤프레셔 글로벌기업인 독일 BITZER와 한국 에이전트계약을 체결하고 반밀폐 왕복동 콤프레셔 및 스크류 콤프레셔 전 모델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1994년 공랭식 열교환기 전문기업 이탈리아 루베(LU-VE), 2003년 공조·냉장·냉동 스크류 콤프레셔기업 대만 후셍(FUSHENG)과 에이전트 계약을 맺고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왔다. 현재는 콘덴싱유니트, 유니트쿨러, 칠러냉각기, 이원냉동기 등 다양한 제품생산을 통해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CO₂시장을 겨냥해 CO₂ 초임계시스템 유니트를 개발하는 등 제품 라인업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삼영종합기기는 오는 9월25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HARFKO 2024에서 △CO₂ 초임계시스템 유니트 △인버터 VARIPACK 적용 콘덴싱유니트 △CM-RC-02 IQ 모듈 적용 콘덴싱유니트 등을 출품한다. 친환경냉매 CO₂ 초임계시스템 유니트 출시 삼영종합기기는 글로벌 규제와 미래시대를 위한 필수 준비사항으로 CO₂ 냉동기 개발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전문기업 Bitzer와
한새(대표 김진석)는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해 23년간 국내‧외 공급중인 헤파‧탈취필터 외에도 한새가 개발한 생분해성(PLA), 국내 유일 90일 반복흡입 독성평가가 완료된 항균코팅 기술, 장수명‧세척 등이 가능한 PP소재의 전열교환소자 등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공기용 헤파‧탈취‧기능성 필터는 23년 공기만을 연구 개발하는 한새만의 뚝심있는 기술이며 100% PLA 필터‧마스크는 플라스틱 필터 폐기물 저감과 탄소저감에 앞장서는 친환경 솔루션을 선도하고 있다. 환경부 인증 국내 유일 90일 반복 흡입독성 항균코팅은 스파이크 구조의 항균막을 형성해 1회 코팅으로 최대 90일 항균력 지속한다. 한새의 고분자 전열교환소자는 기존 종이소자대비 낮은 차압과 세척 가능한 10년 장수명을 가진 전열교환소자다. 최근 탄소저감 및 미세플라스틱 제로를 위한 100% 생분해 PLA를 개발해 필터‧마스크 등 다양한 상품에 적용해 개발완료 및 진행중이다. 잠자리 날개에서 발견한 스파이크 구조를 응용한 항균제를 개발해 국내 유일 90일 반복흡입독성
65년 전통의 프랑스 오배수 펌프 솔루션 기업인 애스애프애이코리아(SFA Korea Ltd.)는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리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 HARFKO(하프코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SFA Korea는 생활 오수 배수 펌프 ‘사니탑 업(Sanitop UP)’, 생활 하수 배수 펌프 ’사니샤워 플러스(Sanishower )’, 리프팅 스테이션 ‘사니큐빅 2 클래식(Sanicubic 2 Classic)’ 등 한국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대표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펌프 시연을 통해 실제로 펌프가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SFA Korea의 펌프 솔루션을 처음 접하거나 펌프 실물이 궁금했던 고객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바닥 배관 공사 없이도 급수시설과 콘센트 연결만으로 간단히 배수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돕는 SFA의 펌프는 ‘Made in Europe’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뛰어난 성능과 디자인은 물론 공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신뢰받는 펌프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특히 대
전자기 제품 및 시스템 전원망에서 전기 효율 향상을 위한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코아텍은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인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해 냉난방 및 환기관련 제품 및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및 전자파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주요 제품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코아텍의 제품들은 세계 제1의 커넥터 회사라 불리는 TE connectivity Ltd의 제품 및 전자파 노이즈 필터분야에 세계 1위의 Schaffner와 함께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확고한 신뢰성을 보장받고 있다. 코아텍의 제품들은 크게 EMC‧EMI 제품(단상필터, 3상 필터, 인릿필터, 초크, PCB 필터, 관통형 필터, 펄스 트랜스 포머, 라킹 전원코드 외), 전력품질 제품(능동형 고조파 필터, 수동형 고조파 필터, 출력 필터, 리액터 및 LCL 필터), 전기자동차 제품(저주파 안테나, EMI 필터, HV 트렌스포머, PFC인덕터, DC 인덕터)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기계 및 로봇 공학, 빌딩 자동화, 에너지관리, 자동차, 의료, 데이터 및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는 9월25~27일 열리는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 전시회에 이비엠팝스트코리아(대표 이근섭)가 참여한다. 이번 전시회에 참여하는 이비엠팝스트코리아는 독일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산업용 팬모터를 전문으로 제조하는 글로벌기업 ebm-papst의 한국법인으로 환기, 냉장 및 공조산업, 데이터센터, IT 통신을 위한 대규모 전자장치시스템 냉각용 팬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다. 전시품목으로는 3세대 모터와 임펠라가 결합돼 높은 효율로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신제품 RadiPac3, 최대 에너지효율과 IoT 및 디지털 네트워킹 장점을 결합한 솔루션 epNeo Demonstration, 고주파 대응을 위한 필터 일체형 모터 Active PFC, 한 차원 높은 압력과 성능에 안정성을 강화한 Axial Fan 시리즈 AxiEco, 새롭게 선보일 보다 높은 안정성을 위한 이중화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FanGrids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RadiPac3는 3세대 모터와 3세대 임펠러가 결합, 높은 효율과 업그레이드된 성능의 신제품이다. 새롭게 개발된 임펠러는 효율성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제공한다. 고강도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사용해 5개의 공간적으로 비틀어
‘JAPAN SUN OIL’ 공식수입원 세용트레이딩(대표 공기태, www.seyongtrading.co.kr)은 오는 오는 9월25일부터 9월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KINTEX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하프코 2024)’에 참가해 POE합성냉동기유 SUNICE SL & HYBRID시리즈를 선보인다. 세용트레이딩은 세계적인 윤활유 제조사인 재팬 선 오일 컴퍼니(JAPAN SUN OIL COMPANY)의 한국공식수입원으로 이번 HARFKO 2024에서 선보이는 SUNICE HYBRID 제품은 기존 냉동기유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컨셉의 냉동기유다. SUNICE HYBRID 제품은 재팬 선 오일 컴퍼니가 개발한 혁신적인 냉동기유로 HFC와 HFO 등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냉매에 동시적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기존 상식을 뒤집는 냉매와 상호용해하지 않는 컨셉으로 개발돼 냉매량이 감소되거나 향후 다양한 냉매가 개발된다해도 SUNICE HYBRID 1가지 오일로 대응이 가능하다. 세용트레이딩은 CO₂냉매에 대응하는 POE오일도 준비 중이다. 국내에 점차 CO₂(R-744)냉매적용이 확대
한국마이콤(대표 오무라 토시오, www.mycomkorea.com)은 9월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HVAC&R 냉난방공조전문전시회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ARFKO 2024)’에 참가해 산업용 최초 CO₂ 단일냉매 유니트 패키지인 ‘MC-ECO2’, 수소스테이션 냉각설비, 에너지절약 솔루션 가로순환형 에어커튼 ‘THERMO SHUTTER-K’ 등 친환경 제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MC-ECO2는 지난 2022년 HARFKO에서는 ‘NOBEL’이라는 이름으로 출품됐으나 지난해 ‘NOBEL’이라는 이름에서 친환경 제품임을 알 수 없어 직관적이지 않다는 의견과 기존 제품과의 통일성을 부여하자는 의견을 반영해 ‘MC-ECO₂’로 제품명을 변경했다. MC-ECO2는 대한민국 최초의 산업용 CO₂ 단일 냉매 냉동기로, 2023년 5월 초임계 냉동시스템에 대한 특허 취득을 완료하고 실제 현장에 설치돼 에너지 및 전력요금 절감 효율을 인증했다. 또한 오존층파괴계수(ODP) ‘0’, 지구온난화계수(GWP) ‘1’ 이하로 2024년부터 시작되는 수소불화탄소(HFCs)의 규제와 함께 심해지는 프레온냉매 규제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특
정양SG는 1986년 설립된 발포폴리스틸렌 전문 제조기업으로 단열관련제품과 신규공법을 개발해왔다. 제로에너지건축(ZEB) 실현에 필요한 열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열 취약부위인 발코니, 파라펫, 공동주택 세대간 수직벽체에 적용되는 구조용 열교차단재를 8년 이상 연구해 국산화율 100%의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정양SG가 개발한 구조용 열교차단재는 적용기술과 품질 우수성 등을 모두 인정받아 신제품(NEP)인증을 획득했으며 지난해 산업기술진흥유공 신기술실용화 단체부문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정양SG는 단열, 열교차단기술분야 특화기업이 되기 위해 전체 매출액의 일정비율 이상을 꾸준히 연구개발에 투자해왔으며 기업부설연구소는 건축물에너지평가사를 포함한 전문인력들로 구성돼 다양한 연구실적을 거두고 있다. 순수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한 구조용 열교차단재 ‘LBN Modular’는 구조체 형상으로 단열이 불가피하게 끊기는 부위의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에 매립해 시공돼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내력 단열재다. 즉 건축물에서 단열재와 구조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에 제품적용에 따른 단열성능 향상, 결로개선 등은 물론 수십차례의 실물실험을 통해 모델별 구조 안정성을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