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5.9℃
  • 구름많음강릉 8.1℃
  • 맑음서울 8.1℃
  • 맑음대전 8.4℃
  • 박무대구 7.5℃
  • 구름많음울산 9.6℃
  • 맑음광주 8.9℃
  • 맑음부산 11.5℃
  • 맑음고창 8.4℃
  • 흐림제주 11.1℃
  • 맑음강화 8.1℃
  • 맑음보은 4.3℃
  • 맑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9.0℃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제냉전에서 만난 사람들] 황준현 매그플러스 대표

“신냉매 무급유 압축기 관심 확인”
“R1233zd 대온도차 HP용 압축기·수냉식칠러 개발”

매그플러스는 2001년 1월 설립돼 비행체계 전력변환기 및 잠수함 내 주장비용 인버터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대용량 고속모터를 응용한 터보기기시스템 중 하나인 무급유 터보 냉매압축기를 2009년 개발, 생산하고 있는 기술집약형 전문기업이다. 중국 제냉전에 출품한 황준현 매그플러스 대표를 만나봤다. 
 
■ 제냉전 출품 배경은 
지난 2020년 우한에서 개최될 제냉전에 전시부스를 확정한 후 코로나19로 인해 전시가 무산되면서 4년만에 북경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 출품을 준비하면서 감회가 새로웠다. 이번에는 새로 개발한 MRC200H와 R1233zd 냉매를 적용한 대온도차 히트펌프용 압축기인 HP350을 함께 전시해 참관객들의 많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주력제품 특장점은
700kW급 무급유 터보 냉매압축기(MR200) 개발을 시작으로 압축비를 2.6에서 3.3으로 증가시킨 MRC200H 개발을 완료했다. R134a를 사용하는 1,800kW급 압축기를 현재 개발 중이다. GWP 10 이하 비가연성 저압냉매(R1233zd)를 사용하는 압축기를 2020년부터 개발해 85℃의 온도차(냉수 5℃, 온수 90℃ 동시생산)를 생산하는 히트펌프 개발을 완료했으며 200RT급 수냉식 칠러도 개발 중이다. 

■ 기존 제품대비 경쟁력은
무급유 터보냉매압축기는 고속모터와 센서리스 인버터, 능동형 자기베어링의 설계·시험기술이 필요하다. 매그플러스는 무급유 터보냉매압축기의 핵심기술을 모두 내재화해 양산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변화된 성능의 제품개발 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하며 자체생산이 가능해 외부의존도가 높지 않아 단가경쟁력 확보가 쉽다. 또한 압축기 개발을 넘어 칠러를 설계, 제작하는 기술도 확보했으며 칠러 제어기술도 개발해 압축기 수요기업에 기술지원도 가능하다.
 
■ 제냉전 출품 제품과 비교한다면
이번 제냉전을 통해 최근 4~5년간 중국기업들의 무급유 냉매(R134a) 압축기 개발이 다수 진행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어느정도 사업화가 진행됐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댄포스보다 더 많은 제품 라인업을 완성한 기업들도 있었다. 하지만 매그플러스는 친환경을 고려한 저압·신냉매 적용 압축기를 개발할 정도로 보다 미래지향적인 위치를 선점했다.
 
■ 제냉전 트렌드를 평가한다면
몇 년전까지 댄포스가 개발한 무급유 냉매압축기가 제냉전 칠러 대부분에 적용돼 시장을 독점한 듯한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하지만 이번 제냉전에서는 많은 중국기업들의 약진이 돋보였다. 많은 중국기업이 자기 및 가스베어링을 적용한 무급유 냉매압축기를 라인업하며 무급유 압축기시장이 춘추전국시대가 됐다. 

■ 제냉전에서 주의깊게 본 제품은 
국내에서 에어포일 베어링을 적용한 무급유 냉매압축기가 개발돼 상용화됐으나 시장진입에 실패한 바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하이얼과 던엔부시는 에어포일 타입 대신 냉매가스를 고압으로 밀어내는 냉매가스 분사방식 베어링을 적용한 무급유 냉매압축기를 출품했다. 이는 생산가격에서 자기베어링보다 더 경쟁력이 있어 저용량시장에 터보압축기가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