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우 건축물에너지평가사는 △새한수지 △동인산업 △벽산 △동천 △경동원 △금호석유화학 등 6개 기업과 함께 8월14일 서울 강남 토즈타워에서 ‘만나보는 4898’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변경·강화된 KS M ISO 4898의 단열재 관련 친환경·화재안전 성능을 설명했으며 유기단열재를 제조하는 6개사의 제품소개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세미나에는 박현우 건축물에너지평가사를 비롯한 평가사·평가기관, 에너지공단, 제로에너지 인증기관, 단열재 관계자, 단열재 제조사, 건축사, 컨설팅사 등 국내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박현우 평가사가 발표자로 나서 개정된 KS M ISO 4898 표준과 주요 변경사항 등을 설명했으며 단열재 제조사들이 각사 제품들 소개와 적용 가능 부위 등을 발표했다. 추가로 박덕준 ZEB센터 센터장이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건물에너지 신고등급제'를 설명했다. 박현우 건축물에너지평가사는 KS M ISO 4898 단열재 표준을 소개했다. 지난 2024년 7월 유기단열재 개정이 최종 확정·시행됐다. 이후 같은 해 12월 KS M 3809 표준은 유예기간 종료로 폐지됐고 건축물의 제로에너지화, 화재안전, 친환경성 등에 대
효성굿스프링스는 데이터센터시장에 최적화된 국내 유일 국산화 기술을 적용한 펌프를 선보였다. 효성그룹의 펌프솔루션 전문기업인 효성굿스프링스는 AI산업 성장과 고성능 IT 인프라 확산으로 고효율·친환경설비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센서리스 인라인 펌프 △건식 오배수 패키지 △소방펌프 패키지 등 총 3종의 제품을 선보였다. 대표 제품인 센서리스 인라인펌프는 기존 밸브 제어방식 대비 최대 75%의 에너지가 절감되기 때문에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국산 기술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효성의 국내 기술진이 국산 부품으로 직접 설계·제작한 이 펌프는 △인버터 일체형 구조로 설치공간과 비용을 축소하고 △유지보수와 신속한 기술대응이 가능해 운용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솔루션으로 꼽힌다. 특히 효성굿스프링스의 국내 기술진이 독자 개발한 제품으로 기술국산화를 실현하고 동시에 해외 의존도를 낮춰 국내 관련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데이터센터는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필수다. 효성굿스프링스는 이에 특화된 펌프솔루션으로 개발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건물·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인버터 일체형 구조와 센서리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민간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너지절약설계기준) 개정안을 마련해 8월13일부터 9월1일까지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전했다. 에너지절약설계기준(△30세대 이상 공동주택 △단독주택 △동·식물원 등은 제외)은 건축물의 △설계단계 △단열강화 △고효율설비 적용 등을 통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고 저에너지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한 인·허가 의무기준이다. 국토부는 그간 공공건축물 대상으로 ZEB인증을 의무화하는 등 공공을 중심으로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선도해 왔다. 이번 개정안은 공공뿐 아니라 민간건축물도 ZEB 5등급 수준의 에너지성능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줄이고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오는 12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30세대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 대한 ZEB 5등급 수준 설계기준 강화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에 따라 지난 6월30일부터 이미 시행되고 있다. 국토부는 간담회와 정책설명회 등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개정안을 마련했다. 항목별 점수를 취득하도록 하는 시방기준은 현행 기준점수(민간 65점)를 유지하되 연면적 1,000㎡ 이상 건축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부설연구소인 패시브제로에너지건축연구소(IPAZEB)는 지난 8월1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ZEROFIX 2025 프로그램의 실전 활용과 기술적 특장점을 소개하는 하반기 기술강습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IPAZEB은 지난 2015년부터 국내 건물에너지해석기술 자립을 목표로 건물리모델링에너지해석프로그램 자체 알고리즘을 개발해 왔다. 박성중 부소장에 따르면 IPAZEB은 국제기준인 ‘DIN V 18599: 2018’과 ‘ISO 52000’ 등을 분석해 국내 기후와 건축환경에 최적화된 에너지계산코어를 완성했다. 이번 강습회는 ZEROFIX의 활용방법을 공유하기위해 마련됐다. 에너지성능해석, 리모델링 설계, 제로에너지건축물(ZEB)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기능들이 소개됐으며 이후 기존건물 에너지시뮬레이션과 리모델링건물 에너지시뮬레이션 실습이 진행됐다. 서동현 친환경설비학회 수석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친환경건물 구현에 있어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도구는 매우 중요하다”라며 “국내는 ECO2 중심의 평가가 진행되고 있지만 기술수준이 글로벌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기술지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IPAZEB는 지난 10여년동
최신 데이터센터(DC) 기술과 산업트렌드를 공유하는 DC 전문전시회인 2025 데이터센터코리아가 8월13일~14일 aT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많은 DC기술 및 인프라 전문기업들의 부스전시와 함께 ‘AI시대의 DC기술’을 주제로 많은 컨퍼런스와 전문가교육이 이뤄졌다. 행사 첫째날인 8월13일 개최된 ‘SESSION 1: DC정책과 미래’ 컨퍼런스에는 △AI시대, 인프라정책의 전환점: DC정책, 다시 설계할 시간(맹영재 URED 대표) △DC 재생E 공급을 위한 국내 RE100 현황(최종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Data Center for AI(모기진 한국HPE 전무) △2024~2025년 DC 설계동향 및 2026년 예상설계 트렌드(박배균 하이멕(HIMEC) 본부장) △한전 전력통신망 소개 및 협력모델(윤종현 한국전력공사 ICT기획처 인프라계획실 부장)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약 300여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이며 AI시대 DC정책 및 기술, 인프라 등의 나아갈 방향과 지속가능성을 논의했다. DC 정책전환 기로⋯ 정부·기업 합의점 찾아야 맹영재 URED 대표는 ‘AI시대, 인프라정책의 전환점: D
설비기술협회 데이터센터기술위원회는 8월14일 ‘2025 데이터센터 코리아’ 부대행사로 aT센터 컨퍼런스룸에서 전문가 교육Ⅲ 세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기홍 기성이앤씨 사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위한 Glycol 실시간 모니터링과 수처리 전략(손준석 한국 이콜랩 부장) △Flow solutions for Date Centers(유열 조지피셔코리아 매니저) △Make the invisible visible AI와 디지털트윈이 바꾸는 데이터센터 냉각(박민혁 아텍스 선임매니저) △데이터센터 리퀴드쿨링을 위한 퀵 커플링 솔루션(이영준 스토브리코리아 팀장) △데이터센터의 분산전원 연료전지(김형기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수석)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위한 스마트워터 솔루션(이용철 윌로코리아 팀장) △SDI UPS 백업용 Battery System 소개(엄재필 삼성SDI 그룹장) 등의 순으로 세미나가 개최됐다. 액침냉각 시대 대비, 유체관리 모니터링 중요 AI시대 DC냉각은 서버칩을 직접적으로 냉각하는 다이렉트 투 칩(D2C: Direct-to-Chip)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칩 냉각 솔루션에서 사용되는 특수 용액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 추
한국설비기술협회 데이터센터기술위원회가 주최한 데이터센터 전문 전시회인 ‘2025 데이터센터코리아’의 컨퍼런스 행사로 DC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SESSION 2 전문가 교육 Ⅰ’이 지난 8월13일 양재 aT센터에서 진행됐다. 이번 교육에는 △DC TCS 모듈설계 및 수냉식 시스템 에너지 평가(조진균 국립한밭대학교 설비공학과 교수) △고발열 서버 냉각장치용 하이브리드 UPS 및 AI DC용 파워솔루션(임승범 이온 이사) △DC 서버룸 냉각수공급 POINT 버퍼탱크(여경윤 포스코 팀장) △DC의 미래 우주 DC(양창환 우주항공청 사무관) 등 DC관련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소개됐다. DC TCS 모듈설계 및 수냉식 시스템 에너지 평가 조진균 국립한밭대학교 설비공학과 교수는 “AI서비스뿐만 아니라 기존의 아날로그산업들까지 디지털화되며 DC가 증가하고 디지털혁신의 핵심이 되고 있다”라며 “DC에서 전산발열량은 IT장비의 소비전력과 동일하며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IT장비 전력사용의 99% 이상이 열로 변환된다”고 밝히며 DC 열관리의 중요성과 다양한 솔루션을 공유했다. 현재 DC에서는 굉장히 많은 연산을 하기 위해 칩들을 돌리고 있다.
미래산업의 핵심 기반시설인 데이터센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 유일이자 최초의 데이터센터 전문 전시회 ‘2025 데이터센터 코리아’가 개최됐다. 설비기술협회 데이터센터기술위원회는 8월14일 aT센터 컨퍼런스룸에서 전문가 교육Ⅱ 세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진성오 우원엠앤이 수석이 좌장을 맡았으며 △데이터센터 화재안전설계의 변화(황금숙 하이멕 사업부장) △AI 데이터센터 최적 가스터빈 발전기(문용균 지엔씨에너지 플랜트팀 수석) △AI워크로드 대응을 위한 고밀도 냉각 인프라 기술 전략(이수영 버티브코리아 이사) △데이터센터 관제에서 AI기술의 활용(강나루 오토시맨틱스 대표) 등의 세미나가 열렸다. DC 화재안전설계, 데이터 연속성 고려필요 DC 대형화·고밀도에 따라 화재안전설계가 ‘빠른 감지, 신속 대응’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황금숙 하이멕 사업부장은 ‘데이터센터 화재안전설계의 변화’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 DC 화재안전설계 목표에서 중요한 것은 데이터 연속성과 손실을 고려하는 것이다. 글로벌데이터센터는 운영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화되고 적응가능한 화재안전을 목표로 한다. 무중단 운영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이며 자동화재진압 메커
국내 최초로 기계, 전기, 소방 등 데이터센터(DC) 관련 주요 인프라 산업부문을 통합한 전시회로 기획된 ‘데이터센터 코리아(Data Center Korea 2025’가 첫회부터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행사는 8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됐으며 9,000명이 훌쩍 넘는 사전등록자와 7,000명에 육박하는 참관객이 행사장을 찾았다. 총 53개 기업이 참여해 140여개 부스를 운영하며 최신 DC인프라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DC시장은 2025년 약 2,697억달러(약 364조950억원) 규모에서 연평균성장률 약 11.7%로 확대돼 2032년에는 약 5,848억달러(약 789조4,8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그랜드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국내시장은 2024년 약 67억5,190만달러(약 9조1,150억원)에서 2030년에는 142억6,600만달러(약 19조2,59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연평균 약 13.3%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장세
핵심 디지털인프라 및 연속성 솔루션 전문기업 버티브(Vertiv)가 조던 코(Jordan Koh)를 아시아 신흥시장(Emerging Markets) 엔터프라이즈 세일즈 시니어 디렉터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조던 코 시니어 디렉터는 한국, 필리핀,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시아의 주요 시장에서 버티브의 엔터프라이즈 성장 전략을 이끌 예정이다. 코 시니어 디렉터는 IT 네트워킹 및 디지털 인프라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5년 이상을 아태지역에서 시니어 세일즈 리더로 활동해왔다. 데이터센터 인프라, 광통신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협업 플랫폼 등 분야에서 폭넓은 전문성과 고성장 전략수행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높은 성과를 발휘하는 팀을 구축하고 획기적인 성장을 이끌어낸 리더로 평가된다. 폴 처칠(Paul Churchill) 버티브 아시아 부사장 겸 제너럴 매니저는 “조던은 글로벌 하이퍼스케일러 리더십 경험과 지역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신흥시장에서 버티브의 차세대 성장을 이끌 적임자”라며 “현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핵심 디지털 인프라에 빠르게 투자하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은 8월8일 서울시 용산구 서울비즈센터에서 ‘2025년 안전산업 해외진출협의체(이하 협의체) 2차 정기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협의체는 안전산업분야 민간기업 27개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민간과 정부가 협력해 해외 안전산업시장 진출을 위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고 공동진출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국토교통부 시설안전과, 관리원 기후대응연구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및 협의체 참여 민간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KIND의 필리핀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인 K-City Network 프로젝트 소개 및 협의체 해외사업 추진 현황 공유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관리원이 발주한 ‘안전산업 동반 해외진출사업 발굴’ 용역의 본격 추진을 알리고 협의체 참여 민간기업의 기술을 시연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김일환 원장은 “안전산업 민간기업들이 K-City Network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통과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EMS협회(협회장 박찬우)가 2025년 BEMS(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운영관리 자격검정 시행 계획을 공고하고 자격검정 대비를 위한 제3차 실무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BEMS는 스마트빌딩과 탄소중립 정책의 핵심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계에서는 기존의 단순제어를 넘어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연동, 실시간 에너지최적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해 건물에너지 운영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정부도 건물의 에너지효율 개선과 저탄소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BEMS 전문 운영관리자의 절대적인 부족이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협회는 2021년부터 민간자격검정을 도입해 ‘BEMS 운영관리사’를 양성해왔으며 에너지효율분야 신직업군으로 주목받고 있다. 자격검정 과목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인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운영관리'에 따라 5과목으로 구성됐으며 협회는 자격검정을 대비한 실무교육 과정도 개발해 병행 추진하고 있다. 실무교육 과정은 자격검정에 대비한 5과목 외에 산업체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커리큘럼(건물에너지 데이터 분석, ZEB인증 실무, BEMS 구축 운영
국토안전관리원(원장 김일환)은 8월11일부터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과 관련한 맞춤형 상담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해체계획서는 건축물을 해체(철거)할 때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관리자 또는 기술자가 작성하여 허가권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서류다. 관리원은 지난해 안내영상, 검토매뉴얼, 사례집, 상담챗봇 등 해체계획서 작성을 돕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쳐왔다. 하지만 현업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작성사례가 부족해 작성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전문 상담창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관리원은 경남 진주시의 관리원 본사 3층에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과 관련한 1:1 맞춤형 상담창구를 마련하기로 했다. 상담창구에서는 공사현장 여건 등을 감안한 계획서 작성 방법, 구체적인 작성사례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관계자들의 업무 부담 해소와 해체계획서 작성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1:1 상담은 11일부터 ‘카카오톡 예약하기’ 또는 ‘해체안전365’ 카카오톡 채널(https://pf.kakao.com/_LHUHG)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탄소중립건축을 선도하는 탄소중립건축인증(ZCB 인증)이 인증심사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이에 대한 전량상쇄를 완료하며 제도운영 자체의 탄소중립 실천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증명했다. 탄소중립건축인증은 내일의쓰임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탄소배출량 산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테핑(Stepping)을 통해 인증심사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해당 배출량에 상응하는 탄소상쇄 및 인증서를 발급받았다. 이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행력을 한층 강화한 의미 있는 시도다. 스테핑, 탄소배출량 계산 전문기업 역량 발휘 내일의쓰임은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기업이다. 기후위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탄소중립 서비스 스테핑을 개발한다. 스테핑 서비스로 기업은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쉽게 측정하고 숲 보호 및 에너지전환 등 상쇄 프로젝트를 추진해 탄소 중립 실현을 앞당긴다. 소비자들은 제품별 탄소저감 노력과 상쇄결과, 탄소중립 제품정보를 제공받는다. 내일의쓰임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협력강화를 통해 우리 생활 속 모든 생산과 소비가 탄소중립을 추구한다. 2021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가 육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박선규)은 자연재해나 재난 발생 시 7일 이내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공급할 수 있는 접이식 모듈러 시스템(Foldable Modular System: 폴더블 모듈러)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8월12일 밝혔다. 최근 산불, 홍수, 산사태 등 자연 재해·재난이 빈번해지면서 주택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난지원 주택공급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현재 이재민들은 지자체 등에서 제공하는 체육관이나 재난지원 주택에서 머무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임시시설과 컨테이너는 환기·통풍·방한·결로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욕실과 주방 등 물사용 공간이 부족해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재해·재난상황 발생 시 임시주거시설을 상시 비축해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시설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건설연 모듈러 연구팀(팀장 박금성 박사)은 임시주거시설용 폴더블 모듈러시스템을 개발했다. 평상시에는 보관창고에 폴더블 모듈러시스템을 비축해 두고 이재민 발생 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모듈러 연구팀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감염병 대응을 위해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Z형으로 접히는 폴더블 모듈러